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녹색 평론>의 발행인 김종철 선생님은 수업시간에 이런 저런 만담을 자주하셨다. 그러니까 <녹색평론>과 인터넷이 동시에 태동하던 1990년대 초반, 강의 도중 바둑이야기를 꺼내셨다. 그러시면서 “거참, 요새 컴퓨터로 바둑을 두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군요” 라면서 한탄을 하셨다. 이어진 말씀이 이랬다. “바둑은 바둑알을 만지는 재미로 두는 건데 말이죠”
나에겐 연필이 바둑알 같은 존재다. 사실 집필을 하면서 키워드를 메모할 때를 제외하고는 손 글씨를 거의 쓰지 않는 편인데 연필은 무척 좋아한다. 책상에 앉아 멍하니 있을 때, 회의를 할 때 무표정하게 자리를 지킬 때, 책을 읽을 때 등 연필을 만지작거리는 것을 좋아한다. 모양이 예쁘고 좋은 향이 나는 연필은 모두 내 손을 거쳐 갔다.
좋다는 연필은 다 써봤지만 한 번도 몽당연필을 만든 적이 없었다. 연필은 거의 만지작거리는 용도였기 때문이다. 연필은 그저 만지고 선물하는 용도였다. 내가 한 가지 연필에 탐닉을 하면 얼마 지나지 않으면 모름지기 내 사무실 동료라면 내 연필 한 두 자루쯤은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
심지어 나와 사이가 좋지 않아 일 년이 지나도록 말 한 번 섞는 경우가 드문 동료조차 내 연필을 몽당연필이 될 때까지 아껴 쓰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새로운 연필을 들였다. 미국에서 목사로 일하다가 지금은 개인 공방에서 십자가를 비롯해 목공예 제품을 만드는 분의 작품이다. 원목을 깎고 기름칠을 한 연필인데 수공예로 만들다 보니 모양도 굵기와 길이도 다 제각각이다.
연필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윷에 가까울 정도로 큰 것도 있고 작은 내 손에 맞는 것도 있다. 규격화되지 않은 이 연필은 오로지 칼로 깎아서 써야 한다. 붓글씨를 쓰기 전에 먹을 가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 감성이 하나 더 추가 되는 셈이다. 원목과 기름향이 묘하게 섞여서 아날로그 감성을 제대로 발휘한다. 이 연필과 함께 또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것 같다. 아울러 모양이 하도 특이해서 예전처럼 내가 모르는 이 연필의 새 주인은 생겨나기 힘들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