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노동자의 한맺힌 죽음
사설
한겨레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던 또 한 사람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포항건설노조가 포스코 본사에서 농성을 하던 지난달 16일 파업지원 집회에 참석했다가 경찰의 해산 과정에서 다친 하중근씨가 어제 끝내 숨을 거뒀다. 노동계는 하씨가 경찰이 휘두른 방패에 맞아 뇌를 다쳤다고 주장하고, 경찰은 이 주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정확한 진상 조사가 이뤄져야겠지만, 열악한 노동조건과 당국의 강경 대응이 그의 죽음과 무관하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이번 비극이 발생한 발단은 경찰의 강경 대응이다. 당시 집회 참석자들은 경찰이 급작스럽게 강경 진압을 시도했다고 주장한다. 경찰의 집회 불허 방침에도 노조 쪽이 집회를 강행하긴 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경찰은 인명 피해가 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했다. 지난해 말 농민대회 때 농민 두 사람이 숨지면서 경찰청장이 물러난 걸 그 새 잊었단 말인가. 아무리 법과 질서가 중요하다고 해도, 사람 목숨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법이다. 그러지 않는다면, 공권력은 정당성을 잃고 단순 폭력과 다를 바 없어진다.

하씨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하려면 이번 사태의 진상을 낱낱이 밝혀내고 경찰의 잘못이 드러나면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고질적인 경찰의 시위 대응 방식도 이젠 정말 바꿔야 한다. 더 근본적인 대책은 시위대의 결사적인 저항과 정부의 강경 대응이라는 악순환을 끊는 것이다. 시위와 진압이 폭력적인 양상을 띠는 게 전적으로 정부 책임이라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 악순환을 끊을 열쇠는 정부에 있지, 노동자들에게 있지 않다. 생존권이 걸렸다고 인식하는 노동자들에겐 그럴 여유도 힘도 없기 마련이다. 정부는 그들을 자극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먼저 보여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라도 건설노조에 대한 초강경 대응은 중단돼야 한다. 현 정부 들어 단일 사건으론 가장 많은 58명이 구속됐고 다른 농성 참가자들의 처벌도 추진되고 있다. 포스코도 거액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이 참에 조직을 완전히 무너뜨리겠다는 식의 이런 대응은 더 거센 반발을 부를 게 뻔하다. 정부가 원하는 게 ‘노조와의 전쟁’이 아니라면, 이런 식은 곤란하다. 정부는 노동자들과 경찰의 ‘애꿎은 전투’를 끝낼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랍세계의 분노'

 

"군사력에 의한 중동질서 재편은 실현불가능한 백일몽"

  2006-07-31 오후 7:26:06

  다음은 미 콜롬비아대학 아랍학과의 '에드워드 사이드 석좌교수'인 라시드 할리디(Rashid I. Khalidi)의 글 '아랍세계의 분노(Anger in the Arab World)' 전문이다. 미국의 저명한 중동지역 전문가로 '군사력에 의한 중동질서 재편'이라는 부시행정부의 야망이 가망 없는 꿈임을 설파해 왔던 할리디 교수는 이 글을 통해 미국과 이스라엘이 하마스와 헤즈볼라를 단순한 테러단체로 보고 이의 분쇄를 시도하는 것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백일몽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레바논사태에서 드러났듯, 중동의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이들의 위상은 한껏 높아졌으며, 당초 미국과 이스라엘 편에 섰던 사우디, 이집트, 요르단 등 아랍의 친미정권들은 이제 민심의 향배에 전전긍긍하는 처지가 됐다는 것이다.
  
  할리디는 교수는 지난 20년간 군사력 사용을 통해 중동정세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재편하겠다는 이스라엘의 시도는 번번이 그 반대의 결과만을 낳았다며 이제라도 평화적 방법에 의한 사태해결을 추구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이 글의 원문은 미국의 진보적 시사주간지 <네이션> 최신호(8월 14일자)에 실려 있다.
http://www.thenation.com/doc/20060814/khalidi <편집자>
  
  아랍세계의 분노(Anger in the Arab World)
  
