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ésentation  또는  représenter를 우리말로 어떻게 번역할 수 있을까 질문하셨죠?

그런데, 이 문제는 사실 représentation  또는  représenter가 지닌 의미가 무엇이냐

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만이

아니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 또는 (탈)구조주의 언어론 등과 긴밀하게 관련된 문제여서

여기서 이 문제를 좀더 상세히 검토해봤으면 좋겠지만, 앞으로 다른 기회에 좀더 정교한 논의를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면서 그냥 간단히 몇 자 적어봤습니다.

 

다시 한번 환기하자면 문제가 되는 표현은, 알튀세르가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

국가장치] 논문에서 이데올로기를 정의하고 있는 다음 문장이죠.

 

 이데올로기는 개인들이 자신들의 현실적인 실존 조건들과 맺고 있는

 상상적 관계를 représent .

 

또는 다음과 같은 표현도 이 문제와 직접 관련이 있죠.

 

“인간들”이 이데올로기 안에서 “se représentent”하는 것은 인간들의 현실적인

실존조건, 그들의 현실 세계가 아니며, 이데올로기에서 그들에게 représenté

[표상/재현/상연된] 것은 그들이 이 실존조건과 맺고 있는 관계다. 

 

그런데 여기에서 사용된 représentation 또는  représenter가 지닌 의미를 모두 표현해줄 수 있는

우리말을 찾는 건 사실 거의 불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아시다시피 représentation은 매우

다의적인 개념이죠. 인식론적/심리학적 의미의 "표상"이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지만,

또한 "재-현", 곧  "re-présentation"이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죠. 그런데 이 때의 "재-현"

이라는 말은 원래 존재하던, 또는 실제로 존재하는 어떤 사물이나 실재 x를 사후에,

또는 모방해서 나타낸다는 의미도 갖고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사실 "표상"이라는

말과 크게 다른 의미를 갖기는 어렵겠죠. 재현되는 대상과 재현 사이에 원본-모방의 관계

또는 유사성의 관계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재-현",   "re-présentation"이라는

말에서 중심적인 것은 "현", 곧 "현시(顯示)"라는 데 있다기보다는 "재"라는 말,

곧 "되풀이", "반복",  또는 더 나아가 "대체"라는 의미에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런 의미로 본다면, "re-"의 작용은 원초적으로, 또 실재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대상 x의

존재를 미리 전제하고, 사후에 이를 모방하거나 표상하는 작용이라기보다는 실재-사물

또는 실재적 관계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해 있는 세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작용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겠죠.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re-présentation"을 원본-모방의

관계로 보는 것은 사실 "재-현"의 작용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표상/오인의 하나라고

볼 수도 있겠죠.  

 

더 나아가 알튀세르가 사용하는 représentation 개념 속에는 "상연"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곧 어떤 주체 또는 배우/행위자들이 허구적인

역할들을 실행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고 할 수 있죠. 이들이 허구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은 물론 상상적으로 부여받은 "정체성identity"이 되겠죠. 그리고 바로 이 때문에

이데올로기의 주요한 범주 중 하나가 "reconnaissance", 곧 상상적인 동일성/정체성을

부여받은 주체-행위자/배우들이 서로에 대해 서로의 동일성/정체성을 "인정"해주고,

또 그를 통해 자신의 동일성/정체성을 인지-재인지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reconnaissance"라는 범주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알튀세르가 사용하는 représentation 개념은 독일어의 Vorstellung

개념보다는 Darstellung 개념에 좀더 가까운 게 아닌가 합니다.  Darstellung 개념에는

Vorstellung, 곧 "표상"이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현시"나 "표현"이라는 의미도 들어 있고,

더 나아가 "상연"이라는 의미와 "서술-제시"라는 의미도 담겨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représentation을 하나의 우리말 단어로 번역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사실상 불가능한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영어로야, 불어 원어가 지닌 다양한 의미야 어찌 됐든  

어원이 같은 단어인 "representation"으로 표기하면 되니까 별 문제가 없겠지만, 우리말로

이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정말 어려운 문제죠. 이는 영어사용자들에 비해

그만큼 우리에게 불리한  점이겠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본다면 그만큼 유리한 기회이기도

하겠죠. 영어사용자들이 별 문제 없이 넘어가는 사실을 우리는 하나의 문제로, 심각한 문제로

절감하고 있으니까 말이죠. 너무 아전인수격인가요??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루 2005-04-08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마침 제가 represent와 관련해서 질문하나 드리려고 했는데^^;;
며칠 전에 책을 보다가- represent/representative관련한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저자가 represent의 "대표한다"라는 뜻을 새기면서 근대 대의정치를 비판했거든요. 그러다가 갑자기 표상/재현의 철학을 비판하는 것과 근대 대의정치를 비판하는 맥락을 섞어버리는 바람에;; 이와 관련된 논의가 있나 싶더라구요.

