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love 1 : 냉정과 열정사이 세트 - 전2권
에쿠니 가오리.쓰지 히토나리 지음, 김난주.양억관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냉정과 열정사이를 읽고 에쿠니 가오리에게 기함을 했다는 누군가의 말에, 이 책엔 쉽게 손이 가지 않았는데, 자주 가는 서평 홈의 주인장이 써 놓은 리뷰를 읽고 다른 책을 주문하면서 함께 끼워 넣어 주문을 하였다. 솔직히 고백하건대, 나는 그 주인장이 리뷰를 쓴 책을 거의 다 구입했다. 아마, 내가 이 책을 구입할 수 있었던 것도, 그와 나의 독서취향이 꽤나 비슷하다는 판단보다는 그의 독서취향이 몹시 다양하면서도 꽤나 고급하다는 생각 때문이었을 거다. 그는 꽤 수준 높게 책을 고르는 편이다.

책의 형식은 꽤나 참신하고 독특하다고 평가받는 모양인데, 글쎄, 나는 잘 모르겠다. 하나의 사건을 두고 이런 식으로 치고받는 이야기, 그러니까 여자 주인공 아오이와 남자주인공 쥰세이, 둘이 함께 사랑하고, 그 사랑이 끝난 이후의 이야기를 각각 글로 써 낸다는 건, 여기저기에서 많이 시도되었던 형식 아닌가? 그런 형태는 꽤나 매력적일 수 있다.
사람들 사이의 오해가 얼마나 재미있는 것인가를 알기만 한다면.

단지, 이 책이 좀 더 참신한 것은, 그간은 한명의 작가가 각각의 인물을 대변하는 형태였지만 이 소설은 두 명의 작가가 하나의 사랑이야기를 엮어 내려갔다는 것 정도. 덕분에 문체도 느낌도 달라서(개인적으로는 츠지 히토나리가 쓴 Blu쪽이 마음에 들었다.) 입장의 차이도 그만큼 확연히 느껴져서 좋았다는 것 정도?

음. 글쎄.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렇게, 다른 작가가 쓴 것 치고는 두 등장인물의 성격이 너무 비슷하다. 헤어진 이후에 각각의 연인을 만나지만 서로를 잊지 못하는 것도 그렇고, 둘 다 개인적인 세계에 침잠할 수 있는 직업을 가지게 된다는 것도 그렇고…… 성격이 비슷한 사람끼리 연애를 하게 되는 거야 정해진 이치이기는 하지만, 이런 식의 비슷한 사건전개와 성격 유형을 보여줄 거라면 굳이 두 사람의 작가가 필요했을까? 아, 문체와 느낌의 차이는 매력 있었다.

두 권을 다 읽어내리고 나서 느낀 건데,
이 책을 정말 맛있게 읽으려면, Rosso와 Blu를 동시에 한 챕터씩 읽는 거다. 아오이 쪽의 이야기를 먼저 읽고, 준세이의 이야기, 다시 아오이, 다시 준세이, 이런 식으로.
나한테도 누가 그렇게 읽으라고 가르쳐 주었으면 좋았을 걸, 나는 아오이의 이야기를 먼저 읽고 준세이의 이야기를 나중에 읽었다. 그것도 6개월이나 묵혀둔 뒤에. 억울해라. 

이 소설의 기획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히토나리 덕분인 듯싶다. 서사의 유연성이랄까 튼튼함이랄까, 제대로 된 기반을 가지고 있는 것은 히토나리 덕이다. 그에비해 가오리는 감성에 기대어 열심히 따라갈 뿐이랄까.

20대 초반에, 동경에서 서로가 주변인인 사람으로 만나 동질감을 가지게 되고 그것이 사랑으로 발전해 간 두 사람이, 남자 아버지의 방해와 남자의 일방적 오해로 헤어지게 되고, 8년간이나 떨어져 살다가 10년 전의 약속을 지켜 동경이 아닌 이탈리아 피렌체의 두오모에서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는 참신하고 재미 있다기 보다는 허접하고 지루한 연애담이다. 이 허접하고 지루한 연애담을 나름대로 산뜻하게 바꾸어 놓는 것은 히토나리쪽. 뭐, 그러니까 굳이 원한다면 Blu만 구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다.

이걸 읽으면서 궁금해 진 게 있는데,
원래 독자란 주인공에게는 한없이 관대하고(특히 그것이 연애담의 주인공일 때에는) 조연에게는 한없이 매몰차지게 되면서 쉽게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을 하게 되는데, 이 소설에서는 그것이 쉽지 않다. 아오이의 연인 마빈과 준세이의 연인 메미 양쪽 모두를 위하여 분노하게 되는 것이다. 8년의 세월 내내 서로를 잊지 못하고 살아온 두 사람에게 마빈과 메미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준세이는 애써, ’메미와 헤어진 다음 10년 후에, 그녀를 아오이처럼 생각하지 말라는 법도 없을 것이다.(Blu / p.193)‘ 라는 말을 하는 것으로 메미와의 사랑도 사랑이었다고 정당화 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지만 한편으론, ‘잊을 수 없는 사람이 있는 거야. 난 죽을 때까지 아오이를 잊을 수 없어.(Blu / p.218)'라는 말로 메미와의 모든 시간들을 부정해 버리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그러한 태도는 마빈에 대한 아오이의 태도에서도 딱히 다르지 않다. '나는 마빈에게 일상적으로 상처를 주고 있다(Rosso / p.185)'라고 느끼며 그것에 대해 짜증을 느낄 정도로 미안해 하면서도, 이야기를 하자는 마빈에 대해 ‘나한테는 할 말이 없었다. 한마디도, 그것만은 분명했다. …… 다만 준세이와 이야기 하고 싶었다. 내 말이 통하는 사람은 쥰세이밖에 없다(Rosso / p. 202-203)'라는 말로, 마빈의 모든 의미를 깡그리 부수어 버린다.

어차피, 연인이란, 타인에 대해 얼마든지 이기적일 수밖에 없는 존재들이기는 하다.
하지만, 역시나 마음에 들지 않는다. only one을 외치기 위하여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고, 그것을 정당화 시키려는 태도는. 죽어도 서로를 잊지 못하겠으면, 차라리 다른 사람과 사랑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하지 않나. 아오이와 쥰세이는 서로의 사랑에 대해서만 1/2의 책임을 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메미와 마빈과의 사랑에 대해서도 1/2의 책임을 져야 한다.

가끔은, ‘여자에겐 모든 사랑이 첫사랑’이라던 이수영의 노래 가사를 ‘사람에겐 모든 사랑이 첫사랑’이라는 말로 바꾸어 진리로 봉인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 최소한, 과거의 사랑으로 현재의 사랑에게 상처를 입히는 일은 없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