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표기 문제 자체가 늘 시빗거리를 안고 있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전공자 입장에서 가끔 어처구니 없는 표기법을 목격하게 된다.
예컨대 루이 "알튀세"나 에티엔 "발리바"라는 표기법이 그렇다.
가끔 이런저런 글을 쓰거나 번역을 할 때 출판사에서 보낸 교정지를 보면
버젓이 "알튀세"나 "발리바"라고 고쳐진 것을 보게 된다.
왜 이렇게 고쳤는지 물어보면, 어떤 이들은
그게 "표기법 원칙"이라고 답변을 한다.
사실 불어에서는 마지막 자음을 발음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예컨대 Blanchot는 "블랑쇼"라고 표기하고 Foucault는 "푸코"라고 표기하는 것은
바로 이런 원칙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다 이렇게 표기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람의 성이 그런데, 사람의 성의 경우에는 마지막 자음이라 하더라도
발음을 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이다.
가령 잘 알려진 시인인 René Char가 여기에 해당한다. 그는 "르네 샤"가 아니라
"르네 샤르"이기 때문이다. 또 국내 표기법에서도 "르네 샤르"라고 번역된다.
또 Victor Delbos라는 20세기 초의 철학사 연구자는
"빅토르 델보"가 아니라 "빅토르 델보스"라고 발음한다.
Levinas 역시 "레비나"가 아니라 "레비나스"라고 발음하고.
그런데 왜 Althusser나 Balibar는 "알튀세"나 "발리바"라고 표기할까?
이런 표기법을 원칙으로 만든 사람은 프랑스 현지에 가서
발음법을 확인한 것일까?
내가 알기로는 Althusser나 Balibar는 모두 마지막 자음이 발음이 되고
따라서 "알튀세"나 "발리바"가 아니라 "알튀세르"나 "발리바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더욱이 후배 한 명이 어떤 프랑스인에게 물어본 적이 있는데, 그의 말에 따르면,
딱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프랑스인의 발음법상 "알튀세"나 "발리바"라는 발음은 이상하다고 한다.
마지막 "r"까지 발음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
글을 한 편 쓰다가 심심해서 한 마디 해봤는데,
사실 그렇게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가끔 터무니없는 원칙을 내세우는 것을 보면 좀 짜증이 날 때가 있다.
하기야 프랑스 놈들은 외국인 이름도
제멋대로 부르는 놈들인데 ... ;;;
(아래 페이퍼 참조)
http://blog.aladin.co.kr/balmas/610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