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달 위로/ 여우 꼬리 끝처럼/ 흰 산봉우리'
...
까다로운 여우는 이 하이쿠를 보고 비로소 바쇼를 대시인으로 인정한다.
이유는 다들 알다시피...
'그 시에는 여우가 나오니까'
.............
'어렵다.' 라는 말은 나도 쓰고, 남들도 쓰고...
약사를 거치지 않아도 오용되고 의사를 거쳐도 남용되는 말이다.
내가 조금 알면, 기러기가 하늘길을 알 듯 난척한다.
내게 조금 낯설면... 그냥 어렵다. 왠진 싫다. 어려워서...
그리고 주로 남 탓 한다. 대개는 작가나 예술가.
...
클래식은 원래 어렵구. 재즈는 들으려해도 어렵다. 팝송은 안들려서 어렵구, 현대미술은 그게 뭐가 미술이야?
철학책은 허무맹랑한 책같아서 어렵구, 역사책은 뭔가 다 외워야 될 것 같아 어렵구, 외국소설은 번역투가 목에 걸린 가래같아 어렵구, 종교책은 초월적인 것 같아 어렵구. 경제책은 그림 안그려져서 어렵구, 비평서같은 건 자기들끼리 말장난하는 것 같아서 어렵구.
하여간 다 어렵다.
.....
이 문제를 고민하다가 어젯밤 무릎팍 도사를 만났다.
그의 답. .. .. ..
"공부하라 그러세요." ...팍팍...
세상에 어렵지 않은게 있을 수 있을까?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것이 대중의 입에 딱 맞게 주먹밥 만들어 주라는 뜻도 아니지 않은가? 사람들 중에는 보이지 않는 '자부심'이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결코 말은 안하지만,자기는 어느 정도 문화적 소양과 학식을 갖추고 있는데, '그런 내가 봐도 어렵다.그러므로 그것은 창작자들의 잘못이다.' 여우처럼 말이다. 내가 이해하면, 그건 쉬운거다.
이거야 말로 대중을 외면하는 창작자보다 더 오만한 대중의 독선은 아닐까?
물론 세상에는 이해하기 힘든 것들이 많이 있고 실제로 이해 못하고 남겨두어야 하는 것들도 있다. 문제는 '어렵다' 라는 형용사가 사고의 정지, 행동의 정지를 공표하는 선언문의 끝단어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어렵다'를 보채는 아이 입에 물린 줄줄이 사탕처럼 달고 다니면서 딱 거기까지만 알고 또 느끼고 멈춘다.
어려우면...그걸 알기 위해 더 쉬운 것 부터 시작하면 된다. 쉬운거 서너권 보거나 듣고, 좀 어려운거 보다 지치면 , 다시 또 쉬운거 보고...해설서나 비평서보고...또 이래저래 인터넷글들도 좀 보고...그러면 나중엔 '아...그런거군' 전문가는 못되도 최소한 '어렵다' 와는 결별할 수 있지 않을까? 개개의 '어려운 것들'과의 이별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어렵다' 라는 태도에 대한 저항력이 더 중요하다. 어차피 사람이 만든거고, 동시대에 누군가 즐기고 있는 것들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자전거를 배웠다. 이틀이 걸렸다. 잡아주면 가고 놓으면 넘어지기를 반볻. 이틀째 되는 날 '아빠 놓치마.'...아버지가 잡고 있을거라는 믿음으로 페달을 쭈욱 밟았다. ...잠잠... 뒤돌아본 아버지는 손을 흔들고 있었고,점점 작아졌다. 나는 이울어가는 저녁놀을 맞으며 텅빈 운동장을 쌩쌩 달리고 있었다.
습관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 앞으로 개입할 지점, 즉 인식과 감성의 풍요를 위해 열려있는 문틈이 많다는 뜻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