  이스라엘과 레바논, 그리고 팔레스타인 간에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에 대해 미국과 이스라엘 정부, 두 정부를 위해 일하는 홍보기구들, 그리고 대다수 미국언론들은 한결같이 테러리즘을 분쇄하기 위한 한 국가의 노력이 중대한 시련에 봉착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이스라엘이 '테러분자들의 폭력'에 대응하고 있으며, 문제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이스라엘이 얼마나 빨리 상황을 장악하느냐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시나리오는 중동지역의 실제 상황과는 한참 거리가 먼 것이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포위 및 레바논에 대한 무차별 폭격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알 수 없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헤즈볼라 '파괴'나 하마스 '근절'과 같은 사태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테러리즘'이라는 용어는, 이 말을 앵무새처럼 되뇌는 사람들에게 일종의 최면효과를 일으켜 중동지역의 실상을 망각하게 한다. 즉 이들은 헤즈볼라와 하마스가 (테러단체가 아니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1967년 이후 지금까지) 및 남부 레바논 점령(1978~2000년)에 대한 저항에서 비롯돼 발전한, 아랍 민중 속에 깊이 뿌리박은 대중운동이라는 점을 망각하고 있다. 민간인들에게도 공격을 서슴지 않는 이 두 단체의 냉혹함을 탓할 수는 있겠지만 (이 점에서는 이스라엘을 옹호하는 세력들도 사실 할 말이 없다), 두 단체는 그동안의 선거에서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레바논 정부가 이스라엘의 소망대로 남부 레바논에서 헤즈볼라를 대체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헤즈볼라 군사력의 남부 레바논 장악에 대해서는 레바논 내부에서도 심각한 의견차이가 있었지만 이번 이스라엘의 전격적인 레바논 침공으로 그 이견은 급속히 해소되고 있다. 푸아드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를 비롯해 나비 베리 국회의장, 사드 하리리(지난 해 2월 암살 당한 라피크 하리 전 총리의 아들), 미셸 아운 장군, 에밀 라후드 대통령 등 레바논 내 모든 정파의 주요 지도자들과 국민들은 이스라엘의 레바논 기간시설 및 민간인들에 대한 무차별 폭격에 몸서리를 치고 있다. 물론 레바논에 대한 무차별 파괴와 살육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이스라엘과 미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레바논 내의 목소리가 아주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방송에서 대다수 레바논 사람들의 고통에 찬 절규를 들을 수 없다고 해서 그들의 목소리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세계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그 실상을 뻔히 알고 있다.
  
  이번 분쟁의 결과로 헤즈볼라의 주요 후원세력인 이란과 시리아의 세력이 약화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 두 나라가 (이번 전쟁의 확산에 의해) 지역 차원의 전쟁에 말려든다고 해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9.11사태로 조지 부시가 카우보이식 외교를 전개한 이래 수 년간 미국은 이 두 나라를 위협해 왔다. 그러나 하마스 및 헤즈볼라에 대한 미국의 막무가내식 강압정책 덕택으로 이란과 시리아의 위상은 오히려 강화됐다. 이스라엘 병사 2명 납치라는 헤즈볼라의 덫에 빠진 이스라엘의 과잉대응은 이들의 위상을 다시 한번 한껏 높여주었다. 이란 및 시리아와의 전쟁, 또는 미국에 고분고분 하지 않은 두 나라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노력은 결국 이스라엘과 미국의 위상을 약화시키고 말 것이다.
  
  이번 레바논 위기와 관련해 (사우디, 이집트, 요르단 등) 아랍의 친미정권들은 처음에는 멍청하게도 미국과 이스라엘 편을 들었다가 민심의 동향이 심상치 않음을 깨달은 뒤에는 당초 입장을 번복하느라 수선을 떨고 있다. 이들 국가의 민심은 정권의 입장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독립적 방송인 <알자지라>의 시청률이 수직 상승한 반면, 사우디 정부가 운영하는 <알아라비야>의 시청률은 급전직하했다). 그나마 이들 국가가 민주국가가 아니라는 점이 부시행정부와 이스라엘에게는 천만 다행이라 하겠다. 이번 사태가 어떤 식으로 마무리되든 이들 친미정권의 약화를 가져올 것은 분명하다. 단기적으로 이들 친미정권의 미국에 대한 의존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그러나 카이로든, 암만이든, 리야드든, 이들 정권의 위상은 사태 이전보다 약화될 것이며 반대파의 세력은 강화될 것이 분명하다.
  
