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의 철학자들 - 위대한 경제사상가들의 생애, 시대와 아이디어
로버트 하일브로너 지음, 장상환 옮김 / 이마고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법과 도덕과 상식이 무의미했던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기는 민족적 기질 탓도 아니고 반공체제의 특수성 때문도 아니었다. 그것은 제3세계 개도국의 전형적인 역사였을 뿐 아니라, 이 책에 따르면 19세기 후반 미국의 역사도 크게 다를 바 없었던 듯하다. “신세계에서의 돈벌기 게임은 다른 나라에서 벌어지는 경쟁적 투쟁보다 더 거칠고 신사답지 못했다.” 

당시 미국에서도 사기, 편법, 폭행, 살인, 유괴, 난투극 등이 한창이었는데, 현란한 이전투구 속에서 계급격차가 심화되면서도 사회는 왜 이해를 달리 하는 계급간의 적대가 격렬해지지 않고 오히려 그럭저럭 잘 유지되었던 것일까. 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베블런은 상층계급(유한계급)이 과시적인 소비를 통해 인간적 존엄성을 유지하고 하층계급은 상층계급을 존경의 대상 혹은 롤모델로 삼음으로써 사회가 응집력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이때 과시와 모방은 경제행위의 결정적인 동기로 작용하게 된다.

이 책에서 베블런에 대한 또 다른 인상적인 부분은, 그가 기업가를 가리켜 “사회적 기계에 저항하여 음모를 꾸밈으로써 자신의 목표를 달성한다”고 여긴 대목이다. 그는 기업가가 기계적 생산체제라는 토대 위에 금융이라는 상부구조를 세우고, 이런 구조 속에서 상품의 정규적인 흐름을 교란시키고 가치변동과 혼란이 발생하도록 하여 이윤을 거두어들인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은 마치 브로델이 '시장경제'라는 하부구조 위에 '재화와 서비스의 흐름을 독점하고 그것을 운용하는 권력'으로서의 '자본주의'라는 상부구조가 존재한다고 말한 것을 연상케 하는데, 그가 브로델과 다른 점이라면, 토대가 되는 구조를 ‘기계 생산 체제’로 보았다는 점이다.

과연 베블런은 기계 신봉자였다. 그는 기계적 생산체제가 기술자로 하여금 의식성장을 촉진해서 조만간 전문성을 가진 기술자 집단이 금융교란으로 이윤을 챙기는 경영자들을 몰아내고 생산기계의 원리(라는 다소 모호한 원리)에 따라 경제를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타깝게도 이런 전망은 뭔가 공상적이고 황당한 느낌을 준다. 한편, 이 책에 의하면 베블런은 <미국의 고등교육>이라는 책에서 미국의 대학이 어떻게 “미식축구의 중심지”로 타락했는지 비평하기도 했다는데, 미국 대학의 학문적 타락이 벌써 20세기 벽두부터 시작되고 있었다는 말이니 새삼 대학의 위기를 걱정할 일도 아닌 듯하다.  

아래는 푸르동이 마르크스에게 보냈다는 편지의 한 구절. 진정한 아나키스트의 면모를 보여준다.

(...) 하지만 제발, 기존의 모든 교조주의를 분쇄한 뒤에는 다시금 민중에게 교의를 주입시키는 일에 빠져들지는 맙시다. (...) 우리가 새로운 운동의 선봉에 섰다는 이유만으로 스스로 새로운 운동의 지도자로 비관용의 선두에 나서지는 맙시다. 새로운 종교의 사도인 체하지 맙시다. 그것이 비록 논리의 종교, 이성의 종교라 할지라도 말입니다. 모든 반대파를 모으고 격려합시다. 모든 배타주의, 신비주의를 금지합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率路 2010-11-30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것도 군대에서 읽은...;;;; 무슨 군대에서ㅋㅋㅋ-_-;;;;

수양 2010-11-30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군대생활 알차게 보내셨는데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