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비 아카데미에서 오는 11월 25일(금)부터 "전쟁, 폭력, 반폭력"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합니다.
이번 강의는 총 24강에 걸친 강의로, 1부, 2부, 3부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입니다.
아래는 강의 소개입니다.
-------------------------------------------------
https://greenbee.co.kr/50/?idx=17
전쟁, 폭력, 반폭력_1부 (온/오프)
160,000원
• 수강기간 : 2022. 11. 25 ~ 2023. 1. 13
_(총 8강, 금요일 저녁 7:30~9:30)
• 온라인/ 오프라인 강좌 동시 진행입니다.
온라인/오프라인 신청은 따로 나누어져 있지않으며, 강의를 신청하시면 수업 시작 전 모든 수강생분들께 온라인 강의를 시청하실 수 있는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온/오프라인 강의에 참석해주세요.
• 매주 수업 후 ‘강의 다시보기’가 제공됩니다.
▶강의소개
2022년 2월에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우리의 문명의 중심에 전쟁과 폭력이 뿌리 깊이 내재해 있음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프로이트는 1차 세계대전을 경험하면서 “왜 전쟁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바 있는데, 이제 우리에게 다시 한 번 그 질문이 무겁게 제기되고 있다. 왜 문명은 전쟁의 운명에서 분리될 수 없는가? 왜 정치 공동체는 폭력의 뿌리를 근절하지 못하는가? 폭력을 근절하고 진보를 이루기 위해서는 지배적 폭력에 맞서기 위한 대항폭력이 불가피한가? 아니면 진정한 정치의 진보는 폭력을 넘어서는 정치를 요구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비폭력 또는 반폭력의 정치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가능한가? 이런 질문들이 우리가 이 강의에서 살펴보려고 하는 중심적인 주제들이다. 이 질문들을 살펴보기 위해 우리는 주디스 버틀러와 에티엔 발리바르가 최근에 발표한 저작들을 함께 읽어보려고 한다. 이 강의는 전체 3부 24강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1부: 비폭력인가 반폭력인가: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 ,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
1부 강의에서는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과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을 함께 읽으면서 폭력과 대항폭력, 비폭력, 반폭력의 관계를 살펴본다.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은 정신분석적인 통찰을 바탕으로 비폭력에 관한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은 마르크스주의 역사에서 폭력과 대항폭력의 아포리아를 검토하면서 반폭력의 정치와 윤리를 “시민다움”이라는 개념으로 사고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두 사람의 비폭력과 반폭력에 관한 깊은 사유는 전쟁과 폭력이라는 난제를 살펴보기 위한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준다.
2부: 폭력의 정치철학: 홉스, 헤겔, 슈미트, 데리다, 들뢰즈ㆍ가타리
2부 강의에서는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1부를 바탕으로 관련된 저술을 읽으면서 홉스, 헤겔, 슈미트, 라캉, 들뢰즈ㆍ가타리, 푸코, 데리다와 같은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폭력의 정치철학을 살펴보려고 한다. 폭력과 대항폭력, 반폭력이라는 주제는 홉스에서 들뢰즈ㆍ가타리에 이르기까지 서양 철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였지만, 국내에서는 이 주제가 제대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 강의에서는 서양 근현대 정치철학의 뿌리에 놓여 있는 폭력이라는 주제를 면밀하게 사유해보고자 한다.
