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아이가 대입을 치를 때 ‘면접관에게 욕만 하지 않으면 합격’이라고 선생님들이 말씀하신 모 여대에 응시했었다. 내 인생에는 재수나 지방대는 없다는 딸아이의 굳은 의지의 표출이었다. 사실 나는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우등생의 상징이었던 모 지방거점 국립대학을 권했지만 인서울이라는 용어 자체가 없었던 시절에 입시를 한 내 의견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어쨌든 그 여대 면접관은 대뜸 딸아이의 독서 활동을 살펴보다가 ‘혹시 폐미가 아니냐?’고 묻더란다. 마치 정보기관이 간첩을 색출하는 듯한 뉘앙스였다고 한다.
과연 딸아이의 독서 활동에는 여성주의와 관련된 책이 있긴 했다. 딸아이는 특별히 폐미성향은 아니지만, 그 분야에도 관심이 있었기에 읽었을 뿐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해명할 일도 아닌데 해명이 되고 말았다. 연이어 ‘너 싫어’라는 의사를 확실히 품은 공격적인 질문이 이어졌고 딸아이는 최초합격자 명단에 없었다.
며칠 뒤에 서울대 면접장에 갔는데 어찌나 자상하고 따뜻하게 대해주든지 불합격해도 아무런 여한이 없다고 말했더랬다. 모 여대에서 당한 수모와 모욕을 치유하고 왔다나. 몇 년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도 이름도 성도 모르는 서울대 면접관 선생님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살짝 기대했지만, 딸아이는 서울대에 합격하지 못했다.
나는 이 불합격을 두고 오랫동안 자책했는데 혹시 서울대 자소서 4번 항목 즉 독서 활동란에 손석희 아나운서의 <풀종다리의 노래>를 읽고 기록하도록 권한 것이 실수는 아닌가 생각했다. 정치적인 성향에 따라서 불호로 비칠 수도 있는 인물 아닌가. 그러나 <서울대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20>을 집필하다가 알게 되었는데 서울대는 ‘단 한 명의 지원자가 읽은 책’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고 한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언론분야를 지망한
딸아이가 기록한 <풀종다리의 노래>가 몹시 나쁜 선택은 아닐 것이다. 오래전에 절판된 책이니까 이 책을 독서 활동에 기록한 학생은 거의 없으리라 생각한다. <서울대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20>은 대학진학에 유리한 책 목록을 소개하는 책이 아니다. 요즘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분야와 새로운 생각을 소개함과 동시에 나아가 ‘단 한 명의 지원자가 읽은 책’이 많아지기를 기대하면서 썼다.
그래서 20권의 책을 소개하면서 반드시 각 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았다. 당연한 일이다. 서울대는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중에서 대놓고 이런 책은 그다지 권할 만한 책도 아니며 좋은 내용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20권의 책을 비판적이고 생산적으로 읽어서 자신만의 독서목록을 찾아 나가도록 돕기 위해서 <서울대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20>을 냈다. 말하자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의 즐거움을 학생들에게 선사하고 싶었다. 아울러 ‘요즘 것들의 생각’이 낯선 어른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