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의 미 특강>을 읽고 완전히 반해서 집어든 책이고, 역시나 반할 만한 책이다. 내용면에서 중첩되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반복을 통한 학습효과도 있다. 서양화든 동양화든 그림을 본다는 말보다는 그림을 읽는다는 말이 더 매혹적이다. 본다는 개념이 물리적 행동으로 일차원적 단계라면, 읽는다는 개념은 그림을 보고 그림 속에 숨은 뜻을 미루어 짐작한다는, 업그레이드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오주석 선생의 그림 읽기는 탁월하다.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열정이 마구 느껴진다. 정선의 <인왕제색도>에서 그린 날과 날씨를 알아맞추는 과정은 한 편의 영화가 같다.
선생의 글을 읽어가면서 글 속에서 드러나는 동서양의 세계관을 비교하게 된다. 오랫동안 서양 중심의 세계관에 익숙해져서 선조들의 세계관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도 없을 것이다. 가령, 윤두서의 <자화상>을 읽어주는 꼭지에서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신체를 귀중히 여기는 정신이 그림 속에 들어가 있다고 한다. 아무리 마음에 들지 않는(?) 작은 점, 흉터라도 그림에서 조차 없애지 않으려는 정신. 오늘날 결점을 가리기 위해 포샵질은 일반적이고, 나아가 성형이 대세를 이루는 것과 대조적이다. 현대 의학/과학 기술에 기대는 것은그 자체로 악덕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의 정신이 죽어있다면 기술은 독과 같다. 선생의 글을 많은 사람들이 읽고 감동한다면 소비사회의 소란함과 경박함이 조금은 덜어지지 않을까, 꿈을 꿔본다.
그리고 내가 가장 흥미롭게 생각하는 점은 평면성이다. 서양화에서 르네상스 이후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초상화가 많지만 한국화에서는 산수화가 지배적이다. 서양화가 빛의 움직임, 다른 말로 바꾼다면, 외부 환경에 따라 변하는 모델을 많이 연구했다면, 한국화는 외부환경에 관계 없이 산수, 인물 그 자체에 관해 집중한다. 지리적 위치 때문일까? 오주석 선생은 마음에서 그 이유를 설명하지만 난 물리적 원인도 있을 거란 생각이 든다. 부르디외가 말했듯이, 문화적 취향은 학습되는 것이다. 입체파의 왜상anamorphosis는 알지만 한국화의 삼원법은 모르는 것은 분명 우리 교육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