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로 산다는 것 - 학교교육의 진실과 불복종 교육
조너선 코졸 지음, 김명신 옮김, 이계삼 해제 / 양철북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수 끝에 임용고사에 합격하고 공립학교 교사가 되었다. 교사가 되어 교단에 선다는 기쁨도 잠시. 학교 현장은 내가 생각했던 곳과는 다른 그야말로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곳이었다. 초임교사로 발령받아 담임이 되었던 첫 해 3월 한달 동안 매일매일 울었던 기억이 난다. 가르치는 보람보다는 여기저기 쏟아지는 공문과 일거리들, 그리고 아이들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그리고 내 생각과 다른 현실 등에서 많은 좌절을 경험했다. 그리고 6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교사로 산다는 것이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어느 정도 가르치는 일이나 학교 생활, 학생들과의 관계가 익숙해지면서 조금씩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특히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면서 과연 오늘날 학교의 기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커졌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와 달리 학교는 여전히 작은 공간에 40명이 넘는 아이들을 하루종일 (13시간동안!!) 가둬두고 책 속의 지식을 일방적으로 주입시킨다. 학교 수업에 흥미 없는 아이들은 졸거나 핸드폰을 만지거나 친구들과 장난치기 일쑤이다. 교사가 바라는대로 지시하는대로 행동하지 않는 아이들은 불량학생으로 낙인찍히는 공간. 국가에서 선정한 교육과정의 내용대로, 또는 사회가 바라는 대로 경쟁하면서 가장 뛰어난 아이들만을 선발하는 이 죽음의 레이스에서 과연 학교는, 교사는 어떤 기능을 하는 곳이고, 어떤 것을 가르치며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계속 회의가 들었다.  

무언가 사회에 대한 문제점이나 학교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면 삐딱한 교사라고 찍히고,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그런한 것을 언급하거나 이야기하는 것도 왠지 스스로의 검열에 의해 조심하게 되었다. 스스로에 대한 회의, 타성에 찌들어 그저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생각하고, 시키는 대로 하면 된다고 말하는 동료교사들을 보면서 나 스스로도 점점 타성에 물들어가는 것이 참 싫었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회의감에 무기력해지는 스스로도 참 싫었고... 그저 회의적인 생각만 반복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서 나의 이런 태도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느꼈다. 중요한 것은 한탄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내가 서 있는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이라는 걸. 누가 뭐래도 자신의 신념이 확고하다면 그것을 행동해야 한다는 걸 배웠다.  

   
 

 타성과 무기력에서 벗어나 싸움을 시작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사회 체제의 보수적 가치를 수호하는 거룩한 성지에 다름 아닌 공립학교에서 거짓 성스러움을 벗겨내 아이들에게 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p16 

교사 자신의 진정성과 살아 있는 신념은 보이지 않는 교육과정인 셈이다. 학생의 기억에 가장 오래 남는 수업은 공책에 필기한 내용도 아니고 교과서에 인쇄된 궁색한 문장도 아니다. 그것은 수업 하는 내내 교사의 눈빛에서 뿜어져 나오는 메시지다. 그것이야말로 평생 잊혀지지 않는 교훈이 될 것이다.  -p40 

공립학교 학생과 교사의 의식에 주입된 가장 두드러진 억압들 중 하나는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에 대한 공포심이다.  -p41 

교사와 학생은 그게 무엇이든 간에 큰 사안에 직면하면 차근차근 작은 투쟁부터 시작하려는 자발적 의지를 가져야 한 다는 뜻이다. - 불공정한 체제에 제동을 걸어야 하는 장소는 바로 우리가 서 있는 곳이다. -p114  

<이계삼 선생님 해제>그는 교사들에게 우선 '솔직해지자'라고 말한다. 학교란 위선과 기만으로 지탱되는 국가기관임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 그저 학교에 십수 년간 붙잡아놓고, 공부로써 경쟁시켜놓으면 십수 년 뒤에는 그들의 기대대로 '낮은 사고력과 쓸데없는 애국심'으로 치장한, 절대로 지배자에 맞서 단결하지 않는 이기적인 존재가 만들어져 나오는 것이다 -p170  

조너선 코졸이 제시하는 최종의 결로은 '행동'이다. 아주 작은 일이라도 행동하기 시작한다면 부적절한 자책감에 시달려야 할 이유는 사라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졸은 이런 거대한 문제에 맞선 '작은 행동'을 안내하고 먼저 시범을 보이는 것 또한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말한다.   

확실히 교사들은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러나 두려움이야 말로 이러한 악마적인 체제를 유지시키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p175 

 공교육을 지탱하는 물적 근거는 민중의 세금이다. 그러나 민중의 자녀들은 의무교육의 장으로 끌려 나와 배움의 기쁨을 오히려 뺴앗기고, 이기심과 복종과 묵인이 골수에 박힌 '비전 없는' 존재로 빚어진다. 그리고 절대 다수는 학교 교육을 통해 '사회적 실패자'로 확정지어지고 만다. 이에 대한 코졸의 매시지는 간명하다. 정직한 한 인간으로 존재하자는 것, 할 수 있는 한 불복종하고 힘을 모아 싸우자는 것이다. '분노하고 비난할 수 있는 용기야말로 공립학교에서 우리의 권한으로 아이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유일한 교훈'이라는 것이다. p-177 

무언가 잘못되어 있다고, 교사로서 이렇게 살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한탄하는 이들이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그리고 느낀만큼 공부하고 행동하길 권한다. 그렇게 한 걸음씩 전진하면 되는 것이다. 한탄은 무의미하다. -p179

 

 
   

쉬는 동안 좋은 책들을 많이 읽고 나름의 실력을 잘 쌓고, 마음도 단단히 무장한 후 학교로 돌아가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할 때 이 책의 내용들을 잘 간직하고 실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