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여행 2
김훈 지음, 이강빈 사진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곽재구의 <포구기행>과 더블 리뷰.  

자전거 여행 2는 김훈의 세번째 기행 산문집이다. 첫번째 기행 산문집의 제목은 『풍경과 상처』다. 그 글에서 김훈은 "나에게, 풍경은 상처를 경유해서만 해석되고 인지된다"(김훈, 『풍경과 상처』, 문학동네, 1994, 서문)라고 말한다. 하여 김훈은 "모든 풍경은 상처의 풍경일 뿐"(같은 책)이라고 말한다. 그리하여 김훈의 모든 기행 산문은 마침내 "풍경과 상처 사이에 언어의 징검다리를 놓으려는 미망(迷妄)속에서 한 줄 한 줄"(같은 책) 씌어진 것이다. 두번째와 세번째의 기행 산문집에서 김훈은 사진작가 이강빈과 함께 자전거를 타고 이 산하를 누비며 조선 선비들의 유토피아에 대한 가망없는 희망과 (아마도 소설 『칼의 노래』를 쓰게 만든 계기가 되었을)충무공의 이야기를 담는다. 그에게 풍경은 풍경 그 자체라기 보다는 그의 내면에 담긴 숱한 이야기들을 펼쳐놓은 캔버스였을 것이다. 그의 기행문에서는 염전에서 소금을 캐는(말리는? 만드는?) 노동자의 이야기와 (어쩌면 황희 정승의 일화와도 닮아보이는) 소를 키워 농사짓는 농부, 김용택 시인의 마암분교 아이들을 만난다. 그에게 풍경은, 아름다운 산세나 맑고 깨끗한 물이 아닌 그 속을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삶인지도 모른다. 상처로 옹이진 사람들의 이야기.

곽재구의 『포구기행』은 글 그 자체로 매우 아름답다. 그는 풍경을 바라보며 "맑고 빛나는 것들이 이 세상에 있다는 것은 언제나 큰 기쁨입니다."(곽재구, 『포구기행』, 열림원, 2002, p89)라고 말한다. 그에게 풍경은 "서울살이에 지치고 지쳤을 때 바다가 보이는 여관방을 찾아가 창문을 다 열어 젖히고 하룻밤 내내 파도소리를 듣고 나면 다시 서울로 회귀할 힘이 생긴다"(같은 책, p.95)는 그런 것이다. 그의 기행문에도 김훈의 기행문에서처럼 갯벌에서 조개를 잡고, 소리를 하며 살아가는 민초들이 나오고 조선시대 기생 월섬과 제주도의 이중섭이 나오지만 김훈의 사람들과 다르다. 김훈의 사람들이 김훈의 풍경을 완성하는 풍경의 일부로서 존재한다면 곽재구의 사람들은 곽재구가 보고 있는 풍경속에 살아가는, 풍경과는 따로이 떨어진 존재들이다.

하여 김훈의 풍경이 김훈만의 캔버스가 된다면, 그래서 김훈의 기행문이 그림을 그려나가는 이야기가 된다면 곽재구의 풍경은 완성된 풍경이다. 그래서 곽재구의 기행문은 그림에 대한 감상문이 된다.

두 사람의 여행지는 우연히도 겹치는 곳이 많다. 같은 염전과, 같은 산과, 같은 바다를 보아도 한 사람은 '상처'를 보고 한 사람은 '큰 기쁨'을 본다.

하여, 모든 풍경은 아름답고, 모든 글도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