  지난 20여 년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및 레바논에 대한 폭력행사를 강화하면 할수록 이스라엘의 지역적 위상은 약화돼 왔다. 1982년의 레바논 침공을 시작으로 1987~90년 팔레스타인의 제1차 인티파다, 그리고 2000년 헤즈볼라에 의한 이스라엘의 남부 레바논 철수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양상은 반복됐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미국도 마찬가지다. 이라크에서의 무자비한 폭력 행사로 중동지역에서의 미국의 위상은 형편없이 추락했다(적어도 현실을 직시하는 대다수 미국인들의 눈에는 그러하다. 자신들만의 망상 속에서 중동정책을 펴고 있는 미치광이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겠지만). 2차대전 이후 중동지역에서 미국의 위세와 영향력이 지금처럼 추락한 적은 없었다.
  
  앞으로 중요한 것은 이스라엘과 미국이 시리아, 보다 중요하게는 이란과의 전쟁을 피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현재 진행 중인 가자 및 레바논전쟁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면 그나마 중동지역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의 여론이 주요 변수다. 유럽의 여론이 현재 레바논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얼마나 빨리 비판적이 되느냐에 따라 사태의 확산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이스라엘의 무차별 폭격을 피해 레바논을 빠져나온 수 만 명의 프랑스인, 영국인, 이탈리아인, 독일인 등(이들 대부분이 이중국적 소유자다)이 현재 프랑스나 영국 TV 등에 나와 자신들이 목격한 참상을 전하고 있다.
  
  또한 이란과 시리아가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지, 헤즈볼라가 이스라엘의 공격을 어느 정도까지 감당하고 견뎌낼 수 있을 것인지, 팔레스타인인들이 현재 자신들의 내부적 곤경을 극복하기 위해 얼마나 현명한 대응을 할 것인지 등도 사태의 추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나아가 백악관 주인이 제 성질을 얼마나 죽일 수 있을지도 중요하다. 만일 부시가 자신의 폭력적 충동은 물론, 미국을 믿고 날뛰고 있는 이스라엘 군 지휘자들을 자제시킬 수만 있다면 현재의 위기가 혼란의 심연으로 빠져드는 것만은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미국과 중동에 닥칠 것은 파국뿐이다.

   
 
  라시드 할리디/미 콜롬비아대 교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8-01 0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balmas 2006-08-01 0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벌써 시간이 그렇게 됐군요.
그때 본지가 엊그제 같은데 ...
또 1년 동안 격전을 치러야겠군요. 건강하고 잘 지내세요. :-)
 

Guardian Unlimited

 

After the flood

Lebanon is once again torn apart by vicious strife. But when the bloodletting is over, the warring parties will have no alternative but peaceful co-existence

Brian Keenan
Saturday July 22, 2006
The Guardian


Dawn is cruel in Lebanon.
Rocket holes have gutted this place
Like a blunt blade
In the flesh of a fish.
In the suburbs
An unkempt forest of rushes sprout
Amid minefields
Fed on sewage
Watered by years
Of un-staunched pipes
The ghosts of night have no place
In this hallucinatory city
Here they are masters of the light
Made substantial in the sun.

Today,
L'Orient-Le Jour has a headline,
"Découverte Macabre"
A record of bodies discovered the previous day
Spills out,
Like the innards of a disembowelled animal.
One dawn, perhaps,
Such secrets may not be
The burdensome proof
Of this Lebanese earth.



I wrote that some 17 years ago after I had returned from my incarceration in Lebanon. It's a small fragment of a long narrative poem I was working on. In a very short time I had come to love the place and the people I lived and worked with before I disappeared for five years into the bowels of Beirut's hallucinatory nightmare. Until that moment I had kept a small notebook in which I recorded things that struck me about the place. Somewhere in the pages I had written a quote from William Blake: "The tigers of wrath are wiser than the horses of instruction." The ruined city and its people alternately surviving one day then suffocating under another salvo of rocket fire, followed by the defiant ranting of political and religious zealots, seemed to draw it out of me. It seemed an appropriate apocalyptic phrase for an apocalyptic city.

