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은 꽃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검은 꽃, 김영하. 문학 동네. 2003.
솔직히 말해 '김영하'라는 작가에 대해 약간의 선입견이 있었다. 내가 처음 읽은 이 작가의 작품은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책이었는데 어린 나이에 읽어서 그런가 너무나 냉랭한 이미지만 남아 있어 이 이미지가 김영하라는 작가 전체 이미지로 굳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얼마 전 소설이 아닌 수필집으로 '포스트 잇'이라는 작품을 읽었는데 이는 앞의 소설과는 달리 젊은 작가로서 경쾌한 사고가 여실하게 표현되어 있어 이전의 생각을 다시금 재고하게 했다. 그리고 다른 작품들도 읽어 봐야지 하는 생각 중에서 접하게 된 것이 '검은 꽃'이다.
김영하씨는 이번에 '오빠가 돌아왔다' 등으로 동인문학상, 이산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등을 휩쓸었다. 이러한 수상의 소식을 통해 알게된 '검은 꽃' , '오빠가 돌아왔다' 중에서 '검은 꽃'을 먼저 읽어 보았다.
처음 '검은 꽃'이라는 제목만 덜렁 접했을 때에는 도시에서 벌어지는 그런 씁슬한 사랑을 다루고 있으려니 했다. 그러나 왠일... 이것은 내가 가장 어려워하는 근대에서도 을사조약이 일어나기 직전 시대에서 일본이나 만주가 아닌 그렇다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국도 아닌 멕시코 이민사에 대해서 다루고 있었다. 어허...멕시코에도 이민을 갔다는 것은 정말 귓등으로 스쳐 들었지 정말 그런 일이 있었을까 생각도 해보지 못했던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러한 내용을 생생하면서도 빠른 필체로 나타내고 있어 몰랐던 사실을 알아가는 재미에 소설에서 형상화된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해가는 재미까지 더해져 읽으면서 흥미진진함을 느낄 수 있었다.
1905년 4월4일 제물포항을 출발해 멕시코로 향하는 영국기선 일포드호에 몰락한 황족에서 부터 좀도둑, 고아, 신부, 박수무당까지 다양한 인물들이 제각기 다른 사연을 담고 좁은 기선에 몸을 실고 떠난다. 각자 사연은 다르지만 멕시코로 향하게 된 이들의 운명은 처음부터 순탄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그 당시 모든 사람들이 그러했듯이 돌아올 수 도 없을 것이고, 또한 멕시코에 가서도 혹독하게 일만하며 시달릴 것이라는 것을 너무나 쉽게 예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작품 속의 인물들은 너무나 순진했다. 에네켄(속칭 애니깽) 농장으로 각기 팔려간 이들의 일상은 너무나 고된 것으로 농장 생활 과정에서 돌아갈 수 없음을 알고 마야인들과 결혼을 하고, 혹은 자살을 하고, 혹은 계약기간을 끝내고 다른 일을 하고, 남의 나라 투쟁에 개입하여 전쟁을 치르는 등 다양한 삶의 모습이 재현된다.
소설 뒷부분에서 멕시코 투쟁과 같은 역사적 전개 부분이 다소 지루한 감이 있었으나 전체적인 소설의 내용은 정말 색달랐다. 더욱이 젊은 소설가의 역사물이라는 점에서도 그랬고 멕시코 이민사라른 색다른 역사물이라는 점에서도 그랬다. 소설이라는 것이 분명 허구이긴 하지만 있을 법한 일을 다룬다는 점에서는 사회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검은 꽃'은 우리가 모르고 지나갈 수 있었던 역사의 한 부분을 다시금 재현한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0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