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두근거리는 중
마스다 미리 지음, 권남희 옮김 / 예담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연휴 잘들 보냈는지 모르겠다. 선생님은 어디 안가고 집에서 아이들이랑 뒹굴뒹굴 하며 보냈네. 현충일엔 동생하고 아이스퀘어 갔다 왔고, 토욜에는 아가들이랑 청소하고, 공원가고, 일요일엔 뒹굴뒹굴 늦잠자고, 아들이랑 게임하고(monument valley라고 엄청 멋진 게임), 책 읽고 또 애기들 데리고 공원가고, 밥해먹고 뭐 그렇게 일상을 보냈네. 별다를 것 없지만 그래도 순간순간이 참 충만하고 즐거웠다. 너희의 연휴도 그랬겠지? 별다른 거 없어도 그 시간이 전혀 의미 없는 시간은 아닐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쌤이 읽고 싶은 책이랑 사놓은 책들이 엄청 많은데 시간이 없어서 그동안 읽지 못했어. 오죽하면 아파서 입원하면 책이라도 실컷 읽겠네 라고 생각을 했을까. 요즘 내 바람은 일주일 동안 아니 하루라도 도서관에서 종일 앉아 책 읽는 거란다. (믿기지 않겠지만 진심입니다) 잠시 짬이 난 틈을 타 마스다 미리의 에세이집 여전히 두근거리는 중을 읽었어. 마흔 하나의 미혼의 만화가가 학창시절을 떠올리며 그때 해보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하며 적은 글인데 분량이 얼마 되지 않고 중간중간에 만화도 섞여 있어서 쉽게 빨리 읽을 수 있었어. 그리고 나도 이제 중년으로 접어들다보니 글 내용에 대해 공감이 팍팍 간다고 할까? 이제는 돌아갈 수 없는 그 순간에 대한 그리움과 나이 들고 나서 익숙해지는 것들 또는 변화하는 것들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었다.


한 권에서 두 쪽 귀퉁이를 접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저 구절 때문이었어. 잃은 뒤에야 비로소 그 눈부심을 안다라니... 너희는 이 구절에 대해 공감이 갈까? 나는 너무나 마음에 와 닿았는데. 잃은 것이라는 게 비단 어떤 물질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지나간 시간, 예컨대 젊음이라던지 청춘이라던지 학창시절이라던지 혹은 어떤 감정, 사랑이나 질투나 뭐든 어떤 것들이든 그것을 가지고 있을 때는 그것이 지니는 의미나 힘을 모르다가 잃은 뒤에야 그것이 가지는 그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것. 나는 나이가 드니 점점 그런 것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 조금씩 나이를 먹어가는 너희들에게도 이제 그런 것들이 하나씩 생기겠지. 그런데 나는 너희들이 잃은 뒤에 그 눈부심을 알기 보다는 그 눈부신 순간에 그 눈부심을 알아 제대로 즐기고 느꼈으면 좋겠다. 그 순간이 바로 지금이라는 것도.


무엇이든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지금 하려무나. 나중에 해야지 라는 말은 게으른 핑계란다. 지금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지금 하고 싶은 것을 해라. 나는 너희들이 지금 여기에서 충만한 삶을 살았으면 한다. 언제든 돌아봐서 후회 없을 정도로. 그리고 눈부신 순간은 바로 지금이라는 것도.

 

다시 일주일 시작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공부해야지. 또 열심히 웃고 사랑하고 즐기고.   

이루지 못한 꿈은 원래 내 것이 아니었던 것.
거기에 비하면 '경험이 끝난 것들'을 내려놓는 편이 몇 배 더 충격이 아닐까 싶다.
나는 지금 이런저런 것들을 놓아버려야 하는 시기에 직면해 있다.
그것이 의외로 고통스럽다. -p41


‘잃은 뒤에야 비로소 그 눈부심을 안다’ -p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