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의 상실
톰 울프 지음, 박순철 옮김 / 아트북스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나는 미술에 대해서 아주 보수적이고 전근대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 미술은 시각 예술이고 과학이나 기술의 발전 과정 반영이 적은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드가가 물감이 아닌 파스텔이란 소재에 몰두하고 추상화에서 볼 수 있는 물감과 다른 소재의 결합을 가끔 보지만 아름답진 않다. 그들의 시도 속에 들어있는 의도를 읽을 수는 있어도 언어나 물감으로 이루어진 작품만큼 감동을 받기는 힘들다. 즉 현대미술은 미술이 마땅히 지녀야하는 시적 이미지에 미치치 못한다고, 여긴다. 무수한 '이즘ism'을 무시하는 바는 아니지만 미술에서 감상 전제조건으로 '이즘'이 선행돼야한다면 무시당해도 마땅하다..뭐 이론 논리다. 설치미술이나 개념미술 행위를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감동을 느끼긴 힘들다. 이 책의 저자는 나 같은 관람자를 위해 비슷한 관점에서 현대미술사를 유머러스하게 정리한다. 

폴록이 뉴욕 미술계에서 우뚝 설 수 있었던 과정은 다소 과장된 면도 있다. 진실의 여부를 떠나 내가 의문을 갖게 된 부분은, 그럼 미술이라는 장르가 후원자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가, 이다. 이 저자는 폴록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지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페기 구겐하임이 없었다면 폴록의 그림들은 지금쯤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그러나 한편으로 작가가 죽은 후, 또는 작가의 재능을 대중화하는데 매개자는 꼭 필요하다. 그 매개자가 공교롭게도 그림을 소유할 수 있거나 또는 그림을 소유할 정도로 여유있는 사람들과 친한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니까 한 작가의 재능을 알아보는 사람이 있어야 대중화를 이룰 수 있다. 그럼 한 작가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취향이 같은 사람들의 집단이 아닌가?  

현대미술계에서 부상하는 작가들의 배경을 파헤치는 게 신랄한데 유화 작가들에 대한 배경에는 신랄하지 않은데 그 차이를 만드는 건 뭘까.  

이런 생각의 꼬리를 물게하는 책이다.  

덧. 번역도 재치있다. uptown을 윗동네로 번역하니까 참 묘하게 비웃는 거 같으면서도 내용과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