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 바티칸의 금서 돋을새김 푸른책장 시리즈 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05년 6월
구판절판


신분이 낮고 비천한 자가 감히 군주의 통치를 논하고 규정하려는 것을 주제넘다 여기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풍경을 그리려는 사람이라면, 산맥과 고지대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낮은 곳에 있어야 하고 평원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산꼭대기에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이치로 백성의 본성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군주가 되어야만 하고, 군주의 본성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백성이 되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올리는 글>-31쪽

문제들이 눈앞에 드러날 때까지 기다린다면 처방은 이미 너무 늦은 것이 되고, 그 질병은 치유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의사들이 말하는 질병에 관한 이야기가 여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즉 질병은 초기에는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치료하기는 쉽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진단은 쉬우나 치료는 어려워지는 것입니다.-46쪽

갑작스럽게 형성된 국가란 튼튼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급속도로 자라난 식물과 같아서 처음으로 맞이하게 된 악천후에도 쉽게 죽어버리고 말 것입니다.-71쪽

<민심을 얻기 위한 체사레의 냉혹함>

그는 레미로 데 오르코라는 가혹하지만 능력 있는 인물에게 그 지역을 맡기고 모든 권한을 위임했습니다. 레미로는 짧은 시간 내에 그 지역을 평화롭고 단합된 곳으로 만들었으며 그 과정을 통해 매우 좋은 평판도 얻었습니다. 그 후 공작은 레미로에게 주어진 과도한 권한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그의 권한 때문에 훗날 성가시게 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공작은 그 지역의 중심부에 시민재판소를 설치하여 권위 있는 재판장으로 하여금 관장토록 하고 각 도시별로 법률가를 파견하도록 했습니다. 공작은 그동안 해온 가혹한 조치들로 인해 백성들 사이에 한없이 생겼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백성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자신을 전적으로 지지하게 만들려고 했던 것입니다. 즉 그동안 있었던 가혹한 조치들은 자신이 지시한 것이 아니라 행정관의 잔혹한 성품 때문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계획을 실행할 기회를 잡은 어느 날 아침, 체세나 광장에 두 토막 난 레미로의 시체를 단두대와 피 묻은 칼과 함께 놓아두었습니다. 그 참혹한 모습은 백성들에게 만족감과 동시에 당혹감을 심어주었습니다.-77쪽

인간의 본성이란, 받았던 은혜와 마찬가지로 베푼 은혜에 의해서도 유대가 강화되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103쪽

한니발의 뛰어난 공적들 중 가장 칭찬받는 것이 있습니다. 비록 여러 나라에서 선발된 엄청난 대군을 거느리고 외국 땅에서 전투를 치렀지만 전황이 유리할 때나 불리할 때나 변함없이 군 내부에서는 물론 장군들 사이에서도 사소한 분란조차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여타의 훌륭한 능력들과 더불어 부하들로 하여금 항상 존경받고 또 두려워하도록 만든 그의 무자비한 잔혹함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것입니다. 만약 잔혹함이 없었다면 그가 지닌 다른 능력들만으로는 그러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면모를 간과한 근시안적인 역사 저술가들은 그의 공적들에 대해 찬사를 늘어놓으면서도 한편으론 그러한 공적들의 주요한 원인을 비난하고 있는 것입니다.-143쪽

이전의 정권에 만족했기 때문에 신생 군주의 적이 된 사람들을, 이전 정권에 불만이 있었기 때문에 신생 군주에게 도움을 주었던 사람들보다 훨씬 더 쉽게 우호세력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17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