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 1월,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사진전을 보러 DDP에 갔었다. SNS에 근사한 사진들이 넘쳐나서 건물 자체에 대한 호기심도 컸다. 동대문역사공원1번 출구에 섰더니 대략 난감했다. 입구는 조그많고 둥근 지붕이 사람을 내리누르고 있었다. 하늘도 잘 안 보이고 출입구도 잘 안 보이고. 일단 구멍을 찾아 전시관을 무사히 찾았다. 친구가 도착 전이라 둘레길이라 이름붙인 길을 따라가봤다. 건물이 사람을 위한 게 아니라 건물을 위해 사람이 존재하는 건축물 같았다. 널직한 길을 따라가는데 볼 것이 흰벽과 흰바닥 말고는 아무것도 없다. 밖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모르고 곡선이라 전방에 뭐가 있는지도 알 수 없고. 그리하여 나는 바닥과 벽에 가느다란 금이 수도 없이 나 있는 걸 발견했다. 볼 거라곤 이것 뿐. 이러다 곧 무너져서 대형참사로 이어지는 상상까지 나아갔다. 마치 길을 잃고 찾아 헤매는 악몽의 소재로 쓰이면 좋을 구조였다.

 

나는 건물이 특히 미술관이 이렇게 인간배척적인데 깜짝 놀랐다. 전시를 보고 잡담도 하고 무언가 생각도 좀 정리하고 하는 공간이 있어야하는 게 아닌가. 미술관 카페에서 창 밖을 내다보며 차 한 잔 하는 기분이 얼마나 근사한데. 미술관 옆 카페는 창고처럼 붙어있고 의자도 등받이 없는 어수선한 임시장소 같았다. 주객이 전도된 매우 안 좋은 건축물의 예시이다.

 

2

서울아트시네마가 낙원동 시절을 마감한단다. 불편한 점이 아주 없는 게 아니지만 일단 극장 앞이 널직한 옥상이라 시원하다. 주로 흡연자들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빈공간을 남기지 않는 소비주의 사회에서 공간을 비워놓는다는 건 엄청난 발상이다. 안으로 들어가면 역시 테이블과 의자가 많이 놓여있다. 멀티플렉스가 의자에 얼마나 인색한지. 기껏해야 불편한 의자를 넓은 공간에 어수선하게 놓는다. 주변은 카페  천지고 안락한 카페로 발걸음을 옮기게 만드는 전략이기도 하다. 씨네큐브만해도 의자에 너무 인색해서 미리 도착하면 있을 곳이 없다. 아트시네마의 언제나 남아도는 테이블과 의자. 이 잉여로운 공간만으로도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영화를 본다는 행위가 단순한 소비행위가 아니라 문화행위라고 위안을 삼을 수 있는데 공간도 중요하지 않을까.


아트시네마가 서울극장으로 새둥지를 튼단다. 그리고 잉여로운 시간을 보낼 공간인 라운지를 만들기 위해 후원금을 모금하고 있다. 관심있으신 분은..요기로.

http://www.funding21.com/project/detail/?pid=7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맥거핀 2015-03-25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은 끊었지만, 저도 아트시네마 옥상에서 인사동 내려다보면서 담배 꽤나 피웠어요. 영화 보고 나와서 다음 영화 기다리면서 한대 빼어 물면 어찌나 그렇게 좋던지요. 서울극장에서나마 오래 지속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DDP는 겉에서 볼 때도 그닥이었는데, 안에는 더 비호감인 모양이군요.

넙치 2015-03-27 14:36   좋아요 0 | URL
소격동에서 낙원동으로 옮겨왔을 때 정 안 갈 거 같았는데 서울극장으로 이전한다는 말을 들으니, 모르는 사이에 낙원동도 꽤 정들었던 거 같아요. 요즘은 예전만큼 잘 안 가게 되지만 제가 할머니 되서도 남아있었으면 좋겠어요.

DDP는, 제겐 좀 충격적인 공간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