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여행
김훈 지음, 이강빈 사진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참 나쁘다, 이 사람. 글을 왜 이렇게 아프게 쓰는가. 

하릴없이 마음이 잦아드는 날이 있다. 평소와 하나 다를 것 없는 창밖 풍경이 문득 쓸쓸하게 보이는 날엔, 김훈의 글은 피해야 한다. 그런 날 김훈의 글줄을 읽어버리면 세상 사는 것이 하염없이 쓸쓸하고 덧없는 것으로 느껴져서 어쩔줄을 모르겠다. 

이 책은 기행문이다. 기행문은 기행문인데 감상이 없다. 무릇 기행문이란 여행을 하고 난 뒤의 감상과 느낀점을 기록하는 글 아닌가. 헌데 이 책엔 아름답다, 감동적이다 이런 감정에 관한 단어가 전혀다시피 없다. 그저 김훈은 그 풍경에 대해 신문 기자 시절의 습관대로 스케치하듯 옮겨놓는다. 그런데 그 스케치들을 읽다보면 그게 보인다. 이 글줄들을 쓸때, 이 사람이 어떤 감정이었을까, 어떤 기분이었을까가. 그리고 그것이 그대로 나의 감정이 된다.   

가끔은 그런 글들이 있다. 읽을 때 나의 감정의 층위에 따라 다르게 읽히는 글. 내가 책에 줄을 긋는 이유는 단 하나다. 두번째 읽을 때에도 난 이 구절에 마음이 움직일까가 궁금해져서. 김훈의 글은 읽을때마다, 그때의 기분에 따라 줄이 그여지는 부분이 달라진다. 세번째 읽는 이 책은, 그래서 밑줄 투성이다.  

지난번에 읽을 때는 그저, 이 사람은 이 한반도의 풍경을 참 사랑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는데, 이번엔 이 사람이 이 글을 쓰면서 느꼈을 울분이 손에 잡힌다. 그 울분과 눈물을 꾹꾹 참으며, 그 울분과 눈물을 글에 섞지 않으려 노력하며 한줄 한줄 써내려 갈때, 그는 아마 울었을 것 같다. 그래서 도대체 울 것이 없는 구절에서도 울컥울컥 눈물이 난다.  

참 나쁘다, 이사람. 글을 왜 이렇게 아프게 쓸까.  

대부분에서 이 책의 구절들은 여행지의 안내문 같이 건조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그 구절들에 결코 건조하지 않은 김훈의 시각을 섞어 넣는다. 예를 들면 이런식이다. 

봉정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은 고려 중기의 목조 건물인 극락전(국보 15호)이다. 이 극락적은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함께우리 나라 최고의 목조 건물인데, 건축 양식으로는 무량수전보다 오래된 것으로 평가된다. 봉정사 극락전은 부석사 무량수전처럼 장엄하고도 숨막히는 산하의 경치를 눈 아래 깔고 있지는 않다. 그 건축의 질감은 무량수전과 흡사한 점이 없지 않지만, 규모는 무량수전보다 작다. 봉정사 극락전은 고전적인 단순성의 위엄과 힘의 안정감으로 당당하다. 1363년에 이 건물을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건립 연대는 그보다 앞선 고려 중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p.145)

 

이런 구절도 그 구절대로 아름답지만, 김훈의 절창이 드러나는 구절은 이쪽이다.  

살아갈수록 풀리고 퍼지는 것이 아니라 삶은 점점 더 고단하고 쓸쓸해진다. 늙은 말이 무거운 짐을 싣고 네 발로 서지 못하고 무릎걸음으로 엉기는 것 같다. 겨우, 그러나 기어코 봄은 오는데, 그 봄에도 손잡이 떨어진 냄비 속에서 한 움큼의 냉이와 된장은 이 기적의 국물을 빚어 낸다. 사람도 봄나물처럼 엽록소를 피부에 지니고 태어난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라고 냉이된장국을 먹으면서 아내에게 말했다. 아내는 슬퍼했다. 아내를 위로한다고 꺼낸 말이 또 이지경이 되었다.
(p.37) 

쑥 된장국의 냄새는 그것을 먹는 인간에게 괜찮다, 다 괜찮다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 마침내 돌아가야 할 곳의 정갈함을 일깨우기도 한다. 그 풀은 풀의 비애로써 인간의 비애를 헐겁게 한다.
(p.39) 

이 구절들을 읽다가 문득 울컥했다. 어쩌면 이 사람은, 그래서 자전거를 타고 이 국토를 여행하기 시작했나보다, 하는 생각을 했다. 괜찮다, 다 괜찮다 라는 위안을 받고 싶어서. 그런 위안이 필요할만큼 이 글을 쓸 무렵의 김훈은 힘들었나보다. 그리고 문득 마음이 쓸쓸해서 아리고 슬픈 날엔, 나도 김훈의 그 글줄에서 아픈 위안을 받는다.  

그래도 참 나쁘다. 글이 너무 아파서. 

한동안은 김훈의 글줄들을 피해다녀야겠다. 이 마초중의 상마초인 아저씨가, 어쩌자고 이런 글들을 써내는가 말이다.  

어떤 의미에서건, 국내 여행기에선 거의 최고봉이란 생각을 한다. 감상을 넣지않은 기행문이 이렇게까지 감정을 건드리고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건 정말 도대체 왜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