That was nearly 20 years ago, and I recently planned to go back. As you are reading this, I should have been packing my bags for a family holiday in Lebanon. Obviously, I am not now. No one in their right mind takes a holiday in Hades.

Only last year, a friend of mine called to say she was intending to holiday in Lebanon and asked my advice. Without hesitation, I encouraged her to go. "Lebanon is beautiful and the Lebanese are a delight. They are courteous in the extreme, and their hospitality is overwhelming. They love their country and are more than delighted to share this exuberance with strangers.

"You can go skiing in the mountains in the morning and sun yourself on the beach in the afternoon; and the food is to die for. If you can go to the mountains, sit a while under the magnificent cedar and just let the place soak into you. The vistas are sublime. Take a copy of Kahlil Gibran's Thoughts and Meditations, read it slowly under the great tree's shade and you will see beyond the horizon."

I rabbitted on, remembering only the beautiful flower that Lebanon was and completely forgetting the poison hidden in its petals. But then I had every reason to forget the bleak history of this part of the world. A bloody inheritance of betrayal, assassination and religious animosity. I had also forgotten the covert and heinous foreign meddling by America, and Iran, and the invasion and occupation by Syria and Israel. All of whom, it seems to me, cared little about Lebanon and its people. I had believed that these proxy wars fought on the killing fields of Lebanon had been eradicated like the canker in the rose.

I chose to believe in men such as Rafik Hariri who married individual vision with personal wealth and set about rebuilding the biblical cities of Lebanon, disinterring Beirut from the rubble of its past. Even when he was assassinated a year ago, but huge public protests led to the withdrawal of the Syrian army, I was convinced that the resurrection of Lebanon was assured. Beirut would rise from the ashes, garlanded with olive branches and flowers. This would be the reborn Beirut of gourmet restaurants, glitzy boutiques full of handsome young men and incredibly beautiful young women, shops and street-side cafes filled with people watching the world go by. Churches and mosques rebuilt side by side, and plazas and pedestrian walkways that opened up the city. There would be no more green lines that divided the city. No more areas you dared not walk at night.

If I had a dream of the promised land, it was one shared by thousands of ordinary Lebanese who wanted to share it with any who, like me, were willingly beguiled by it. "Call into the Mayflower Hotel and give them my regards," were my parting words to my friend.

Last summer, she made the trip to Lebanon. Her postcard to me confirmed that I had been right to insist that she went. She had also called at the Mayflower Hotel with my message. The owner was almost overcome, and told her he remembered "Mr Brian" with great affection and respect. She underlined these words. Some weeks after her card arrived, I received another written by the hotel owner himself. It was polite and graceful, the way the Lebanese are. Mounir respectfully invited me and my family to come and stay at his hotel. It would, he assured me, give him great pleasure and much delight. I knew the pleasure and delight would be all mine - I immediately scanned my diary to fix a date for this summer.

How could I have been so naive? I am old and experienced enough to know that dreams are fanciful things that disappear with the dawn, and in Lebanon, as I recall, dawn is a cruel time.

Among the many things my dreaming could not erase was the curse of cyclical violence, war and destruction that waits in the shadows to engulf this place with evermore bloody and disastrous consequences. In the past week, I have viewed the television coverage with sickening despair. I have listened to the empty rhetoric of politicians coming at me like an old echo. I have heard and seen it all before. It makes me cynical and angry, and I despise these feelings in myself. Sometimes, I feel myself choke up with tears. Above all, I feel robbed and betrayed.

And if I feel this from the comfort of my home in Dublin, how do my friends in Hamra and Raouché or in those tiny hill villages feel?

In Lebanon, curses are not like dreams. They do not emanate from some psychic other world. The demons in Lebanon are not mythical, they are real and they wear the guise of men. What did the students I taught do to deserve their future subjected to this manmade curse? What did the shoemaker at the end of the street I lived in do? What did my friend Mounir do? What did the old man who sat and peeled garlic all day in my favourite restaurant do? What did the 11 children who were blown to bits while swimming in a canal near Tyre do?

Noticeably, we no longer hear those hideous phrases "collateral damage" or "casualties of war". Everyone knows them for what they are: euphemisms for arbitrary but calculated murder. A leaflet dropped from a passing aircraft informing people to leave their homes or face the consequences redeems no one.

