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우님 글에 댓글을 달았는데, 숨은아이님이 답변을 달아주셔서 다시 한번 더 댓글을 달아봤습니다.
숨은아이님의 답변
저는 발음 때문인 게 맞다고 보는데요. "율"이나 "률"이나 받침 뒤에선 [뉼]로 발음되는데, 모음 뒤에선
"율"은 [율]로, "률"은 [률]로 발음됩니다.
"율"로 쓰는 걸로 통일하면 "이직률"을 "이직율"로 써야 하는데, 그럼 읽을 때 [이징뉼]이 아니라
[이지귤]이 됩니다. 발음상 아예 다른 말이 됩니다.
"률"로 통일한다고 하면 "이혼율"을 "이혼률"이라고 써야 하는데,
이혼율은 [이혼뉼]이라고 자연스레 발음이 되지만, 이혼률이라고 쓰면 아무래도 률 발음에 힘이
들어가지 않겠어요? 이혼율, 이혼률, 읽어보세요. 증가율을 증가률이라고 쓰면 더욱 그렇고.
저의 댓글
하하하, 숨은아이님 말씀이 제일 근거가 있는 것 같은데요.
그런데 한 번 더 토를 달자면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기에 "율"이냐 "률"이냐를 따질 때 기준이 되는 건 받침이 없는 경우인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비율"이나 "배율" 또는 "효율" 같이 앞에 받침이 없는 말이 올 때는 모두 "율"을 쓰잖아요.
그런데 앞에 받침이 있는 음절이 오는 경우에 어떤 경우는 "율"로 쓰고
어떤 경우는 "률"로 쓰니까 도대체 왜 이런 구분이 할까, 그 근거는 뭘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는 것 같아요.
숨은아이님 말씀은, “율”로 통일하게 되면, 가령 “이직율” 같은 경우는
[이지귤]이라고 발음하게 되니까 부적절하다, 또 “률”로 통일하게 되면,
“증가률” 같은 경우가 생기니까 역시 부적절하다, 따라서 따우님이 제시한 것처럼
받침이 어떤 게 오느냐에 따라 “율”과 “률”을 구분해서 써주는 게 옳다는 거죠.
그런데 우선 왜 받침 다음에 나오는 “율”이나 “률”은 꼭 [뉼]이라고 발음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지 않은가요? 꼭 그걸 [뉼]이라고
발음해야 하는 근거는 없는 거죠. 다만 우리가 말할 때 보통 그걸 [뉼]이라고 발음하니까
그렇게 말하는 게 아닐까요? 다시 말해서 이직율을 [이지귤]이라고 발음한다고 해서
그게 틀렸다고 말할 만한 법칙적인 근거는 없다는 거죠. 다만 사람들이 말할 때 그렇게
발음하지 않는다, 곧 그게 관습이다라는 거죠.
그런데 만약 우리가 [뉼]이라고 발음하는 게 하나의 관습이라면,
이 관습을 정당화하기 위해 꼭 그렇게 복잡한 근거를 만들어서
어떤 받침이 오는 경우에는 “율”을 쓰고 어떤 받침이 오는 경우에는 “률”을 쓰고 하는
법칙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을까요?
제가 보기에는 오히려 받침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율”이라는 단어를 표준으로 삼아서
앞의 음절에 받침이 있는 경우에도 모두 “율”이라고 쓰고, 간혹(혹시 있다면)
“이직율”을 [이지귤]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이징뉼]이라고 가르쳐주면
그걸로 족할 것 같은데요. 또는 학교에서 가르칠 때 “그건 [이징뉼]로 읽는다”라고 가르치면
족하겠죠.
정리하자면,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기존에 사람들이 말하는 발음이 표준이 된다면, 그걸 정당화하기 위해
굳이 그렇게 복잡한 기준을 만들어서 사람 헷갈리게 만들 필요가 뭐가 있을까라는 거죠.
거기에는 혹시 국어학자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지키기 위한 (무의식적인?) 욕망이
담겨 있지 않은가, 뭐 그런 생각이었습니다. (표현이 좀 지나쳤나?)
혹시 국어학 전공자 분들이 계신다면, 넓게 이해해주세요. 국어학자들의 노력을 비웃자는
건 아니고, 솔직히 좀 궁금해서 그렇게 말한 겁니다. 저는 아직도 잘 모르겠는데, 납득할
만한 근거가 있다면 물론 그 구분법을 따라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