"대의정치도 재현의 사유, 표상의 사유와 나란히 가는 것이다. 근대 민주주의 원리인 대의정치는 근본적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이것이 문제의^^ 원문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예전부터 있었나요? 혹시 논의되는 책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재미있는 주제 같아서요^^


balmas 2005-04-08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지. 대의/대표라는 것하고, 표상/재현이라는 것하고 서로 연결이 돼있지.
그런데, 딱히 그걸 주제로 삼는 책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 부분적으로 다루는 것들은 있지만 말이야. 가령 데리다의 [법의 힘]이나 특히 [독립선언]에도 대표/대의와 표상의 관계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지.
데리다 연구자들이나 데리다의 작업에 영향받은 사람들이라면 이런 주제를 다뤄볼 만하겠지.

NA 2005-04-08 0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말씀을 듣다보니 '재-현' 관련해서는 주로 데리다에 의해 발전되었던 논의가 생각이 나는군요. [목소리와 현상]이라든지 '서명, 사건, 맥락'에서의 iterability 에 관한 논의라든지. 저로서는 '상연'이라는 의미가 결정적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지금 번역하고 있는 [대중들의 공포]의 '정치의 세 개념' 관련해서 사실은 저도 이 문제에 주목을 했었는데, 그것을 '상연'이라는 의미에까지 연결시킬 생각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représenter라는 말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탓이겠지요. 그런데 말씀을 듣고 보니, 정말 그렇구나 하게 되는군요. 씨빌리테가 해방 및 변혁의 정치가 설치되는 '정치의 또 다른 장면'이라고 말할 때, 특히 이 "상연" 개념이 들어올 수 있는 것 같습니다.

NA 2005-04-08 0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이렇게 써 놓고 나서 좀 더 생각을 해보니, [자본을 읽자]에서 알튀세르가 논한 Darstellung 개념이 기억 나는데, 처음에 저는 알튀세르가 Darstellung을 '상연'으로, Vorstellung을 '재현'으로 구별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영어로는 전자를 presentation으로 후자를 representation으로 연결시켰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알튀세르의 책으로 가서 뒤적여 보니, 알튀세르 자신은 Darstellung 만을 논했을 뿐, Vorstellung에 대한 언급은 아예 없군요. 또 Darstellung을 논할 때도 계속 독어로 표기를 했고, presentation이나 representation이라고 번역을 시도하지 않았군요. 과거에 저 자신이 쓴 '알튀세르의 최종심급 개념'이라는 글에서 이 상연개념을 논하면서 제가 했던 정리가 정밀하질 못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군요. 아마도 라이프니쯔-헤겔의 표현적 인과율을 현상이 본질을 re-present(재현)한다는 식으로 보면서, 그것을 Vorstellung으로 연결시켰기 때문에 그렇게 사고를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놓고 보니, 결국 re-presentation의 re-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이야기가 회전하는 느낌이군요. re를 주어진 것의 복사라고 생각하기 보다 반복이라고 생각을 한다는 것, 반복은 이미 원본이나 기원적인 것 안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Darstellung을 're-presentation'이라고 옮기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군요.

balmas 2005-04-08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자본을 읽자]에서는 Darstellung을 원어 그대로 쓰고 있죠.
그리고 [이데올로기 국가장치] 논문에는 알튀세르가 "representation"을 "상연"이라는 의미(또는 Darstellung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구절이 나온답니다. 그리고 사실 이런 점에 주목하지 않기 때문에(다른 이유도 있지만),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기능주의로 보거나 지젝처럼 알튀세르가 라캉을 불완전하게 모방했다고 보는 어이없는 비판들이 나오고, 그것을 옳은 것으로 수용하는 일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NA 2005-04-08 15: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젝의 알튀세르에 대한 비판은 지젝 자신의 오해(사실은 라캉에 대한 그의 오해가 알튀세르에 대한 오해보다도 더 심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에 기반한 엉뚱한 비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상연과 재현 관련해서, 영어에서는 represent 라는 말은 사전을 찾아보면 '상연하다'라는 뜻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여기서 직접 느낀 바로는 사실 represent라는 말을 상연하다는 의미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사실 사전에도 보니, represent라는 말이 상연의 의미로 쓰인 경우는 매우 문어적인 표현에서 쓰인다는 말을 하더군요. 불어에서는 어떤지 좀 궁금해지는군요. 불어에서는 상연이라는 뜻으로 representer (악상은 생략합니다)를 많이 사용하는지....

balmas 2005-04-08 1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프랑스에서 오래 살아보거나 하지 않았기 때문에 확신을 갖고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일상에서도 이 단어를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가령 연극 공연 같은 걸 광고할 때 어떤 극장에서 어떤 작품이 상연된다는 말을
표현하기 위해 "representer"나 "representation"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본 적이 있거든요.

NA 2005-04-09 0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이런 게 참 어려운 것들 가운데 하나인 것 같습니다. 같은 어원을 가질 때조차도 말들이 다르게 변해나가기 때문에 자칫 놓치기가 쉽고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죠. 그리고 저 위에 사전 소개해주신 것 저도 몰랐는데, 한 권 꼭 구입해야겠군요. 많이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