A week ago, I saw a photo of a man holding up a dead child he had just pulled from the blasted ruins of its home. It looked like a rag doll that had been pulled from a rubbish tip. In another context, the image could have been of a man holding up his daughter to receive a blessing. He could even have been handing the child to the care of a friend. But the face of the man holding up the infant confirms the worst. His features bear the emotional numbness of someone who has lived through this horror too many times; somewhere in his soul, he is as dead as the child he holds. His gesture simply asks us to bear witness, and perhaps, with what ever emotional life is left in him, he is also asking us to take this pain from him.

If a cataclysmic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in Lebanon and that dire generational curse of death and destruction is passing over the land, why did we not see it coming? Maybe we did see it coming, but because we are used to it and expect such things from the Middle East, we are immune to it. Assuredly, the seeds were sown long before the poison erupted in the flower in the past few weeks.

A few months ago, the Irish Times carried a photo of a group of Palestinian youths fleeing through a crowd with the dead body of one of their friends, who had been shot for throwing stones at Israeli soldiers. The faces of the two boys carrying their friend are imprinted with shock, confusion, desperation and the urgent need to get away. Two other boys at the edge of the crowd stretch out their arms to touch the boy's corpse. They are drawn to partake in his death. Their faces are like a mask, contorted in a pernicious grimace. It is as if some psychotic pow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boy's martyrdom, and passes into them. It is a dreadful, revelatory moment. Tomorrow, they will throw more stones; in a few years, they will be firing guns. In a few more years, as the contagion of hate develops, they may put on the martyr's vest and walk into oblivion trailing the remains of more innocent dead behind them. The question I asked myself was where will this cauldron of hate and violence take these children?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is question, but I was still seeing another Lebanon. One where I wanted to take my family and say: "See, this country is not the evil place that imprisoned me and these people don't want to hurt anyone." I wanted to stand in this land and not be afraid because of what had happened. I wanted my children to know that evil does not endure. I wanted them to love this country as I do, and as the Lebanese do. Above all, I wanted them to grow up secure in themselves and passionate about the big issues in life: justice, freedom, happiness, equality and the human right to independent judgment. I wanted them to know, and remember when they are old enough to reason, that their dad took them to Lebanon for this purpose. More importantly, I wanted them to have a great time and meet great people there.

In this star-crossed corner of the world, we should have known, we were certainly warned. Whether you believe in the curse of recurrent violence or not, you have to accept that such events are not things of chance. Even as I write, the Israeli military has declared a timescale for their incursion in Lebanon. Whatever they might say about "de-fanging" the snake of Hizbullah, they are intent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struction of their neighbours. Every day, I read reports or listen to the apologists of this crisis accuse each other; Meanwhile, innocents die on either side of their debate. No wonder the curse returns - such mindsets are stuck in a time warp, and nothing less than a purging of the intellect and imagination will ultimately dispel it. But how can that be done?

Drawing on his clinical experience, Dr Nathaniel Laor, a psychiatrist from Israel, illustrates how hate damages psychic structures. Two factors play a crucial role: first, hate gives, or can give, a form of pleasure; second, and more importantly, hate is addictive. And it is contagious; a potential epidemic. Perhaps that is the poison at the heart of the flower. Maybe the protagonists who are butchering the country need to go for a long session of counselling with Dr Laor.

About a dozen years ago, I was an invited speaker at an international conflict resolution conference held in Derry in Northern Ireland. Ehud Olmert was also a guest speaker. In his address, he said: "Political leaders can help change the psychological climate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he concluded: "How are fears born? They are born because of differences in tradition and history; they are born because of differences in emotional, political and national circumstances. Because of such differences, people fear they cannot live together. If we are to overcome such fear, a credible and healthy political process must be carefully and painfully developed. A political process that does not aim to change the other or to overcome differences, but that allows each side to live peacefully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 can only ask my fellow contributor, now prime minister of Israel: "What happened, Ehud? How does the havoc and slaughter of your neighbours tally with your inspiring sentiments?"

During my life, I have come to accept that there are very good reasons why Jews hate Muslims and vice versa. Often, they are eloquent in their arguments and can convincingly document reasons for their antipathy and suspicion. Yet wholesale genocide is no solution - and both sides know it. They have no alternative but to coexist.

