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에로스] 서평을 올려주세요
-
-
사랑과 연애의 달인, 호모 에로스 - 내 몸을 바꾸는 에로스혁명 ㅣ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6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을 하는 주체는 남자, 여자란 생물학적 성별과 사회적 성 역할을 떠나 사람이다. 사람이 연애를 하게 되면, 대부분이 상대의 심리를 궁금하게 여긴다. 상대가 이런 행동을 했는 데 뭐 때문인지..궁금증의 뿌리는 사랑받고 있다는 걸 확인하고 싶어하는 심리에서 나온다. 자신의 마음을 잘 알고 있지만 사람들은 자신이 상대를 더 좋아하는 걸 선뜻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고미숙 씨의 표현대로 사랑에서 권력자가 되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기 때문일 터이다. 사랑에 빠져 즐거우면서도 상대의 마음을 꿰뚫지 못해 문득문득 괴로운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고미숙 씨 글의 최대 장점은 가독성이다. 이 책 역시 술술 읽힌다. 경쾌하고 문장과 문장 사이에 숨어 있는 뜻을 헤아리려고 미간을 찌푸리지 않아도 된다. 특유의 직접화법은 젠체하지 않아 좋고 입가에 미소를 저절로 담게 된다.
사실 연애 내지는 사랑에 대한 담론과 고미숙 씨는 매치가 잘 안 됐다. (뭐 그 분을 잘 모르기 때문이겠지만) 사랑에 관한 담론이나 연애론의 일반적 범주에서 확장된 사랑 담론을 서술하고 있다. 사회에서 독립된 주체로서 변화하는 사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려면 소비가 중심이 아닌 몸이 중심이 되는 사랑을 하라고 역설한다. 몸으로 하는 연애와 사랑이라니 듣기에 따라 꽤나 에로틱하다. (내 안에 야동의 끼가-.-) 만나서 데이트를 하면서 일반적으로 하게 되는 소비지향 행위에서 벗어나서 몸을 이용하라는 이야기다. 즉 자동차보다는 자전거를 타고, 이벤트성 장소에서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같은 책을 읽고 삶을 나누는 세미나를 꾸리라는. 백 번 옳은 말이다. 이런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사랑하고 싶다고 쫓아다녀도 좋을 것 같다.
내 삶의 방식을 나누어줄 수 있고 또 타인의 삶의 방식을 받아들일 수 있는 평범한 사랑이 오늘날에는 참으로 이상적이고 꿈으로 보이는 건 내가 너무 나이들어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