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의 정원에서 - 죄악과 매혹으로 가득 찬 금기 음식의 역사
스튜어트 리 앨런 지음, 정미나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마크 트웨인이 그랬다지.
"아담은 사과가 탐이 난 것이 아니라 단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탐을 낸 것이다." 라고. 그게 무엇이건 간에 금지된 것은 매력을 가진다. 본질을 알고 나면 더할나위없이 시시껍절할 지라도 본질을 알기 전까지 금지된 그 무엇은 이세상 그 무엇보다 매력있는 무언가가 되는 것이다. 단지 금기라는 이유만으로도.
이 책은 숱한 금기들 중 음식 금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겠다고 기운차게 출발 한다. 어떤 음식이 왜, 어떤 이유로 금기 음식이 되었는가, 하는 이야기. 그것도 단테의 <신곡>에 나오는 7대 죄악에 맞추어, 어떤 음식이 금기시 된 이유에 관해 설명하겠다고 시작을 하지만, 웬걸. 읽다보면 음식 금기에 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과거 엽기적인 식문화에 관련된 나열이다. 특히, 기독교 지식이 전무한 사람들이 읽기에는 여러모로 부담스러운 점이 많다. 읽는이가 어느정도는 기독교에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리라 전재하고 시작하니까. 물론 번역자 (정미나 : 『호박속의 잠자리』번역가^^)가 독자의 이런 고충을 미리 짐작했음인지 여러가지로 역자주를 달아주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게다가 단테의 <신곡>의 7대 죄악에 맞추어 음식에 대한 금기(그게 아니면 엽기적인 조리법이라 할 지라도)를 나누어 놓았지만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이야기들 사이의 체계가 잡히지 않는다. 차라리 시대별 분류법을 따르든가.
쵸콜렛이 금기식이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옥수수나 토마토가 그랬다는 건 신선한 일이었고, 당시의 화려한 만찬장면에 대한 묘사나 의외의 음식에 대한 설명등이 나름 재미있었다. 미시적 사회사를 보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