Coexistence is the minimal, least demanding way for people to relate to one another without violence. It is not the same thing as love, or even as friendship. On the contrary, it is an expression of distance, an acknowledgment that boundaries will remain. It is informed by an attitude of live and let live; that is precisely the message that neither side in the war in Lebanon wants to hear or declare.

It is an ideal without illusions. Its object is not the seamless union of opposites but a practical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It does not deny difference; it disarms it, robbing it of its power to wound or kill. In a pluralist society,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not abolished. They are legitimated, while society strives to guarantee that the law will be blind to them. It is not easy to achieve but when there is no alternative, it is worth trying.

For now, I've put off my visit to Lebanon. But I might return to that poem and rework it. But then, I think cynically, what's the point? Nothing changes in this corner of the earth.

 

http://www.guardian.co.uk/syria/story/0,,1826371,00.html#article_continu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평가는 학계에서 … 비등재지도 지원해야
교수논평

2006년 07월 23일   조만형 한남대 이메일 보내기

▲조만형 한남대 ©
학문이나 연구를 주업으로 하는 학자들에게 논문은 자신의 지식을 창출해서 유통시키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는 동료 학자들의 심사(동료평가, peer review)를 거쳐서 자신의 논문을 발표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통로이다. 물론 지식은 전문학술지 외에도 다양한 매체로 유통될 수 있지만 학술지는 논문이 게재되기 전에 동료들로부터 비판과 검증을 받아 출판된다는 점에서 일반 잡지와 차별화되고, 학술지의 권위는 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우수성에 따라 결정된다. 학자들은 학문연구활동의 결과를 권위 있는 학술지에 발표하여 자신들의 연구업적을 평가받을 뿐만 아니라 학문의 발전과 국가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과 같이 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는 학술지들은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까다롭게 심사한 후 논문을 게재하기 때문에 거기에 실린 논문들은 누구나 학술적 가치를 인정한다. 그러한 논문들은 자연히 다른 학자들이 많이 인용하게 되어 소위 말하는 인용지수가 매우 높다.


모든 학회들은 회원들의 학술교류의 장으로서 학회지를 발간하고 권위 있는 학회지로 발전시키려고 노력한다. 한국학술진흥재단(학진)에서 주관하는 국내학술지 평가사업도 궁극적으로 학회들이 우수한 학술지를 만들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지원한다는 취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항간에 학술지 평가에 대해서 이런저런 비판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좋은 학술지를 만들기 위해서 학회와 국가가 공동으로 노력하자는 취지에 반대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1998년부터 시작된 학진의 학술지 평가사업은 최소한 국내학술지의 형식적 완성도를 상당한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


물론 형식적 완성도가 내용적 우수성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학술지의 체계가 매우
열악한 우리나라에서 형식적 측면에서라도 어느 정도 학술지의 모습을 갖추도록 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학술지를 등재(후보)지와 비등재지로 구분하고 대학과 연구지원기관에서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하면서 학술지 평가의 파장이 커지고 비판의 수위도 높아졌다. 논란의 초점은 ‘학술지 평가를 국가가 해야 하는가’의 원론적인 문제와 ‘등재지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해야 하는가’의 활용적인 문제로 귀착된다. 먼저 학술지는 어떤 식으로든 평가될 수밖에 없는데 다만 평가의 주체가 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학자 커뮤니티가 되어야 하는가의 문제가 논란이 핵심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학술지는 학자들의 내적 원리와 학문적 양심에 따라 학자 커뮤니티가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게 바람직하다.


‘사이언스’지의 권위는 영국이나 미국 정부가 인정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학자들이 거기에 실린 논문들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얻어진 것이다. 학진에서 수행하는 학술지 평가는 학술 커뮤니티가 양심과 자율의 원리에 따라 권위 있는 학술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꾸어 주는 보조적인 역할로서 사업의 의의를 가져야 할 것이다.


국내 학술지가 ‘사이언스’지처럼 정말 엄정하고 심도 있는 심사과정을 거쳐서 논문을 생산한다면 당연히 국가가 학술지 평가를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현실에서 솔직히 많은 학술지들이 각종 인연과 동정 때문에 논문 아닌 논문을 양산하고 있지 않는가.

