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위터에서 '핫'한 책인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를 알라딘 트위터 이벤트에 당첨되어 읽게 되었다. 사실 이벤트 당첨 되지 않았어도 제목과 트위터리안들의 이야기에 혹해서 살려고 했었는데 운이 좋았지.


백수가 과로사 한다고 휴직하고 초딩 1학년 뒷바라지와 집안 일, 그리고 운동, 취미생활로 캘리에 팝아트까지 하다보니 책을 집중해서 읽기가 힘들었다. 분량이 생각보다 적은 (빨래하는 페미니즘에 비하면 이건 뭐) 책인데도 읽는데 시간이 걸린 건 내가 그만큼 집중하지 않은 탓이겠지.


며칠을 손타다 결국 오늘 도서관 열람실에 맘 잡고 앉아서야 다 읽게 되었다.


책을 받고 읽는 동안 '메드맥스'의 '퓨리오사'캐릭터와 영화에서 나타나는 페미니즘적 성격에 대한 논의들을 넷에서 접하다 보니 이 책을 쉽게 읽어서는 안되는 거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그러면서 내내 두 번이나 밑줄 그어가며, 공책에 옮겨 적어가며 읽었던 정희진의 '페미니즘의 도전'도 생각났고. 


MANSPLAIN(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가 레베카 솔닛의 에세이를 통해 만들어졌다는 걸 책을 통해 알았다. 그리고 제목과 달리 여성들이 처한 현실적 상황과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들이 취해야 할 태도나 생각 등에 대해 좀 더 깊은 고민을 할 수 있었다.


읽는 동안 '페미니즘의 도전'에서 보았던 언어속에 반영된 남성중심의 권위적 사회 및 그러한 언어 사용으로 인한 권력표현 등이 흥미로웠다. 예를 들어 '섹스를 잘한다'라고 했을 때 남자에게는 기술적인 혹은 능력적인 칭찬이 될 수 있지만 여성에게는 '몸을 함부로 굴린다. 걸레다, 창녀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 처럼.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8장 #여자들은 다 겪는다'에서 '21세기의 단어들'을 통해 언어가 가진 힘에 대해서 또는 그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하지만 앞에서와 달리 '강간문화'와 같은 용어를 통해 문제의 근원을 문화 전체에서 찾도록 해주고, 그것을 의식함으로써 사회를 바꾸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하고 있다. 


책의 제목만 보면 남자들이 왜 여자들을 가르치려고 드는 지에 대해 설명하는 심리학 책같지만 실제로는 여성이 사회에서 남성들에게 어떠한 대접(?)을 받으며 사는지, 혹은 남성들이 너무나 당연시 여기는 상황이 얼마나 불합리한 일인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처음 생각했던 심리학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페미니즘적 문제를 이야기 하는 사회학적 책이다. (에세이라고 하지만) 


여성의 성역할이나 남성이 사회에서 여성들을 대하는 태도 혹은 여성들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혹은 갖게 되는 역할이나 태도, 인식 등에 대해선 경험해보지 않으면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고민하지 않으면. 같은 여자라도 그 문화에 익숙해져 버리면 자신이 겪은 혹은 겪는 일이 불합리하고 부당한 것이기 보다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고 그것을 같은 여성에게 남성들처럼 요구할 수도 있다. 


때문에 여성들도 남자와 동등한 지위 혹은 역할에 대해 공부하고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이다. 이런 걸 학교에서 가르쳐줘야 할텐데 어쩜 학교는 기존의 남성중심 권력 사회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데 더 기여를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솔직히 남자 학교에서 '페미니즘의 도전'을 읽으며 책 제목이 드러나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고민했다는 것 자체가 나 자신부터 그러한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일테니까. 


우선 나부터 공부하고 배워나가며 생각과 삶을 바꾸어 나가야겠다. 


그리고 트위터에 '와일드블랭크프로젝트' 에서 만든 핑크 에코백과 티셔츠가 있던데 갖고 싶다. 

#GoWildSpeakLoudThinkHard  하지만 선착순이라는 게 함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