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루 2005-06-25  

안녕하세요^^
이제 장마도 온다고 하니 정말 여름인가봐요. 건강 유의하시고 삼계탕 꼭 드세요^^ 사실. 뭐 여쭤볼라 하는데- 저번처럼 번거롭게 해드리는 게 아닌가 해서 걱정임다;; 며칠 전부터 <마키아벨리의 가면>을 보고 있는데요, 역시나 잘 모르겠더라구요. 절반정도 읽고 있는데, 이제 모르는 것들이 쌓이고 쌓여서-_- 날도 더운 데 큰일이 날 듯;; 그래서요- 선생님. 이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될 만한 말씀 하나만 남겨주시면 좋을 듯 싶어요^^ 선생님이 알라딘에 쓰신 서평보니깐 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의 알튀세르의 복잡다단한 생각들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물론 역자들에게) 쓰셨는데- 저도 이게 뭔지 모르는 등;; 잉잉 암튼. 이 책 꼭 완독하고 싶은데- 도움 한 번 주세요. (부탁부탁 orz) 제가 저 책을 읽을 때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알려주셔도 좋구요^^ 아. 그리고- 저 책이 알튀세르의 "외경"이라고 하셨는데, 무슨 의미인지요? "외경"은 주로 무협소설에서 듣던 단어라서;; ㅎㅎ
 
 
balmas 2005-06-26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움이 될 만한 말이라 ... 그냥 열심히 읽으라고 하는 수밖에 없을 듯한데. ^^;;; 아무래도 마키아벨리에 관한 개론적인 지식을 가지고 읽으면 더 도움이 되겠지. 진원숙 교수의 [마키아벨리와 국가이성]이라는 책을 읽어 보면, 마키아벨리 사상의 배경이나 [군주론]과 [로마사론]의 차이점 같은 것들을 알 수 있을 거야. 이런 배경 지식을 가지고 읽는 게 더 도움이 될 거야.
그리고 알튀세르의 마키아벨리론에 관해서는 [번역] 항목에 있는 미구엘 바터의 글이나 발리바르의 글을 참조하면 도움이 될 거야.
<외경>이라는 건 <정경>의 반대말이지. 공식적으로 인정된 경전과 다른 경전이라는 말인데, 비유적인 표현으로 자주 쓰고 있는 말이지.
가령 알튀세르의 저작 중 <정경>에 해당하는 게 [마르크스를 위하여]나 [자본을 읽자], [레닌과 철학],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 국가장치] 같은 것이라면, <외경>에 해당하는 건 바로 [마키아벨리와 우리]나 [마주침의 유물론의 은밀한 흐름] 같은 게 되겠지. ^-^

루루 2005-06-27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감사^^ 열심히 읽어야지요 ㅎㅎ

balmas 2005-06-27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열심히 읽으라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