등재학술지의 활용에 대해서는 활용하는 주체의 처지에 따라서 결정하면 될 것이다. 먼저 대학의 경우에 등재지만을 교수들의 연구업적에 포함시키는 것은 학진에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어쩌면 대학들이 행정적으로 편리하기 때문에 또는 그래도 등재지가 어느 정도 검증을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등재지만을 연구업적으로 인정해주는 것 같다. 그렇지만 모든 대학들이 그렇지는 않다. 내가 아는 K대는 연구업적을 평가할 때 논문의 숫자에 관계없이 대표적인 논문 2편을 제출받아서 외국의 저명한 학자에게 심사를 의뢰해서 평가한다. 대학에서 등재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대학이 결정할 사항이지 학진이 지시할 사항은 아니다. 문제는 학진처럼 연구지원기관에서 연구과제의 지원자격 조건으로 등재지 논문을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데 있다.

학진에서는 연구를 수행하려면 학자들이 지원하는 연구주제에 대해서 최소한 몇 편의 논문이 있어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논문의 요구조건에 관한 논란은 논외로 하고 논문게재를 꼭 등재지에 한정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학문영역에 따라서 학술지  형식은 다를 수밖에 없고 따라서 학술적 능력이 표출되는 논문은 다양한 형식으로 발표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등재지는 획일적인 형식기준을 통과한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학문의 소통을 막을 수 있고 정보의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지원기관들은 등재지를 포함해서 비등재지의 논문도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를 연구에 반영할 수 있고 새로운 학문영역이 등장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지 평가는 결국 학술 커뮤니티의 건전성과 신뢰의 수준에 비례하는 것 같다. 의학 분야의 학술지는 이미 학문적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 자체적으로 학술지를 평가하고 있다. 등재지의 문제를 비판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등재지를 만들려고 각종 서류를 조작하는 학회와 유령 논문을 투고하는 학자들의 행태도 바뀌어야 한다. 학진의 학술지 평가는 학자들이 생산한 논문을 대상으로 학자들이 직접 평가하기 때문에 학자들의 평가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학술지 평가와 같은 사업에 예산과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도 학술 커뮤니티가 자체적으로 학술지의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시대가 가능한 한 빨리 왔으면 좋겠다.      


©2006 Kyosu.net
Updated: 2006-07-23 22:15
▲맨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베버의 문화과학, 한계효용학파의 영향 결정적…10년만에 주류학계 수용
해외동향_ 베버 연구의 새로운 테제

2006년 07월 17일   김덕영 카셀대 이메일 보내기

베버는 문화과학자와 사회과학자들에게 영원한 ‘화두’다. 그들은 베버에게 끊임없이 회귀하고, 묻고, 시비 걸고, 도전하며 그를 더욱 발전시키거나 넘어서려 한다. 심지어 ‘베버 패러다임’이란 말을 쓰기도 한다.


수많은 학자들이 베버를 연구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작고한 프리드리히 텐브룩을 비롯해 볼프강 슐룩터, 빌헬름 헤니스, 요한네스 바이스 등의 명성이 높다. 헤니스만 정치학자고, 나머지는 모두 사회학자다.


역사학자들 가운데에도 베버연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이들이 많다. 그 가운데 볼프강 몸젠(1930~2004)을 첫 번째로 거론하는데 이의를 제기할 이는 없을 것이다. 몸젠은 ‘막스 베버와 1890~1920년대의 독일정치’와 ‘막스 베버. 사회, 정치 그리고 역사’라는 저서를 남겼으며, 볼프강 슈벤트커와 함께 ‘막스 베버와 그의 동시대인들’이란 책을 편집했다. 또한 ‘막스 베버 전집’의 편집위원이기도 했다. 그런데 그는 2004년에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런 그가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 ‘Sociologia Internationalis’라는 저널에 ‘경제학자로서의 막스 베버. 이론경제학에서 문화과학으로’라는 논문을 기고했다(그의 사후에 게재됐음). 몸젠은 이 논문에서 베버를 오스트리아의 칼 멩거에 의해 창시된 한계효용학파와 연결시키고 있다. 베버가 방법론적 개인주의, 행위, 이념형 등에 기초하는 문화과학 연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게 몸젠의 테제다. 그에 따르면 오스트리아학파의 이론경제학은 문화과학의 “한 특수한 경우”(26쪽)다. 그리고 한계효용학파가 개인의 합리적 경제행위에 대해 제시한 엄밀한 이론과 유형 및 설명모델은 전형적인 이념형적 방법이라고 몸젠은 해석한다. 비록 멩거를 위시한 이론경제학자들이 그렇게 명명하지는 않았지만.


