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로우와 에머슨의 대화 - 미국 정신의 르네상스를 이끈 우정
하몬 스미스 지음, 서보명 옮김 / 이레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지극히 편애하는 작가, 헨리 데이빗 소로우.
이 책엔 소로우와 그의 열두 살 연상(?) 친구 에머슨의 관계가 온갖 자료를 토대로 해서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
소로우의 인생에서 에머슨을 뺀다면, 어쩌면, 그래선 안 되겠지만, 그래도 어쩌면 <월든>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에머슨은 지식의 성장이나 사상의 확립에 있어서 소로우에겐 중요한 인물.
아, 그리고 좀 쪼잔한 이야기긴 하지만, 에머슨에게서 빌린 10달러가 아니었다면
월든호수의 오두막에서 처음 8개월간을 버텨낼 수도 없었을 테니까.
물론 소로우는 순전히 자기가 번 돈 13달러 34센트라고 했지만.
그런데 왜 난 이 부분에서 소로우가 귀여운 걸까. 아아앙아아아.
이 이야기는 183쪽에 나와 있다.
그리고 소로우의 지출내역을 보고 싶다면 <월든> 85쪽을 보면 된다. (이레출판사)

이 책에는 사진 자료도 꽤나 많이 들어 있어서 보는 즐거움이 더해진다.
아, 그런데 그 중 많은 것들이 콩코드 공립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들이라는데,
거기까지 언 발로 갔다 온 나는 왜 못 보고 온 거지.
  

사실은 콩코드 국립 박물관(?)을 보러 가려고 했는데
월든 호수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온 탓에 이미 날은 어둑어둑, 
전화해 보니 박물관 문은 30분 후에 닫는다는데, 가는 시간만 20여 분.
결국은 가는 길목에 있던 콩코드 공립 도서관에 간 거였는데, 이건 그야말로 천우신조!

뉴욕 공공 도서관보다 훨씬 예쁘다.



그야말로 내가 지향하는 '꿈의 도서관'!


 

게다가 소로우의 방이 따로 있다!



물론 이미 시간이 늦어서 관람 시간은 지났지만,
도서관 사서랑 친한 홍반장 스타일 아주머니 덕분에 길도 안내받고 도서관도 VIP급으로 구경할 수 있었다.
저 방 하나 가득, 소로우의 친필 사인이며 그의 가족들 사진, 심지어 오두막을 지었던 잔해까지 남아 있다.

그런데 안타까운 건, 이 책에 나온 그의 여동생이나 아버지 사진들은 못 보고 왔다는 것.
그건 다른 방에 있었나?
미리 읽고 갔더라면 '이것도 보여주세요, 그것도 보여주세요' 하며 한껏 까탈스럽게 굴 수 있었을 텐데...
 

다음에 월든에 간다면, 그 땐 이 책도 필독하고 가야지. 암, 물론.
 

읽고 싶은 책도 하나 늘었다.
소로우가 읽고 자신의 인생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랠프 왈도 에머슨의 <자연>.
에머슨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생각했는데, 정작  그의 책을 읽은 적은 별로 없는 것 같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