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호프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0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박현섭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소설은 뒤통수 치기다. 단편소설을 읽으며 한편으론 가해자의 뻔뻔함과  피해자의 황당함이란 이중감정을 즐긴다.뒤통수를 맞는 대상이란 대개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거나 무뎌진 감성이거나 너무나 당연시 여겨온 의식의 화석조각들이다.책의 말미에 이르러 '아...'하는 탄성을 또는 '하....'하는 자성을 뿜어내지 못하게 한다면 내게 단편소설로 크게 인상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고전적 소설론의 단어를 빌자면 '머리 맞으며' '카타르시르'를 느끼는 것이다. 최근에 본 몇몇 단편소설들은 늘 그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사족삼아 예를 들면 카사이스의 <러시아 인형>,로맹 가리의 소설들,로제 그르니에의 <물거울>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현대 소설이 자리잡는데 큰 공헌을 한 사람이 바로 안톤 체호프이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체호프는 역시 현대소설의 개척자라고 부를 만했다.나는 그의 단편집을 읽으며 몇번이나 고개를 끄떡이고 자성과 탄성의 한숨을 쉬었는지 알 수 없다.그의 소설은 단편소설이 가져야하는 미덕을 전부 가지고 있다.짧은 문장과 빠른 호흡,그리고 뛰어난 풍자성.이것말고도 단편소설이 가지고 있는 묘사의 서정성까지 .... 한마디로 현대소설의 시금석이 될 만하다.

가장 직접적인 사회풍자가 돋보이는 단편은 처음에 실린 < 관리의 죽음>이다.알아서 기는 소시민의 극단적 소심증이 결국은 그를 죽음으로 까지 이끌고 간다.물론 한 희극적인 인물의 에피소드로 볼 수도 있지만 소시민의 작은 실수마저 위협했던 사회분위기를 생각한다면 그다지 희극적이지 않다.최근에 본 영화<효자동이발사>에서 독재자의 면도를 하다가 살을 베고 노심초사하던 송강호의 모습이 오버랩된다.그는 그날 밤 사형장에서 총살당하는 악몽에 시달린다.우리에게도 소시민을 더욱 작아지게 만들었던 시절이 있지 않았던가.어디가나 말조심 자나깨나 다시보고..... ^^ 체호프가 살던 19세기말 제정러시아 역시 억압적인 사회분위기였나보다.<관리의 죽음>은 알아서 기는 우리의 모습에 대한 멋진 풍자였다.

체호프의 풍자가 사회적인 곳에만 머문것은 아니다.그는 인간 본성과 그 이면의 이기성에까지 깊은 풍자의 칼날을 던진다.<베짱이>나 <베로치카>에서는 허망한 욕망으로 인해 몰락하는 여인이라던지 자신의 삶을 내던져 사랑을 구하지도 못하며 머릿속으로 사랑과 세상을 만드는 인물을 통해 인간의 어리석음과 부족함을 비웃는다.<내기>에서는 두 인물을 통해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보여준다.하나는 돈욕심에 수감생활을 자청하는 인물이고 또 하나는 남은 재산을 위해 약속을 저버리며 살인을 기획하는 인물이다.결과는 긴 시간 수감생활을 통해 내면의 눈을 뜨고 만 수감자의 변화를 통해 욕망의 부끄러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개인적으로 묘한 여운을 남기는 작품은 <미녀>와 <주교>였다. 역을 지나며 바라본 두 명의 미녀에 대한 이야기와 어머니를 만난 주교의 이야기가 전부이다. 너무나 단순하고 평범한 이야기였다. 하지만 사물을 어떤 감성을 가지고 바라보는가에 따라 그 사물은 수없는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다는 전형을 보여준 작품들이라고 생각한다.특히 <미녀>에서는 체호프의 서정적묘사가 뛰어나다.<주교>의 경우 자유롭고자 하는 주교와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직함이 주는 권위로 그를  어려워하는 주변인물을 통해 우리가 타인의 명함으로 인해 좋던 나쁘던 얼마나 많은 이미지를 만드는지 보여준다.이 작품에서는 어머니조차 그를 어려워함으로써 주교를 외롭게 만들고 만다.

사실 안톤 체호프의 책은 이 책이 처음이었다.하지만 앞으로 그의 팬이 될 듯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물고기 2004-05-18 01:38   좋아요 0 | URL
전혀 부끄러워할 것이 아님에도 유명작가의 책을 단 한 권도 읽지 않았다는 것에는 늘 주눅이 들곤 합니다. 저에게는 체홉이 그런 작가 중 한 사람이죠. 단편소설의 거장이란 타이틀 때문이라도 한번쯤 보았을 법한데, 어쩐지 체홉과는 인연이 잘 닿지 않고 비켜가기 일쑤더군요. 리뷰 말미에 체홉의 책이 처음이라는 고백, 힘을 실어주시는군요. 이번 기회에 얼른 읽어야지, 하고 다짐을..
그리고, 빼드로 빠라모를 읽으셨군요. 저도 읽는 내내 머리 속이 뒤죽박죽 돼서, 처음 얼마간은 읽은 곳 또 읽고 또 읽고를 반복해야 했습니다. 나중에 포기하는 심정으로 읽다 보니 꽤 매력적인 소설이라는 것을 알게 됐지만요. 낯선 작가, 낯선 작품인지라 무척 반가웠습니다.
그리고 또, 서재결혼시키기는 확실히 멋진 에세이지요!
(말이 길어졌습니다. 근데 덧글 달아도 되나요? 너무 말끔해서 망설이다 쓰긴 썼습니다만.)

드팀전 2004-05-19 09:31   좋아요 0 | URL
^^ 관심있게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아침에 메일로 덧글이 달렸다고 왔더군요.냉큼 찾아봤습니다. ^^ 저도 님의 글을 즐겨 보고 있습니다.앞으로 참여적인 모습을 보여드려야겠군요.^^오늘은 날씨가 흐른데 분위기 업 업 업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