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로우의 일기
헨리 데이빗 소로우 지음, 윤규상 옮김 / 도솔 / 2003년 7월
품절


그리고 우리 귀에 익숙한 여름의 폭염. 역설적으로 '침묵의 소리'라고 할 수 있지만 오히려 혼란 중의 혼란이라 부르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다.-19쪽

진정한 여가를 즐기는 이는 영혼의 밭을 갈 시간을 갖는다.-30쪽

훌륭한 문장은 어쩌다 우연히 쓰여지지 않는다. 글에는 어떠한 속임수도 용납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이 쓴 최상의 작품은 그의 인격의 최상을 나타낸다. 모든 문장은 오랜 시련의 결과이다. 속표지에서 책 마지막 장에 이르기까지 책 속에는 저자의 인품이 속속들이 배어 있다.-56쪽

대단히 능률적인 노동자는 하루를 일에 치여 보내는 법이 없다. 오히려 어슬렁어슬렁 일하는 그는 안락하고 한가하다. 해가 지기 전까지는 쉴 여유가 많을 것이다.-70쪽

여행자! 나는 이 말을 사랑한다. 여행자는 여행자라는 이유만으로 존경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다. 우리의 인생을 가장 잘 상징하는 말이 '여행' 아니겠는가. 개인의 역사란 결국 요약하면 '어디'에서 '어디'를 향해 가는 것 아니겠는가. 나는 여행자 중에서도 특히 밤에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 -98쪽

사람들은 지진이 났을 때보다 독창적인 사고를 접할 때 더 당황한다.-140쪽

만일 당신이 작가라면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각오로 글을 써야 한다. 남은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네 영혼에 맡겨진 순간순간을 잘 활용하라. 영감의 잔을 최후의 한 방울가지 비워라. 영감의 잔을 비우는 일이 너무 지나치지 않을까 하고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세월이 흐른 뒤 후회하게 될 것이다. 봄은 영원히 계속되지 않는다. -152쪽

만일 생각을 양이 아닌 질로 판단해 볼 수 있다면 불면의 하룻밤이 긴 여행보다 더 많은 생각을 낳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158쪽

마음속이 뜨거울 때 글을 써라. 농부가 소의 멍에에 구멍을 뚫으려면 화로에 달군 쇠로 재빨리 멍이로 쓸 나무를 지져야 한다. 일각이라도 지체하면 쇠로 나무를 뚫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달궈진 쇠는 즉각 사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생각을 기록하는일을 뒤로 미루는 작가는 식은 쇠로 멍에에 구멍을 내려는 사람과 같다. 그런 작가는 독자의 마음을 태울 수 없다.-161쪽

사람은 자신의 자연적인 천성을 망칠 정도로 너무 선하거나 마음씨 고운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를 위해서도 그렇다. 악한 사람들은 때때로 자신들이 얼마나 악한가를 보여주기 때문에 오히려 이로울 수 있다. 그러나 선량한 사람들은 당신과 자기 자신을 중개하려고 부단히 애쓸 뿐이다.-253쪽

1854년 8월 9일 수요일
보스턴으로 갔다.
<월든>이 출간되었다. 양딱총나무의 열매. 노란빛이 도는 납세공품. -272쪽

나는 혼자 있을 때 가장 잘 자란다.-339쪽

한 달 전쯤 우체국에서 귀가 약간 먼 아벨 브룩스 씨가 나에게 접근해서는 모든 사람이 들을 만한 큰 소리로 말했다. "이봐, 자네 모임은 꽤 큰 모임이지, 안 그래?" 나는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 어리둥절한 채로 "그렇겠지요, 약간." 하고 대답했다. "스튜워트가 거기 일원이지. 콜리에도 그들 중의 하나고, 에머슨, 그리고 내 집에서 하숙하는 풀시퍼도 있고 말이야. 내 생각으로는 채닝도 거기에 간다고 알고 있네." "산책 좋아하는 사람들 말이군요." "그레, 자네들도 단체 아닌가? 모두 숲에 가지, 안 그래?" "아저씨 숲 어딘가에 무슨 문제라도?" 내가 물었다. "아니, 뭐 그런 걱정은 별로 하지 않아. 나는 자네 패거리들이 그런대로 현명한 측들이라고 믿으니까. 상식은 있잖은가." 등등.
샌번에게 이 이야기를 하자 그는 자기가 처음 읍에 와서 브룩수 씨 집에 하숙을 정하고서 브룩스 씨에게 읍에 어떤 종파가 있느냐고 물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자 브룩스 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었다. "셋이 있어. 유니테리언파와 정통파와, 그리고 월든 호수파."-352쪽

일반적으로 개인적 경험을 소중히 간직한, 대다수 사람들의 심금을 울릴 수 있는 글이 가장 큰 흥미를 일으킨다. 지구 끝까지 여행해 본 사람의 글이 아니라 가장 심원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의 글이 말이다.-378쪽

숲에서 살던 당시에 나는 아주 형편없는 옷차림을 했다. 모자, 바지, 부츠, 고무신, 장갑을 다 팔아보아야 4페니도 채 받을 수 없었다. 나는 그때 내 골든 양복바지 끝이 너덜너덜했던 것처럼 모든 사람이 바지에 술 장식을 달 만한 여유를 가질 수는 없는 것이라고 그 아일랜드인에게 말해 주었다.-3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