1Q84 1 - 4月-6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덴고 같은 남자친구 있었으면 좋겠다.
저녁식사로 따끈한 된장국이랑 샐러드, 두부 정도만 준비해 두는 심플한 남자. 하지만 팔은 굵고.
그런데 나는 아오마메처럼 군살없이 탄탄한 몸매가 아닌데 괜찮을까요.

2.
오늘 코스모폴리탄을 보는데 거기에 1Q84 소개가 나왔다. (GQ였나?)
그런데 뭐야, 후카에리를 천재적인 문학소녀라고 소개해 놨네?
이 에디터, 어디서 주워들은 말로만 기사 썼구만.
하긴 나도 얼굴에 모닥불 묻은 심정으로 고백하자면,
M양이 얼마 전 우리집에 잠깐 들렀다가 책장 위에 놓아둔 이 책을 보고
"일큐팔사 벌써 읽었어?" 라고 하길래
"아이큐팔십사 아니야?" 라고 반문.
나보다 책을 덜 읽는 M양은 금세 꼬리를 내리고
"아, 아이큐팔십사였어? 어디 방송에서 일큐팔사라고 읽길래 나도 모르게 그만..."

아. M양 미안해서 어째. 일큐팔사 맞아. 내가 바보였어.  더블에스오공일을 에스에스오공일이라고 불렀을 때보다 더 부끄러워.


조지 오웰의 <1984>와 회전축의 어느 한 지점을 공유하는 듯한 이야기.
하지만 아오마메와 덴고와 후카에리가 사는 곳은 1984년이 아니라 1Q84년이다.
일본어로는 두 개의 음이 똑같다는데 우리말로도 얼추 비슷한 발음. 
아쉽게도 덴고와 아오마메의 찐한 키스신은 없다. (나만 바랬던 것?)

 

3.
어째서 사람들은 '신비한 소녀'에 매료되는 걸까.
나의 기억 속에 있는 첫번째 신비한 소녀는 티티엘 소녀.

 

4.
2권 284쪽에 인용된 제임스 프레이저의 <황금가지>가 읽고 싶다.
임기가 종료되면 잔인한 방법으로 참살되는 고대의 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는데 허 이거 참.
'그들', 그러니까 1Q84 식으로 말하면 '리틀피플'의 목소리를 듣는 자였기 때문이라지.
자진해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운명.
 

5.
침대 위에서 불량한 자세로 엎드려 보다가 커피까지 쏟고 말았다. 그것도 살짝 쏟은 게 아니라 왕창 아주 대대적으로.
볼링공 떨어져도 끄떡없는 좋은 침대도 아니면서 나는 어쩌자고 말랑한 침대 위헤 커피잔 올려놓고 몸을 들썩거렸던 걸까.
볼링공 무게보다 10배는 더 나가는 주제에 어쩌자고.





그러나 상황순응주의자답게 1분 후엔 오히려 책에 추억이 생겼네, 라며 기차가 스위치 백하듯 생각을 바꿨다.
게다가 쏟아진 자국마저 어쩜 예술적이야.
책도 더 도톰해졌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