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 지성의 근본주의 비투비21 1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문성원 옮김 / 이후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대체로 월초에 책을 주문하는데 2월에 외서 한 권을 포함시키고 따로 배송을 안 눌렀는지 19일에나 책이 같이 도착할 예정이란다. 혹시나 해서 배송확인을 해보면 여전히 상품 준비 중ㅠㅠ 이번 달 주문서를 못 받으니까 너무 불안하다. 안 읽은 책도 수두룩하고 읽다만 책도 널렸으니 이성으로는 그 책들을 읽는 기간으로 정했지만 마음은 흡연자가 금연하기로 결심한 후 금단증상이 나타나는 것처럼 뭔가 마음이 안정이 안 되고 불안하기만 하다. 어차피 책이 와도 다 안 읽을 가능성이 많은데 이건 무슨 심리인지...어흑. 다음주에나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을테니.  

 

바우만의 <쓰레기가 되는 삶들>을 재밌게 읽고 주문했던 책이고 읽다 만 책이다. 가방에 넣고 다닐 가벼운 책으로 당첨된 책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좀 집중해서 읽었다. 바우만의 개념은 새롭지는 않다. 후기자본주의 사회 현상을 분석한 글들이 이미 넘치고 있기에 시의성은 좀 떨어지지만 바우만의 언어로 정의하는 점이 바우만의 글을 읽는 재미라고 할 수 있다.

 

자유. 제목만 보면 마치 무슨 자기계발서같기도 한데 소비사회에서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 뒤에 실은 사회구조적 권력이동이 있다는 걸 암시한다. 블링블링한 광고의 홍수 속에서 소비자는 선택의 자유를 누린다. 소비는 정체성이고 그 정체성을 구성하는데는 사회적 승인이 숨어있다. 우리는 소비자 이전에 노동자다. 노동자로서 작업장에서 위계질서에 복종하도록 훈련받고 권력 쟁취를 암묵적으로 포기하는 대신 임금과 보너스를 손에 쥐고 작업장을 나와 소비자가 왕인 시장세계로 걸어들어간다. 마치 내가 주체로서 노동을 제공하고 상품을 선택한 듯한 착각을 한다. 상품을 선택하는 자유는 작업장 밖에서 자본가한테 복종하는 가면이다. 구매행위만으로도 우리는 합리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최면술에 빠져있다. 후기자본주의 사회는 바로 권력이 교묘한 가면을 쓰고 시장으로 이동하는 단계다. 제러미 벤담의 파놉티콘의 이론까지도 차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우리 소비자는 상품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본가가 만든 시장감옥에서 각종 기호와 취향을 감시당하고 강요당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시장감옥을 나오는 일은 지젝이 말했듯이 생태주의로 돌아가는 일이다.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건 물건 선택의 자유를 누리는 게 아니라 물건 선택의 자유를 무시해야한다. 현실은? 물건 선택의 자유를 박탈당하면 빈곤해지고 소외감을 느낀다. 책을 손에 넣지 못해 불안한 건 아마도 내가 선택한 내 정체성을 구성할 자유와 소유권을 완성하지 못했다고, 잠재의식이 말하기 때문일 거다.

 

아무리 훌륭한 책을 읽으면 뭐하나. 태도를 안 바꾸는데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4-02-14 16: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넙치님.. 저두요..잘 지내셨지요? ~~^^


바우만 책 저는 손도 안된것도 있는데 소비자에대한 시각이 그렇군요..음..~~


넙치 2014-02-14 21:41   좋아요 0 | URL
사진 속 분위기 있는 분이 새벽숲길님인가봐요. 근데 왜 이쁜 얼굴을 가리셨어요??? 얼굴을 공개하라, 하라^^

바우만 책들 재밌는데 잘 안 들춰보게 되네요. 저도 겨우 세 권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