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누구나 선호하는 장르 혹은 취향이란 게 있다. 영화는 감독의 취향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베를린>은 <다찌마와 리>의 정극 버전이라고 할 수 있을 듯. 류승완 감독 영화를 아주 좋아라하진 않는다. 깊이가 좀 없다고 해야하나. 하지만 류승완 감독이 잘 하는 게 있다. 직설화법이다. 빙빙 돌려 말하지 않고 '척'하지 않는 단순, 무식함 속에 팔딱팔딱 살아 숨쉬는 인물들의 코믹함이, 늘 그의 영화를 보고 웃게 만드는 힘이었다. <베를린>은, 전작들과 달리 간접화법을 쓴다. 근데 어설퍼서 인물들이 각자 혼자서 비밀을 만들려고 애쓰는 거 처럼 보인다. 영화가 끝나고 나면 이 생각은 더더 심해져서 뭐야, 간단한 얘기를 왜 저렇게 해, 하는 말이 튀어나온다. 난 류승완 감독이 자신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빨리 파악하고 <다찌마와 리>같은 영화로 복귀해 주길 간절히 바란다.

 

2.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직설적인 인물은 동명수 역을 한 류승범. 류승범은 나이들면서 배우의 아우라가 물씬 풍긴다. 절대 악으로 등장해서 씨익 미소 지으면서 사람을 죽이는데 아주 카리스마 넘친다.ㅋ아쉬운 건 이 캐릭터가 <스카이폴>에서 실바(하비에르 바르뎀)과 아주 흡사하다는 점. 마지막 시퀀스에서 외딴 집이 폭발하고 이성을 잃고 비틀거리며 총질을 해 대는 모습에서 나만 실바를 떠올린 건 아닐 터. 공교롭게 두 장면이 일치했다면 감독들의 정신세계에 교집합이 있는 듯도 하고. 아님 내가 기억하지 못 하는 고전 영화에 있는 장면을 패러디했을 수도 있고.

 

3. 내 옴므파탈, 한석규님이 나오신다. 한석규님의 연기야 언제나 좋지만 이 영화에서 캐릭터는 좀 이해하기 힘들다. 어설픈 낭만주의자로 자신의 신념만을 위해 행동하는 고독한 요원인데 극의 흐름과 좀 섞이지 않는다. <베를린>은 각각의 인물들한테 동등한 비중을 주다보니 생기는 부작용이다. 베를린 보면, 인물을 다루는 솜씨는 최동훈 감독이 갑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맥거핀 2013-02-08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씀대로 이번 영화는 류승완 감독의 색깔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나름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감독인데 그 색깔이 흥행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일까요?

저도 영화는 별로였지만, 한석규 씨는 저도 상당히 좋아하거든요. 저는 한석규 씨가 욕할 때마다 그게 너무 좋아요. 영화보면서 한석규씨가 욕할 때마다 아이 찰져, 찰져,를 몇 번씩 반복..; (아..그렇다고 욕만 좋다는 건 아니고요.)

넙치 2013-02-09 17:40   좋아요 0 | URL
자신이 잘 하는 것과 잘 할 수 없지만 로망의 간극이 아닐까, 싶기도 하구요. 일반인처럼.

하하. 한석규님의 욕에 반하다니..의외에요! 욕하는 사람한테 교정할 해 줄, 바른 생활할 거 같은 맥거핀님이.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