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산샤의 <측천무후>와 더블 리뷰 

언젠가, 강선생님이 프랑스어의 표현력에 관해 이야기 하신 적이 있었다. 영어, 불어, 일어, 한국어, 4개국어를 완벽하게 하는 데다 국문학을 전공으로 불문학을 부전공으로 하신 분이시니까 아마 설득력이 있는 말일테다. 문학을 하기에 가장 좋은 언어는 프랑스어와 한국어라고. 일본어와 영어의 표현력은 한국어와 프랑스어를 따라오지 못한다고 하셨다. 그래서일까? 프랑스인이 아니면서 프랑스어로 창작을 하는 작가들이 꽤 있다. 벨기에 출신의 아멜리 노통이나 중국인 산샤등.

『측천무후』는 산샤가 프랑스어로 쓴 중국 황실의 이야기다. 중국의 역사에 그다지 해박하지 못한 나는 지금까지 당나라의 측천무후와 청나라의 서태후를 혼동하고 있었다. (창피하다.) 그 삶이 비슷해서일까. 아니면 중국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혼동되어 버렸을까.

이국적인 것은 에로틱하다는 말이 있다. 이 글은 상당히, 에로틱하다. 에로틱한 장면들이 많이 연출되기 때문이 아니라, 그냥 글 자체가 에로틱하다. 묘사나 사건들에서 관능이 넘친다.

권력의 극에 달하면 색을 탐하게 되는 것은 아무래도 인간의 공통적인 특성이 아닌가 싶다. 남자건 여자건 간에. 측천무후의 결말도, 미실의 결말도 그 끝은 색에 닿아 있다.

진본이다 아니다, 상상이다 아니다 논란이 분분한 김대문의 『화랑세기』를 그 바탕으로 쓰여진 김별아의 『미실』역시 에로틱하다. 엄격한 유교 윤리에 길들여 진 눈으로 보았을 때 미실은 확실히 파격적인 인물이다.

주인공의 이름을 책의 제목으로 쓰게 되는 것은 몇가지 장점을 가지게 된다. 무엇보다 주인공의 삶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낳는다. 그 주인공의 행적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의 삶,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되는 것이다.

측천무후와 미실은 거의 동시대의 인물이다. 당나라에서 측천무후가 황태후로서 권력을 누리고 있을 때, 신라에서는 미실이 왕의 애첩으로서 권력을 누리고 있었다. 두 여인의 삶은 비슷한 양상을 띄고 진행된다. 비록 측천무후는 눈에 띄게 아름다운 여자가 아닌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여자였고 미실은 신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라는 칭호를 받게 되지만. 두 사람 모두 유명무실한 남편의 존재를 두고 권력을 한 손에 쥐고 휘두른다.

김별아는 『미실』이라는 작품을 쓰며 작가가 통제할 수 없는 인물을 만들어 내고 싶었다는 말을 했는데 소설에 그 말은 딱 어울린다. 미실은 작가의 통제와 상상을 벗어난 인물이다. 읽으면서 불편해 질 정돈데 쓰는 사람은 얼마나 더 불편했을까.

여자 이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권력으로 남자 이상의 권세를 누렸던 동시대 두명의 여 황제. 글 곳곳에 느껴지는 관능적인 분위기가 매력의 포인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