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 속에 배여있는 고통
-
-
나의 사적인 도시 - 뉴욕 ㅣ 걸어본다 3
박상미 지음 / 난다 / 2015년 4월
평점 :
박상미 저자를 기억하는 건, 마크 스트랜드가 쓴 <빈방의 빛>이란 역자로서 였다. 호퍼 그림을 잔잔하게 읽어주는 책인데 그림도 좋고 글도 호퍼 그림처럼 수다스럽거나 과하지 않아서 좋았다. <빈방의 빛>을 읽은 후 가장 기억에 남는 건 마크 스트랜드의 글이 아니라, 특이하게도 역자 후기였다. 이 책을 읽고 <빈방의 빛>을 다시 꺼내서 역자 후기를 읽었는데 역시나 좋다. 그러니까, 박상미 씨의 글을, 글을 낳은 감성을 잊을 수 없다. 호퍼에 흠뻑 빠져서 쓴 역자 후기, 그리고 정신차리고 나서 자신의 글을 바라보면서 호퍼가 아닌 마크 스트랜드의 글을 번역한 걸 인지한 후기, 두 편이 실려있다. 호퍼에 홀딱 빠져있을 때 쓴 글을 읽노라면 스탕달리즘이 오롯이 전해지면서 호퍼를 안 좋아하던 사람도 호퍼 팬으로 만들 정도로 매력적으로 주관적이다. 손택이 말했듯이, 예술 감상에는 해석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니라 열정을 필요로 하니까.
<나의 사적인 도시>는 아주 매력적 제목이다. 누가 제목을 지었는지 모르겠지만 사적인 도시라니. <뉴요커>란 책을 냈다는데 이 책은 안 땡긴다. 제목이 너무 노골적이라서 그러나. 아무튼. 저자는 뉴요커다. 뉴욕에 관한 이야기가 맞긴 하지만 그렇다고 뉴욕의 일반적 이야기가 아니다. 한 공간은 아주 많은 것들로 기억되기 마련인데 박상미 씨의 뉴욕은, 일상적이면서도 그 일상이 화가나 작가에 대한 사색으로 가득한 공간이다. 블로그의 글을 모았다고 했는데 좀 억울했다. 왜 나는 그의 블로그를 모른 채 지냈는지. 불행히도 내 검색 실력 부족인지 검색을 해 봐도 그의 블로그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그의 책이 있다. 절제되면서도 지적인 일상적 기록 속에서 공감을 얻기도 하고 새로운 관점을 얻기도 한다. 블로그가 갖는 단편적이고 신변잡기적 실수를 극복한 책이다. 때때로 호퍼 책을 번역하고 있을 당시의 기록도 담겨있어서 마치 저자와 아는 사이 같기도 하는 착각이.ㅋ아쉬운 건 언급된 작품 사진이 없을 때가 많은데 <빈방의 빛> 후기를 읽다보니 아마도 저작권 문제 탓인 듯하다. 가끔씩 저작권법에 화가 치민다.
일상이 되는 공간에 애정을 갖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크림치즈 베이글과 커피로 된 아침식사가 일상이 되면 낭만이 아니라 구역질이 나면서 된장찌게와 밥을 그리워하게 된다. 로망이 실재화되면 일상이란 이름으로 권태가 찾아오는데 저자의 시각은 늘 여행자처럼 새롭고 뉴욕을 낭만적 공간으로 만드는 힘이 있다. 그의 사적인 도시에 날아가고픈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에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