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정은 대부분 자신의 말이나 행동을 통해 상대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움직이리려고 할 때 사용된다. 분노를 표출하면 상대가 자신의 말을 들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그 목적을 위해 분노라는 감정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슬픔이라는 감정은 상대로부터 동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만들어진다. 이처럼 감정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상대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p89

사실, 문제는 사랑받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있지 않다. 보통 아이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는 없다. 그러나 아이를 사랑한다는 것만으로 금방 아이와의 관계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사랑이 있기에 좋은 커뮤니케이션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좋은 커뮤니케이션이 있기에 사랑이라는 감정이 태어난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원활한 대인관계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라고 나는 생각한다. -p97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온화하고 단호하게 아이를 대하라고 권한다. 온화하다는 것은 힘으로 누르지 않고 끈기 있게 대화를 나눈다는 걸 의미한다. 단호하다는 것은 아이와 부모의 과제를 분리한 뒤, 아이가 스스로의 힘으로 과제에 맞설 수 있다면 불필요한 개입은 하지 않는 다는 뜻이다. 아이는 온화하고 단호하게 키워야 한다. -p132

아들러는 벌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을 칭찬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대인관계를 `수직관계`로 보고 있다고 말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위계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벌을 주거나 칭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칭찬한다는 것은 능력 있는 사람이 능력 없는 사람에게 상대를 내려다보며 `잘한다`고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그런데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인간관계를 종적인 `수직관계`로 보는 것이 정신 건강을 해치는 가장 큰 요인이라 간주한다. 그 대신 대인관게를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생각할 것을 권한다. 칭찬하는 것과는 반대로 용기를 주는 것은 인간관계를 `수평관계`로 바라볼 때 가능하다. 서로의 관계가 수평적이라고 생각할 때 비로소 상대방에게 용기를 줄 수 있다. -p142

모든 장면에서 모든 사람에게 용기를 주는 말은 있을 수 없다. 지금 자신이 한 말이 상대에게 용기를 주었는지 아닌지를 늘 반성하고, 개개의 장면에서 어떤 말이 용기를 주는지 심사숙고하는 수밖에 없다. 대로는 얼핏 용기를 줄 것 같지 않은 말이 뜻밖에 용기를 안겨주기도 한다. 용기를 준다는 것은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함께 구성한 현실 속에서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