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이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데 다인엄마, 우리 아파트에 귀신있다는 거 알아?" 
"어머, 진짜요? 진짜진짜진짜? 어떤 귀신인데요? 어디서 나온대요?"
"아이고... 다인엄마도 참. 애들처럼. 귀신 이야기 좋아해?" 

뭐... 어른은 귀신이야기 좋아하면 안되나. 내가 이사온지 3개월이 좀 넘은 이 아파트에 오래 살았던 그 분은 귀신 이야기의 서두만 꺼내놓고 뒷말을 흐렸다. 덕분에 밤마다 좀 으스스하긴 하다. 어차피 밤엔 나다닐 일도 없지만.  

난 귀신은 싫어하는데, 정확히는 굉장히 무서워하는데, 귀신 이야기는 좋아한다. 저승으로 가거나 새로운 생을 받아 태어나지 못하고 이승을 떠도는 귀신의 이야기는 그만큼 절절한 사연을 가진 것이라 정확히 내가 좋아하는 것은 그 사연과 이야기이다. 나는 그래서 사연없는 귀신은 무서워하는 것만큼이나 싫어라한다. 그 사연이 모두에게 잊혀진 뒤에도 남아서 떠도는 귀신은 구질구질해 보인다.  

귀신이 되어 구천을 떠돌만한 영혼의 사연이란 미련이 되었건 원한이 되었건 비범을 넘어선 임팩트가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귀신 이야기에 열광하는 것일테다. 단순히 살아있는 사람들의 원한과 미련과는 도저히 대적이 되지 않는 강도니까. 죽음으로도 끝내지 못한 원한 또는 사랑이라니. 오오오오.  

이 책에 실린 아홉편의 이야기는 한편을 제외하곤 모두 귀신이야기다.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난 미야베 미유키를 읽다보면 종종 쓸쓸하면서도 따스한 무언가를 느낀다. 미야베 미유키는 삶과 사람이라는 게 얼마나 외롭고 쓸쓸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인정을 잃지는 않는데, 그 인정이라는 것이 소설, 나아가 사회 전체를 따뜻하게 데울 무언가는 절대 되어주지 않고, 이 차갑고 쓸쓸한 세상의 아주 작은 위로가 되어주는 정도다. 오히려 그 인정이라는 것, 인간성이라는 것이 존재함으로 해서 세상의 쓸쓸함이 더욱 부각되는 느낌이랄까. 

미야베 미유키의 그런 분위기는 귀신이야기에서도 여전히 이어진다. 일본의 에도시대, 작은 상가와 그 상가의 고용일꾼들의 이야기인 이 책에서도 미미여사 특유의 냉정한 세계관은 별로 달라지지 않았고, 그 속의 따스함도 여전하다. 아. 그녀 소설의 따스함은 너무 미약한데도 너무 따뜻해서 참 눈물겹다.  

그리고, 여전히, 재미있다. 

재능이라는 것도 유전되는 것일까. 그녀의 아버지는 일본의 굉장히 유명한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