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홀이 물감으로 한 일과, 오랫동안 있는 줄도 몰랐던, 코나 손의 점들을 애인이 칭찬해주는 일은 비슷하지 않을까?-30쪽
"...유혹하는 남자를 믿느냐 마느냐는 여성들의 영원한 고민이지요. 남자를 믿지 못한 채 좋아할 수도 있지만, 또 상처받는 것은 피하고 싶을 테구요."-60쪽
말은 커다란 체 같아서 앨리스가 아침에 느낀 짙은 행복감을 쏟으면 가여운 에릭에게 남는 것은 그녀의 기분이 아주 좋다는 사실뿐이었다.-78~79쪽
평소에는 멀쩡한 사람도 사랑을 하면 편집증에 걸리고, 별별 최악의 생각을 다 한다 - 그 남자/그녀는 이제 나를 사랑하지 않아, 싫증 내고 있어, 적당한 때가 되면 이 사람은 모든 걸 없던 일로 돌릴 거야...... 편집증은 사랑이라는 감정에 따르는, 극히 자연스런 현상일 것이다. 상대를 높이 평가하니 내가 버려질 가능성이 점점 커질밖에. 하지만 일단 재앙의 시나리오에 끌려들면 사랑은 상처를 악화시킬 뿐이다.-165쪽
특정한 학문 영역에는, 명쾌한 설명에 편견을 갖고 난해한 글을 존중하는 오랜 경향이 있다. 칸트나 헤겔, 후설, 하이데거의 빡빡한 글에 몰두하는 학자들은 그들의 뛰어난 발상에만 끌리는 게 아니다. 학자들은, 문외한은 알아들을 수 없는 배배 꼬인 언어를 헤치고서 그 사상을 찾아내는 작업의 순수한 어려움에 매혹을 느낀다.-193~194쪽
그 남자가 곧잘 무심해지거나 딴청을 부리거나 앨리스의 전화에 응답하지 않는 것은 [예의 바르지 않는 것은 둘째 치고] 자신이 그만한 애정을 받아 마땅하다고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그 남자는 감상에 뜨악해서 제대로 대응을 할 수가 없었고, 상대의 애정에 받아들이기 힘든 [그리고 못마땅한] 역겨움을 경험했다.-197쪽
몽테뉴는 수상록의 '고독에 관해'란 부분에서 이렇게 썼다. '한 사람이 소크라테스에게, 어떤 사람이 여행을 하고도 전혀 성숙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발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자기 자신을 데려갔거든요.''-290쪽
누구와 사귈 때, 사람만 달랑 올 수가 없다 - 어린 시절부터 축적된 문화가 따라오고, 관계를 맺은 사람들과 관습이 따라온다. 특정한 지역성이라고 할 수 있는 요소가 함께 온다.-298쪽
개성이란 읽는 이와 쓰는 이 양쪽이 다 필요한 언어와 같다. 일곱 살 아이에게 셰익스피어 작품은 말도 안 되는 허섭스레기이며, 만약 그의 작품이 일곱 살 아이들에게만 읽힌다면 셰익스피어는 그 아이들이 이해하는 수준에서 평가받을 수밖에 없다 - 마찬가지로 앨리스의 가능성도 애인이 공감해주는 한도에서만 뻗어나갈 수 있다.-318~319쪽
문제가 있는 사람[사랑을 받기만 하는 사람, 질투가 심한 사람, 감수성이 무딘 사람, 다른 성에 더 관심 있는 사람, 결국 다른 사람과 결혼하는 사람......]을 사랑할 경우, "문제는 그의 탓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게 가장 흔한 반응이다. 물론 그에게 문제가 있지만, 그것은 그 성격의 중심적인 특질이 아니라 우연히 생긴 일면일 뿐이라는 것이다.-37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