물론 베버가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에서 문화과학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주장할 정도로 몸젠의 논의는 거칠지 않다. 그는 당대의 다양한 철학, 문화과학, 사회과학 등이 베버의 지적 세계를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끼쳤음을 알고 있다. 가령 몸젠은 베버가 문화과학 및 사회과학의 논리와 방법론을 구축함에 있어 어떻게 신칸트주의 철학자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가치론을 받아들였으며, 또한 베버가 이론적-역사적 문화과학 연구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어 어떻게 독일 역사학파 경제학을 받아들였는가를 논증하고 있다.


베버의 문화과학과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을 연결시키려는 몸젠의 시도는 베버연구의 새로운 방향으로 받아들여진다. 여태껏 베버의 문화과학의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리케르트의 신칸트학파나 독일역사학파 경제학에 초점을 뒀다. 당대 최고의 베버연구가로 자타가 공인하는 슐룩터가 전자라면, 정치학자로서 탁월한 베버연구가인 헤니스가 후자를 대변한다.


이에 반해 한계효용학파는 단순히 심리학주의적이고 접근방법은 자연주의적이라며 간과, 무시돼왔다. 더불어 한계효용학파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멀리하는, 이른바 공리주의적 인간유형에 기초한다고 보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사실 베버는 바로 이런 오해와 편견에 맞서 한계효용학파 경제학은 합리적 경제행위라는 근대적 문화과정과 시장이라는 근대적 문화제도에 대한 전형적인 이론임을 논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볼프강 몸젠 ©
그런데 연구사적으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으니, 이 같은 몸젠의 시도와 테제가 실상 독일어권에서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미 1996년에 몸젠이 논문을 게재한 바로 그 저널에 ‘막스 베버와 칼 멩거 중심의 한계효용학파. 사회학 발달과정에서 이론경제학이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졸고)라는 글이 게재된 바 있다. 이 논문은 몸젠과 마찬가지로 베버는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을 문화과학의 “한 특수한 경우”(48쪽)로 받아들인다고 해석하고 있다. 더불어 베버와 멩거와의 관계를 가치론, 이해와 이념형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논문에서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이 베버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했음). 물론 몸젠은 이들 글이 지니는 연구사적 의미를 잘 인지하며 인용하고 있다. 졸고가 좀더 이론적인 것이었다면, 몸젠의 논문은 역사적 접근방식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이미 1990년대 초반부터 강조돼온 지성사적 사실이 왜 10년이 넘어 주목받게 됐을까. 그건 정형화된 베버 해석 때문이다. 베버 하면, 으레 리케르트의 신칸트학파를 연상하는 게 공식이 됐다. 더구나 최고의 베버연구가인 슐룩터는 베버를 칸트에까지 소급시킨다. 이런 지적 풍토에서 한계효용학파의 영향은 그저 공허한 외침으로만 여겨졌다.


그러다가 베버가 학생들에게 나눠준 강의원고나 편지 등 다양한 자료가 편집되면서 베버의 지적 성숙과정의 또 다른 면모가 드러나게 된 것이다. 특히 몸젠의 섬세한 역사학적 분석은 한계효용학파와 베버의 관계가 단순히 이론적 차원에서나 논의할 문제가 아니라 엄연한 역사적 사실임을 명백히 보여준다. 참고로 슐룩터도 최근의 연구에서 이전보다 강하게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베버는 당시의 수많은 지적 조류를 검토, 비판, 수용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문화과학 연구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이제 오랜 동안 간과되어온 한계효용학파의 이론경제학과 베버의 연구프로그램 사이의 관계가 새로운 연구테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는 과연 ‘제3 역사적-이론적 요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그러기 위해선 향후 수많은 책과 논문이 나와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수많은 반론과 비판이 제기돼야 할 것이다.

김덕영 / 독일 카셀대·사회학


©2006 Kyosu.net
Updated: 2006-07-18 00:44
▲맨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