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라, 기억이여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오정미 옮김 / 플래닛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1996년, 황인뢰 연출, 주찬옥 각본의 <창밖에는 태양이 빛났다>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황인뢰 감독과 주찬옥 작가는 그 당시에 전혀 새로운 드라마 문법을 보여주었다. 수채화 같은 영상과 절제된 대사를 통한 섬세한 심리 묘사로 기억 속에 남아있다. 이 드리마의 원작이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어둠 속의 웃음소리>를 애타게 찾았다.

겨우 한 권 찾았던 게 작은 문고판이었다. 애타게 찾은 것치고는 즐거움은 그리 크지 않았다. 드라마 속 인물들의 얼굴이 책갈피를 넘길 때마다 겹치면서 소설만이 갖고 있는 풍부한 묘사를 찾기 힘들었다.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나보코프의 작품들은 그러려니하고 잊고 있었다. 그러다 <롤리타>를 읽고서 <어둠 속의 웃음소리>를 다시 꺼내 보았다. 아직도 궁금하다. <어둠 속의 웃음소리>의 원작도 실망스러운지.

처음에 도덕적으로 광분하게 만드는 변태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 변태에 감정이입이 되어 판단력은 바람에 흔들리는 배가 돼버린다. 험버트의 감정대로 이리저리 흔들리면서 표류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동시에 <롤리타>를 다시 읽게 하는 힘이 있다. <롤리타>를 다시 읽고 있을 때, 미국에서는 현재 유아성범죄자에 대해 얼굴과 신상 공개를 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뉴스를 접했다. 기분이 묘했다. 현실 속 험버트에게는 화가 나야하지만 소설 속 험버트에게는 무한한 연민이 차오르기 때문이다.

험버트는 마지막에 이렇게 적고 있다. "강간에 대해서는 35년 형을 내리겠지만 그 밖에는 무죄를 내리겠다"고. 전적으로 험버트의 입장이다. 강간을 당한 롤리타는 험버트의 회고록에서는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롤리타의 정신적 고통을 험버는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 이런 현실적 논쟁을 벌이기에는 나보코프가 생명을 불어넣은 험버트의 입김이 너무 커서 험버트에게 저항하기란 쉽지 않다. 다시 읽어도!

<말하라, 기억이여>는 나보코프가 지나온 여정들을 재구성한 자서전이라고 하지만 자서전이란 말이 썩 어울리지는 않는다. 자서전이 풍기는 회고적 성격보다는 이야기적 성격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나보코프의 관심사를 한 줄에 꿰어 놓았지만 어느 부분이든 떼어서 읽어도 좋을 정도로 독립성이 강한 챕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화려한 문장들에 반해서 잠깐씩 밑줄 긋느라, 속으로 따라 읽어보느라 더디게 읽었다. 기억을, 이렇게도 말할 수 있구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ppie 2008-06-04 15: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라마와 같은 [창밖에는 태양이 빛났다]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나온 버전이 있습니다. 지금 알라딘에는 없는 옛날 책이지만요. 읽어본 바로는, 드라마 내용의 상당히 많은 부분이 원작에서 그대로 왔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나레이션이 상당히 많았던 드라마로 기억하는데, 작품이 상당히 나보코프색이 뚜렷한 편이라 그 점을 살리려고 많이 신경쓴 것 같기도 합니다.
요즘 90년대 후반-심지어 중반의 드라마도 DVD로 나오는 듯한데 이 [창밖에는 태양이 빛났다]야말로 다시 보고 싶은 작품입니다. MBC에 비디오테잎으로라도 좋으니 자료를 구할 수 없느냐고, 매번 문의한다고 해 놓고선 자꾸 잊어요.

넙치 2008-06-05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다시 보고 싶어요. 대사보다도 내레이션이 두드러진 드라마였어요. 찾아보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
제가 갖고 있는 책도 드라마와 거의 비슷했어요. <롤리타>와 <말하라, 기억이여>와는 문체가 많이 달라서 다른 작가의 작품같아요. <어둠 속의 웃음소리>는 줄거리 중심이여서 롤리타나 말하라, 기억이여가 보여주는 통찰력과 현란한 비유를 거의 찾아볼 수 없어요. 이번에 대충 다시 봤는데도 이 느낌은 여전해요. 그래서 <어둠 속의 웃음소리>원서는 어떨까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