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가 없다면 스윙은 없다 - 하루키가 말하는 '내가 사랑한 음악'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9월
구판절판


그의 연주회에 가본 사람은 입을 모아 제르킨의 연주는 레코드로 듣는 것보다 현장에서 직접 듣는 쪽이 훨씬 감동적이라고 말한다. 그가 만년에 일본에 왔을 때 연주를 들으러 간 어느 지인이 이런 말을 했다. "아무튼 연주하다 실수하는 경우가 많아. 말도 안 될 정도로 많았지. 하지만 진짜 마음에 와 닿더라고, 그 연주가 말이야." <제르킨과 루빈스타인>-166쪽

음악으로서 순수하게 우수하다면 나머지는 아무래도 상관없다고 말할 사람도 있을지는 모르겠다. 그건 물론 정론이기는 하지만 나에게는 -소설가이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을 수 있겠으나- 음악을 매개로 그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살아가는 방식이나 감정을 좀 더 밀접하게 알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책을 읽고 음악을 들으면 뭔가 득을 본 듯한 유쾌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그렇게 음악을 듣는 방법이 있어도 괜찮을 듯하다. <제르킨과 루빈스타인>-184쪽

이상한 예를 들어 송구스럽지만 괜스레 전희만 능숙한 남자 같아 신용하기에는 좀 미심쩍은 면이 있다. (개인적 감상) <윈턴 마살리스>-211쪽

그것이 재즈라고 나는 생각한다. 사람을 한동안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게 할 만큼 녹아웃 상태로 만들어버리는 것. <윈턴 마살리스>-219쪽

그러한 그 사람에게서만 맛볼 수 있는 기분 좋은 정취에 일단 익숙해지면 좀처럼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어진다. 비속한 표현을 빌리자면 마약을 파는 이가 손님에게 주사를 한 대 놓고 나서 "어때? 젊은이, 기분 좋지? 약기운이 돌지? 다음에 또 돈 가지고 와" 같은 얘기가 되고 만다.
여담이긴 하지만 음악뿐만이 아니라 글의 세계에서도 이러한 두드러지는 비틂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글의 구석구석에 그 작가가 가지고 있는 마약적인 기호 같은 것을 자유롭게 단편적으로, 혹은 집적 부여할 수 있다면, 그러니까 다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문체'를 구사해 낼 수 있다면 그 작가는 적어도 10년 정도는 그것으로 밥을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다. <스가시카오>-232쪽

어쩌다 텔레비전 연속극 같은 걸 보게 되면 경박한 느낌을 주는 등장인물의 대사에 견디다 못해 곧바로 전원을 꺼버리는 일이 있는데, 상황은 그것과 어느 정도 닮아 있다. 나는 온갖 J-POP의 가사라든지 텔레비전 연속극의 대사라든지 아사히, 요미우리를 비롯한 신문의 기사 문체 같은 것은 일종의 '제도 언어'라고 늘 인식하고 있다. <스가시카오>-234쪽

데우스 엑스 마키나 deus ex machina :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쓰인 무대 기법의 하나. 기중기와 같은 것을 이용해 갑자기 신이 공중에서 나타나 위급하고 복잡한 사건을 해결하는 수법이다.-2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