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감히 말하건데 올해 내가 읽은 책 중의 최고의 책이다. 주말 아침에 읽기 시작했는데 손때지 못하고 한번에 다읽어 버렸다. 그만큼 읽기 쉬웠지만 그 안에 담긴 내용은 생각할 거리가 참 많은 책이었다.
10대와 20대를 아무런 의미 없이 살던 이타루가 서른이 되어서야 빵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하고 제과점을 다니며 기술을 익힌다. 4년 반이 지나 서른 다섯이 되어서 자기 빵집을 만들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경험하고 느낀 점을 자본주의와 결합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책에서 좋았던 것은 먹거리에 대한 저자의 진지한 고민과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하고 노력했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후에 마르크스의 자본과 결부시켜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과 태도에 반영하여 그대로 살려고 노력하는 점이었다. 그저 앉아서 책읽고 이해하고 시험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비춰보고 반성하며 그것을 바로보고 실천하는 것이라는 걸, 이런 게 공부라는 걸 이 책을 통해 확인했다.
작은 마을에서 전통의 기술을 이어가는 장인들과 함께 전통의 방식을 고수하며 지역의 산물을 가지고 정직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들려고 했다는 점이 참 인상깊었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며 아이들이 자연스레 부모의 일을 경험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꿈을 이야기 하는 것도.
또한 발효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 즉 자연의 모든 것은 부패를 통해 정화의 과정을 거치는데 화폐라는 것은 부패의 과정이 없기 때문에 많은 패단을 가져온다는 설명 또한 신선했다. 부패와 발효. 단지 음식에서만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올바른 먹거리, 농사 등에 대한 생각도 많아졌다. 비료라는 것이 땅의 힘을 오히려 약하게 만든다는 것이라든지, 유기농이 아닌 자연재배와 관련해서도.
4일간만 문을 여는 빵집, 그리고 1년 중 한 달은 긴 휴가를 간다는 빵집. 1년 소득이 3000만원 정도여도 저축도 하며 즐겁게 생활하고 있다는 이타루씨의 이야기가 참 많이 부러웠다. 긴 시간이었지만 자신의 삶의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고, 또 만들어갔다는 것이. 그리고 그 용기가. 참 부러웠다.
서른 중반이 되면서 노년의 모습을 그려볼 때 (솔직히 막막하다) 작은 가게 혹은 작은 텃밭을 가꾸어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먹거리나 농사 등에 관해서도 조금씩 책을 읽어가며 관심을 가져봐야겠다는 생각도, 그리고 스스로 무언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출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과, 내 아이들에게도 재물이 아닌 도전할 수 있는 용기와, 무언가를 만들어내고, 생산할 수 있는 무형의 자산을 남겨주고 싶다는 바람을 갖게 되었다.
찬찬히 읽고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책. 강추!
한겨레 신문에 관련 기사가 있어 같이 싣는다.
일본 시골빵집의 ‘행복한 자본론’ 실험
어떤 의미에서 부패는 생명에게 불필요한 것들 또는 불순한 것들을 정화하는 과정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