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제목은 이곳저곳에서 들었지만 정작 손이 가진 않았다. 표지 때문일까? 표지가 소설처럼 음산하다. 붉은 색이 이렇게 음산할 수 있다니...회자된대로 흡입력이 엄청나다. 다음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 지 궁금해서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이 소설은 괴력을 지니고 있다. 뒤에 부록으로 실린 수상작가 인터뷰 중 완전 공감케하는 말이 있다.
"이 낯설고 강렬한 <고래>에 한없이 매혹되면서도 이 소설의 기원을, 그리고 매혹의 근거를 읽어낼 수가 없었다. 우선 당황했다...그러나 이 소설은 달랐다. 도대체가 알 수 없었다. 처음에는 당황했지만 소설이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소설의 밀도가 더해가면 갈수록 이 당혹감은 불안과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분명 매혹당하고 있는데, <고래>에는 내가 좋은 소설의 조건이라고 설정한 요소들이 거의 없었다. 해서, 나는 이 이야기에 빨려들어갈수록 당황했고, 당황하면 할수록 그 이야기 속에서 헤어날 수 없었다. 이런 이율배반의 감정은 소설을 다 읽고 난 후 극에 달했다. 감동으로 가슴이 먹먹하면서도 머릿속은 엉킨 실타래였다."
대서사시며 희망을 주지 않는 염세적 세계관이다. 게다가 괴이하다. 그럼 이 소설은 마술적 리얼리즘이라 부를 수 있느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마술적이란 말이 우의적 함의를 담고 있다면, 이 소설은 우의적 함의보다는 리얼리즘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인물과 인물의 유기적 관계는 개연성이 떨어지지만 각각의 인물의 인생사를 떼어 놓고 들여다보면 또 그게 마술적이진 않다. 게다가 중국영화에서 볼 수 있듯이 시대를 관통하고 있다. 박통시대를 관통하며 비정상적으로 초스피디하게 이루어진 근대화의 파편에 희생당한 개인사를 비추고 있는 게 꽤 의미심장하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이 소설은 매력은 불콰한 속도. 말도 안돼, 하고 중얼거리면서도 흥분이 돼서 책갈피를 서둘러 넘길 수 밖에 없다. 책 속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들인데도 이렇게 끌어당길 수 있는 거대한 힘..그리고 이어지는 허망함..이 이 소설을 읽고 난 후 감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