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때리다 2006-08-09  

형이상학 이라는 단어의 의미.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또는 라이프니츠까지 형이상학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존재론과 거의 동의어로 알고 있는데요. 칸트에게 있어서 형이상학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대강 형이상학=초월철학(또는 선험철학)이라고 봐야하는 것인가요? 형이상학이라는 단어를 존재론으로 바꾸어서 읽으면 도무지 책이 안 읽히는지라... 또한 칸트의 무제약자라는 것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네요. 이데아가 그런 것에 속하는 건 맞는 것 같은데 무제약자가 이데아(이념)과 동의어는 분명 아닌 것 같고..... 형이상학이라는 단어만 보이면 덜덜덜 떨립니다. 형이상학을 대강 "감성에 수용되는 것을 넘어 있는 것을 탐구하는 학문"으로만 머리에 박아놨는데 그러면 도무지 안 읽히는 문맥을 많이 접하여서....
 
 
balmas 2006-08-10 0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지금은 좀 바빠서 답변을 드리기가 곤란하고
며칠 있다가 시간이 좀 나면 답변해드리죠.
형이상학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긴 하지만, 사실 그 의미가 상당히
다양한 편이어서 철학 전공자가 아니라면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한 가지만 말씀드리면, "형이상학 = 존재론"으로 바꿔 읽어서 이야기가 잘 안 통하는 경우에는, 형이상학 = 서양 철학의 이데올로기(헤겔의 경우는 비변증법적 사고, 마르크스/엥겔스의 경우는 반유물변증법적 사고, 니체의 경우는 플라톤주의, 하이데거는 현존의 형이상학, 데리다의 경우는 로고스 중심주의 등)으로 바꿔서 읽어보세요. 그럼 어느 정도 뜻이 통할지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