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꽃
이인화 지음 / 동방미디어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긴 긴 주절거림을 썼다가 또 지우고, 또 지운다. 이 소설에 관해 무슨 이야기를 하여야 할까. 수많은 이야기가 내 속에서 앞다투어 머리를 내밀지만 문자로 옮겨 놓으면 쓸모없는 말같다.

중편 《하늘꽃》을 처음 읽었을 때 내가 느낀 것은 떨림이었다. 가느다란 떨림. 전율이라는 단어로 바꾸어 놓으면 너무 기계적이고 자극적으로 느껴질만큼 그 가느다란 떨림은 예민한 것이었고, 지속적인 것이었다. 소설의 말미에 보이던 꽃잎의 가느다란 하늘거림. 그것이 내가 느낀 떨림이었다.

역사와 상상의 절묘한 조화, 라는 둔탁한 말로 설명을 하기에는 이 소설만의 섬세함에 대한 위해가 될 것 같다.

이 소설은 섬세하고 예민하다. 느껴지지 않는 바람에도 하르르 떨리는 꽃잎처럼, 그런 섬세하고 예민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소설이다. 물론 섬세하고 예민하다고 해서 감상주의로 빠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감상주의로 빠지기에는 '이인화'라는 작가가 너무 지성적이다. 이 소설의 예민함과 섬세함은 튼튼한 구성력 덕분에 더욱 아름답게 빛난다. 이인화 특유의 구성능력은 그의 탐미적 문체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뒤로 이어지는 소설들, 고려의 팔만대장경 조판을 배경으로 하는 《려인》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이었던 《시인의 별》현대와 과거가 교차되는 《초원을 걷는 남자》와 《말입술꽃》.

아직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늘 조심스럽다. 앞으로 이보다 더 좋은 작품이 얼마든지 더 나올 수 있으니까. 그래서 이렇게 말을 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나온 이인화 소설중 가장 절창이라고.

책을 덮으며 내가 느낀것은 한없는 떨림이었고, 내가 중얼거린 말은 '아름답다' 한마디였다. 2002년 하반기 최고의 소설.

「삼생의 인연이 지중하여 지난날 아름다운 그대를 만나 카란에서 언약을 맺고 달 아래 인연을 이루었습니다. 젊은 날의 따뜻한 봄빛, 꿈속에 시들어보리고 오늘 바람 맞으며 그대를 영결하니 이 몸의 한스러움 끝없기만 합니다. 일찍이 고운 언약 이루지 못하고 일평생 그대를 마음에 품어 파계(破戒)하는 큰 죄를 짓고 괴로운 윤회를 면치 못하게 되었습니다.
아아, 아름다운 그대는 진정 불이(不二)의 하얀 꽃을 얻으셨나요? 어리석은 이 몸은 지난날이 그리워 영원히 잊을 수 없습니다. 세세생생 이 진세를 여의지 못하고 삼계의 아득한 길을 외로운 혼으로 걸어갑니다.」
이인화, 《하늘꽃》, 동방미디어, 2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