3부: 전쟁과 평화의 정치철학: 클라우제비츠, 슈미트, 레닌, 간디
마지막 3부에서는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문헌들을 함께 읽으면서 클라우제비츠에서 슈미트, 레닌, 간디에 이르기까지 전쟁과 평화의 정치사상의 흐름을 살펴보려고 한다. 발리바르는 이 저작에서 한편으로 걸프 전쟁에서 9.11 테러 및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르는 최근의 비극적인 전쟁들을 검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클라우제비츠에서 간디에 이르는 전쟁과 비폭력의 정치사상을 분석하면서, 반폭력과 평화의 문명을 건설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과 통찰은 한국전쟁 이후 70여 년 동안 분단체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반전평화운동을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커리큘럼
1부 (2022. 11. 25 ~ 2023. 1. 13)
: 비폭력인가 반폭력인가: 버틀러의 『비폭력의 힘』 , 발리바르의 『폭력과 시민다움』
‣ 1주. 버틀러 『비폭력의 힘』 1장: 비폭력, 애도가치, 개인주의 비판
‣ 2주. 버틀러 『비폭력의 힘』 2장: 다른 누군가의 생명을 지킨다는 것
‣ 3주. 버틀러 『비폭력의 힘』 3장: 비폭력의 윤리학-정치학
‣ 4주. 버틀러 『비폭력의 힘』 4장: 프로이트의 정치철학- 전쟁, 파괴성, 열광, 비판력
‣ 5주.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1장: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혁명적 폭력론
‣ 6주.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1장: 반자본주의와 반제국주의 혁명론- 레닌, 벤야민, 파농
‣ 7주.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2장: 극단적 폭력의 현상학- 시몬 베유, 한나 아렌트, 아쉴 엠벰베
‣ 8주.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2장: 시민다움의 정치와 윤리-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 막스 베버, 알랭 바디우
2부 (추후 진행 예정)
: 폭력의 정치철학: 홉스, 헤겔, 슈미트, 데리다, 들뢰즈ㆍ가타리
* 에티엔 발리바르의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는 강사가 조만간 그린비 출판사에서 출간할 번역 원고를 가지고 진행할 계획입니다.
‣ 1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서론: 폭력과 정치의 아포리아
‣ 2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1장: 홉스, 헤겔, 폭력의 지양?
‣ 3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 부록: 「홉스와 슈미트: 폭력의 정치철학」 (I)
‣ 4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 부록: 「홉스와 슈미트: 폭력의 정치철학」 (II)
‣ 5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장: 폭력의 잔혹성: 전환 불가능한 폭력?
‣ 6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3장: 시민다움의 전략: 헤겔과 인륜성
‣ 7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3장: 시민다움의 전략: 소수자 전략, 다수자 전략
‣ 8주. 발리바르 「해방, 변혁, 시민다움: 정치의 세 개념」, 『대중들의 공포』, 도서출판 b.
3부 (추후 진행 예정 )
: 전쟁과 평화의 정치철학: 클라우제비츠, 슈미트, 레닌, 간디
‣ 1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 1장: 「클라우제비츠 이후: 전쟁과 정치」(I)
‣ 2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 1장: 「클라우제비츠 이후: 전쟁과 정치」(II)
‣ 3주. 발리바르 「오늘날의 전쟁과 정치」 『황해문화』 2022년 겨울호
‣ 4주. 발리바르 「마르크스주의와 전쟁」. (강사 번역)
‣ 5주.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2부 2장: 「레닌과 간디」
‣ 6주. 발리바르 「주권에 관한 서언: 칼 슈미트의 주권 이론」, 『우리, 유럽의 시민들?』
‣ 7주. 발리바르 「우리는 전쟁 속에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한 성찰」. (강사 번역)
‣ 8주. 발리바르 「탈주선을 탐색하기: 재난의 시대에 구체적 유토피아란 어떤 것인가?」. (강사 번역)
‣ 참고문헌
주디스 버틀러, 『비폭력의 힘』 , 김정아 옮김, 문학동네, 2021.
에티엔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 진태원 옮김, 난장, 2012.
에티엔 발리바르, 『웰렉도서관 기념 강의』, 진태원 옮김, 그린비, 근간.
에티엔 발리바르, 『대중들의 공포』, 서관모, 최원 옮김, 도서출판 b, 2007.
에티엔 발리바르, 『우리, 유럽의 시민들?』, 진태원 옮김, 후마니타스, 2010.
Etienne Balibar. "Marxism and War", Radical Philosophy no. 160, 2010.
Etienne Balibar. , "Nous sommes dans la guerre"
https://aoc.media/analyse/2022/07/04/nous-sommes-dans-la-guerre/
Etienne Balibar., "Uncovering lines of escape: towards a concept of concrete utopia in the age of catastrophes"
https://blogs.law.columbia.edu/utopia1313/etienne-balibar-uncovering-lines-of-escape-towards-a-concept-of-concrete-utopia-in-the-age-of-catastrop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