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과는 잘해요 ㅣ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다음에서 연재한다는 소식을 알았지만 꾹 참고 기다렸다. 사실은 매일 무언가를 챙겨보는 게 귀찮고-.-; 무엇보다도 감질나니까 책이 나오면 봐야지 했다. 작가 후기를 읽으니 골격만 두고 다시 썼다고 하니 연재했던 한 편을 놓친거다.
그의 소설을 기다리는 이유는, 첫째 재밌다. 둘째, 슬프다. 셋째, 현실을 우의적으로 반영해서 무겁다. 고발프로그램에나 나오는 묵직하고 절망적 이야기를 탁구공같은 무게로 통통 튀겨낸다. 나와 시봉(익숙한 이름이다!ㅋ)은 시설에 수용되어 학대를 받지만 학대 속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 뭐든 죄를 짓고 사과를 해야 덜 맞았던 시설에서 나와서도 나와 시봉은 시설에서처럼 살아갈 수 밖에 없다. '나'는 아버지한테 버려져 집도 없고 시봉은 시연이란 여동생이 있지만 여동생은 힘들게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게 시봉이나 나랑 별로 달라보이지 않는다.
더 이상을 약을 먹으면 안 된다는 것도, 사과를 할 필요도 없다는 것도,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다. 나와 시봉은 철저한 사회적 소수자다. 이렇게 캐릭터만 나열해도 한숨이 푹푹 나오는 데 이기호 작가는 다르다. 한숨은 우리의 몫이고 작가는 탁구공같은 경쾌한 문장들을 톡톡 두드려놓는다.
아이를 기다리는 김밥집 여자의 심정을 표현할 때도 단무지를 빗댄다. 썰어놓은 단무지가 일정하고 표정도 단무지처럼 일정하고. 단무지와 여자의 표정변화 없음에서 독자는 단호함을 들여다보고 울컥한다. 시봉이나 나는, 자신들이 보호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 조차 않는다. 푸코 식대로 말하면, 그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거 자체가 그들을 비정상 취급하는 거다. 그러니 그들에게 값싼 동정이나 말 따위는 필요없을 지도 모른다. 그래도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은 위태로워서 가슴을 졸이게 된다.
시봉과 나, 그리고 시봉의 동생이고 내가 연정을 품은 시연의 삶은 소설이 끝나도 여전히 위태로울 것같다. 세 사람이 긴 터널로 터벅터벅 들어가고 있는 뒷모습을 연상시키면서 마지막 문장이 끝난다.
"아직도 병원의 십자가는 높은 곳에서, 가까운 곳에서,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나는 말없이 고개를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