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구란 무엇인가
크리스토프 바우젠바인 지음, 김태희 옮김 / 민음인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열렬한 축구팬은 아니지만 월드컵은 흥미진진하게 보는 편이다. 나이지리아 전이 열렸던 새벽 3시30분. 평소에는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시간에 눈을 뜨자마자 날렵하게 몸을 일으켜 자다말고 텔레비전 앞으로 가서 왜 소리를 지르고 있는가? 골대 근처에서 방황하는 공의 움직임에 왜 탄식하고 상대편 선수들이 한국 골대 근처에서 얼쩡대면 가슴을 졸이는가? 우루과인 전에서 주심만 휘슬을 제대로 불어줬더라면 태극전사들의 앞날과 즐거운 밤샘이 한 번 더 있을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워하면서 주심을 욕하는가? 이런 일련의 비이성적이고 한편으로는 소모적 태도에 은근한 흥분을 즐기는 이유는 뭘까?
축구 관람자의 태도는 브라운관 속 선수들이 내 탄식이나 환호를 들을 거라고 기대하지 않고 그들이 듣든 안 듣든 중요하지 않다. 선수들과 어떤 소통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일방적 감정 분출이다. 90여 분 간 감정은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거센 파도 속에서 파도 타기하는 것 같은데 이 힘은 전략과 전술이라는 계산 속에서도 골을 지배하는 건 불확실함 때문이다. 공이 어디로 튈지 모르고 기술적으로 앞섰다고 경기를 90분 내내 지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런 속성은 축구 뿐 아니라 다른 스포스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저자가 지적했듯이, 축구가 다른 스포츠보다 극적인 이유는 골의 희소성에 있다. 공을 이용하는 다른 스포츠들이 다량 득점으로 이기는 팀은 계속 이길 것 같은 반쯤 확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축구의 득점은 한 골이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한 골이라는 건 본경기가 끝나고 추가 시간인 2-3분 내에서도 뒤집을 수 있다. 직접 뛰는 선수들과 지켜보는 관객 모두 끝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못하게 한다.
많은 의도적 전술과 반칙등 같은 필연과 우연의 조합은, 삶의 모습과 닮았다. 시간을 지배해보겠다고 계획을 세우고 다이어리를 빼곡이 채우는 열정을 쏟아도 어떤 알 수 없는 우연이란 이름이 결과를 지배할 때가 종종 있다. 우리가 보통 '운'이라고 부르는 삶의 요소인데 행운이든 불운이든 필연과 어울려 이중주를 한다. 삶의 변주인 축구를 보면서 이중주를 보고 들으면서 익숙해지기도 하고 깜짝 놀라기도 한다.
한국팀이 '약체'라는 객관적 사실을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행운'을 불러오는 집단 주술로 응원이란 부적을 쓴다. Be the Reds!와 대.한.민.국.이라는 주문을 외우면서 집단 의식에 들어간다. 개인은 자신의 약점을 외면하고 행운에 몸과 마음을 맡겨도 자괴감이 들지 않는 공식적 집단 최면이 아닐까.
책 얘기를 하면, 축구 입문서로 아주 훌륭하다. 소제목을 달고 규칙, 문화, 역사까지를 총 망라한다. 축구의 주술적 면에만 관심이 있는 게 아니라 의도적 전략에도 관심이 있다면 일독할만하다.공을 차는 법을 원한다면 물론 이 책은 도움이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왜 남미축구는 개인기고 잉글랜드 축구와 스코틀랜드 축구의 테크닉이 어떻게 다르고 감아차는 공과 뜨는 공은 어떻게 생기는지 알면 한국 경기를 더 이상 볼 수 없어도 남은 월드컵 경기는 여전히 감정 파도타기를 제공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