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힘 - 조선, 500년 문명의 역동성을 찾다
오항녕 지음 / 역사비평사 / 2010년 2월
평점 :
6장 <부활하는 광해군> 편에서 저자는 광해군의 대후금 정책을 내정 파탄 속에서 불가피하게 전개된 기회주의 외교로 평가하고 있다. 비전도 원칙도 실종된 광해군의 외교 정책이 오늘날 탁월한 실리주의 전략으로 미화된 데는 명분과 실리가 대립한다고 여기는 편견, 그리고 보다 기저에 사대주의 콤플렉스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묻는다. 대체 사대주의라는 게 무엇이며, 그게 왜 나쁘며, 그것을 꼭 조선만의 특질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사대(事大)'에서의 사(事)는 '인정하다', '존중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원래 맹자는 '사대' 뿐만 아니라 '사소' 또한 언급했다고 한다. 강자를 존경하고 섬기는 것이 사대라면, 약자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것은 사소이다. 저자에 따르면, 이런 맥락 속에서 나온 사대 개념을 조선 패망의 요인이 된 전근대적 담론으로 각색해낸 이들이 다름 아닌 식민지 시절의 일본 역사가들이다. 사대주의는 구차한 게 아니다. 진짜 구차한 것은 비전도 이상도 철학도 명분도 부재한 실리주의다. 광해군의 외교가 그러했다.
광해군이 기회주의적 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었던 배경으로 (혹은 그 짝패로서) 저자는 내치의 파탄을 들고 있다. 합의의 절차를 무시하고 폭력적으로 왕좌에 오른 광해군이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과중한 세금과 인력을 동원해 무리하게 추진했던 궁궐 재건 사업이 문제였다. 궁궐 공사에 전념하느라 저자세 외교로 일관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궁궐 공사는, 꼭 광해군이 아니었더라도 사명을 가지고 밀어부쳤을, 왕조국가의 군주로서는 가장 시급했던 전후 복구 사업이 아니었을까. 저자는 한국 정부의 국가 예산 지출 규모를 기준으로 당시 투입된 공사비 지출 상황을 분석하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하겠다고 하는데, 과연 왕조국가체제에서의 씀씀이를 오늘날 근대국가의 상황과 단순비교할 수 있는 것인지도 의문이다. 이 또한 저자가 말하는 '아나크로니즘'(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역사인식)이 아닌지.
광해군의 외교정책이 급변하던 국제 정치 상황에서 기민하게 반응해야 했던 당시 조선의 처지에 결과론적으로 시의적절했던 것만큼은 사실이다. 이에 대해 주체적이며 실리적인 대응이었다는 평가가 다소 지나치다고 한다면,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은 격이었다는 식의 평가 역시 마찬가지일 것 같다. 광해군이 철학이 부재한 기회주의적인 군주였다는 평가는 성리학적 관점에서라면 재론의 여지가 없겠지만, 인(仁)과 의(義)보다는 이성과 합리주의의 가치를 중시하는 오늘날에 와서는 좀 더 융통성있게 생각해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책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광해군에 대한 저자의 지나치리만큼 박절한 평가는 아무래도 현 정권을 겨냥하고 있는 듯하다. 북인을 제외한 정파를 철저하게 배제하고 종친 세력을 무자비하게 탄압한 데서 보여주는 소통 부재의 강압 정치(촛불과 명박산성), 민생을 제쳐두고 무리하게 추진했던 대규모 궁궐 토목공사(4대강 사업), 비전과 철학이 부재한 기회주의 외교 정책(대북 외교)에 이르기까지 광해군의 행적 곳곳에서 MB의 망령이 느껴지지 않는가.
덧_
최근 읽어본 조선 역사 관련서 중에서 가장 진중함을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은 조선의 사회상을 가십거리 다루듯 단편적으로 나열하고 있지도 않고, 조선의 역사를 자극적인 권력투쟁으로만 그리고 있지도 않다. 오백년 문명의 역사를 단지 정치적 알력 다툼의 차원에서만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권력의 이합집산과 이전투구 그 표면적인 격변의 기저에 도저한 광맥으로 흐르는 웅대하고 심오한 사상과 철학이 있었을 것이다. 공통의 지향점과 보편의 가치가 있었을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 힘에 대해 상기할 것을 주문한다. 독서의 맥락과 방향을 제시해주는 이런 책이 더 많이 나왔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