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는 여기 머문다 - 2007년 제31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전경린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7년 1월
장바구니담기


"우린 만나자마자 헤어지기 시작했어."

<천사는 여기 머문다, 전경린>-61쪽

그러나 말은 오줌 누는 것과 같아 시작은 그럭저럭 참을 수 있으나 한 번 나오기 시작하면 도중에 끊기는 보통 어려운 게 아니었다.

<아버지와 아들, 한창훈>-100쪽

들이대는 꼴을 보고 있자면 선산 팔아먹은 오촌 같을 때가 있지만 그래서 이르기를 불알과 자식은 짐스러운지 모른다고 했던 것이다.

<아버지와 아들, 한창훈>-112쪽

상욱이 이제껏 지켜봐온 노인이나 폐인들은 집요하게 현재적이었다. 죽음에 가까울수록 그들은 현재에만, 오직 찰나에만 집착했다. 그렇게 기억의 보따리가 지나치리만큼 가벼워져 거의 비인간에 가까워진 종족을 일컫는 이름을 상욱은 얼마 전 책에서 발견했다. 그 이름은 보보크 또는 보보보크였다.
어느 러시아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서 죽은 자들이 죽은 후에도 얼마간 삶을 지속한다는 흥미로운 주장을 펴고 있었다. 그 작가에 따르면 육체적 생명이 끊어진 후에도 정신적 생명은 마치 자신의 관성을 쉽게 그만두기 아쉽다는 듯 여분의 삶을 산다는 것이었다. 이를테면 무덤 속에 거의 완전히 부패된 시체가 있다고 하자. 육체는 썩었어도 죽은 자의 의식은 몇 주일이나 몇 달에 한 번씩 깨어나 갑작스레 무슨 말인가를 내뱉는다는 것이다. 귀를 기울여보면 콩알이란 의미인지 뭐라는 의미인지 보보크, 보보보크라고 하는데, 물론 아무런 의미도 없는 말이었다.

<약콩이 끓는 동안, 권여선>-16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