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문학을 가르치다 보면 허난설헌의 작품을 종종 가르치게 된다. 그녀의 뛰어난 문학작품이 많지만 불행한 삶 때문인지 교과서엔 주로 '규원가'가 실려있다. 스물 일곱 짧은 삶을 살면서 자신이 가진 재능을 제대로 펴보지도 못하고 이른 나이에 죽은 그녀의 삶은 유교적 봉건질서에 의해 억압받은 조선시대 여성의 대표적인 모습일 것이다.이러한 난설헌의 삶을 이 책에서는 조근조근 이야기 하듯 풀어낸다.  

결혼 전 허초희로서 허엽의 귀여운 막내딸로 살다가 안동김씨 김첨의 아들 김성립에게 시집을 가는 때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함이 들언오는 날 비바람이 불고, 혼례를 위해 담가둔 조청 단지에 쥐가 빠져 죽고, 지붕에 난도질이 된 녹의홍상이 펄럭이는 등 불길한 징조가 소설 시작부터 가득하다. 자신을 사모하는 최순치를 두고 자신의 남편인 김성립을 위해 시댁으로 들어가 살지만 시어머니 송씨는 자신과 다른 그녀의 고결함과 기품에 시기헤 그녀를 별당에 가둬두고 구박을 한다. 성립 또한 공부에 소홀하고 과거에서 떨어지는 등 부인보다 못하다는 자격지심에 그녀를 홀대한다. 시댁의 홀대 속에서 유일한 낙은 글로써 자신의 삶을 표현하는 것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마저 시어머니의 구박의 원인이 되었으니... 맘 붙일 곳 하나 없이 자기가 낳은 자식 또한 제 손으로 거두지 못한 채 쓸쓸히 앞세웠던 그녀의 짧은 삶이 읽는 이로 하여금 그녀가 느꼈던 인생의 서늘함을 생각하게 한다.  

왜 하필 조선에서 태어났는지, 왜 하필 여자로 태어났는지, 왜 김성립의 아내가 되었는지. 이 세가지 떄문에 괴로워했다는 그녀의 삶은 죽어서 남겨진 글들을 오빠 허균에 의해 책으로 묶여져 지금까지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그녀의 삶이 글로서 남겨졌기에 우리는 그녀의 삶을 돌아보고 지금의 내 삶을 다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옛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풍습,소소한 생활 소품, 규범 등과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세밀하게 적어나간 작가의 많은 품이 느껴진다. 그러한 노력 덕분에 읽는 이로 하여금 더 감동을 자아내게 하는 것 같다. 문학 시간. 옛 사람들의 삶을 혹은 난설헌의 작품을 이야기할 때 같이 읽으면 좋을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