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라딘 서재
l
명예의 전당
블로거 베스트셀러
최근 서재글
이달의 당선작
인기태그
북플
l
알라딘 메인
l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알라딘굿즈
온라인중고
중고매장
음반
블루레이
커피
장바구니
주문조회
나의계정
고객센터
추천마법사
서재통합 검색
통합검색
국내도서
외국도서
전자책
만권당
알라딘굿즈
온라인중고
중고매장
커피
음반
블루레이
-----------
서재검색
서재태그
마이리뷰
마이리스트
마이페이퍼
서재
나의서재
l
전체글보기
보관리스트
구매리스트
방명록
서재브리핑
l
찜한 글
즐겨찾는 서재
내가 남긴 댓글
누군가가 남긴 댓글
먼댓글 브리핑
서재관리
l
나의 정보
카테고리 관리
레이아웃/메뉴
스킨/디자인
친구
오늘의 마이리스트
방문자 통계
글쓰기
l
리뷰
마이페이퍼
마이리스트
즐겨찾는 서재
l
하늘 받든 곳
https://blog.aladin.co.kr/balmas
글보기
l
서재브리핑
l
서재관리
l
북플
비로그인
2006-06-27
창비의 서양근대철학을 읽고 있는데 궁금한 게 있네요..
서양근대철학을 읽고 있는데 용어의 혼란이 와서 질문드려요. 토마스 리드를 다룬 부분에서 저자가 버클리나 흄을 관념론자로 지칭하고 있는데 1.흄을 관념론자로 보는 게 맞나요? 제가 알기론 관념론(=현상론)은 "나"밖에 무엇인가 실재한다는 실재론의 반대로 알고 있는데 흄 역시 실재론자가 아닌지 궁금하네요.로크는 분명한 실재론자인 것으로 아는데 말이죠.... 2.또한 경험론자 이면서 동시에 관념론자일 수도 있는 것인가요? 그리고 3. 합리론(=이성론)자들을 관념론자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인가요?
balmas
2006-06-28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번과 2번 질문은 해당 내용을 봐야 답변할 수 있겠는데, 지금 책이 어디 있는지 못찾겠네요. 내일 학교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본 다음에 답변을 드릴게요. 3번 같은 경우는 이렇게 답변할 수 있겠네요. "합리론"이나 "경험론"은 인식의 기원과 근거를 기준으로 분류된 명칭들이고, 관념론이나 실재론은 실재 자체 또는 세계의 성격이나 근거를 기준으로 분류된 명칭들이죠. 그러니까 합리론자들 중에도 관념론자와 실재론자가 모두 있을 수 있겠죠. 이건 경험론자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1번과 2번 질문은 해당 내용을 봐야 답변할 수 있겠는데, 지금 책이 어디 있는지 못찾겠네요. 내일 학교 도서관에서 책을 찾아본 다음에 답변을 드릴게요.
3번 같은 경우는 이렇게 답변할 수 있겠네요. "합리론"이나 "경험론"은 인식의 기원과 근거를 기준으로 분류된 명칭들이고, 관념론이나 실재론은 실재 자체 또는 세계의 성격이나 근거를 기준으로 분류된 명칭들이죠. 그러니까 합리론자들 중에도 관념론자와 실재론자가 모두 있을 수 있겠죠. 이건 경험론자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비로그인
2006-06-29 0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발마스 님 1,2번도 알려주세용~~~(땡깡 부리기? ㅡㅡ;;)
ㅎㅎㅎ 발마스 님 1,2번도 알려주세용~~~(땡깡 부리기? ㅡㅡ;;)
balmas
2006-06-29 0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꾸 때리다님, 책을 봤더니, 데카르트에서 로크를 거쳐 흄에 이르는 철학자들을 "관념론자"라고 부르는 것은 토머스 리드의 관점에 따른 평가더군요. 리드는 관념론은 두 가지 전제에 기반해 있다고 보죠. 첫째, 우리의 지식의 원천은 사물들의 이미지에 있다는 것, 둘째, 이러한 이미지는 외부 사물들을 재현한다, 곧 외부 사물들의 성질들을 유사하게 묘사한다는 것이죠.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버클리나 흄도 관념론자라고 할 수 있죠. :-)
자꾸 때리다님, 책을 봤더니, 데카르트에서 로크를 거쳐 흄에 이르는 철학자들을 "관념론자"라고 부르는 것은 토머스 리드의 관점에 따른 평가더군요. 리드는 관념론은 두 가지 전제에 기반해 있다고 보죠. 첫째, 우리의 지식의 원천은 사물들의 이미지에 있다는 것, 둘째, 이러한 이미지는 외부 사물들을 재현한다, 곧 외부 사물들의 성질들을 유사하게 묘사한다는 것이죠.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버클리나 흄도 관념론자라고 할 수 있죠. :-)
비로그인
2006-06-29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드의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라는 이야기군요. 발마스 님 곰압습니다~
리드의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라는 이야기군요. 발마스 님 곰압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Jacques Derrida (1930-2004) 해체라는 유물론을 위하여 -
balmas
리스트
마이리스트
마이리뷰
마이리뷰
마이페이퍼
단상들
타인의 사고-1
타인의 사고-2
번역
인권 이야기
사회화와 노동
토론
프리즘 총서
2014 한겨레 기획연재
우리가 살고 싶은 나라
방명록
2007
8
서재지수
: 82898점
마이리뷰:
49
편
마이리스트:
2
편
마이페이퍼:
1428
편
오늘 34, 총 633027 방문
오늘의 마이리스트
선택된 마이리스트가 없습니다.
최근 댓글
강원도 횡성의 자랑, ..
진태원 선생님은 탕수..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
선생님, 안녕하세요. ..
학자들의 엄밀함이 때..
감사합니다!!!
서발턴에 대해서 흥미..
좋은 책 번역해 주셔서..
출간한다는 소식을 어..
네, 답변해주셔서 감사..
먼댓글 (트랙백)
powered by
aladin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