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말 착한 것들-그중 90%이상은 '착하다'는 걸 자기에게 덧씌우지 못해 안달난것들-을 전부 갈아 엎고 싶은데...빵야 빵야.

이 위험한 생각을 극단적으로 실행하면 인류 역사에 길이 남는 악마가 될 터인데...

그래서 상상으로만 ...그 착한 것들을 다 모은다.

하나 하나 모아서 믹서기에 넣는다.도망가는 놈들을 양 손가락으로 꼭 잡아서 떨어뜨린다.믹서기 주둥이에서 바둥 거리는 놈들은 손 끝으로 톡톡쳐서 떨어뜨린다.

아주 거대한 믹서기가 필요하겠다.

믹서기의 버튼을 켠다.윙 윙 윙..투두둑 투두둑

믹서기 벽으로 피가 튀고 내장이 털털 거리겠지.

잠깐 공포와 쾌락을 느끼고

무심하게 베토벤 교향곡 9번을 듣겠다.

시계태엽장치 오렌지의 알렉스처럼..

언젠가 내가 또 저 믹서기에 들어갈 지 모른다고 몸서리를 치면서 또는 지금 저 고통은 나의 것이 아니라고 위안하면서....

위선과 위악은 모두 '허위'의 자식들이다.

착하고 점잖고 인격적이라고..지랄하시고 계시네.

내가 영화감독이 되고 싶었던 게 언제쯤 일인지 기억도 안나는데...그 때 영화를 만들면 그런 걸 한번 해보고 싶었다.

"울긋불긋하고 아름다운 네가 사실 칼날 위에 서있는 것이고 또 비루함 위에 서 있는 것이라고"

<오 수정>에서 정보석이 이은주 꼬셔서 모텔데리고 가서 처음 하는게 뭔지 아나?

천정에 몰래 카메라 있는 지 확인 하는 거다.나도 수 없이 했다.

...착한 너희들이 모텔이란델 가봤겠냐.물론 가봐도. 너의 양복과 드레스에는 모텔의 흔적이 없겠지....

<생활의 발견>에서 왜 김상경이 지랄같이 유부녀 추상미 집 앞에가서 쌩쇼버티기를 하는지 아냐?

...착하고 점잖은 너희들이 화상전화 쇼는 알아도 그 쌩쇼를 알겠냐? 불륜을 응징하기에도 바쁜데

하여간 줄레 줄레 오늘은 착한 것들의 씨를 말리고 싶다.다 말리고 나서 새롭게 태어나는 것들과 다시 '착한'것들을 만들어 보고 싶다.

보들레르가 그랬다나

"우리가 기운을 북돋울 수 있도록 우리에게 네 독(毒)을 부어다오!
그토록 이 불이 우리의 머릿속을 태우고 있으니,
그게 천국이든 지옥이든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우리는 미지(未知)의 심연 깊숙이 잠기고 싶다, 새로운 것을 찾아내기 위하여! "


 허무주의와 파시즘이 그리 멀지 않다고 한 것이 보들레르에게서 구현된다.나도 그 의미와 폐악을 안다.그러나 가끔 내 안에는 죽음의 사자의 큰 낫이 문득 문득 떠오른다.

나와 '파시즘' 사이의 길은 그다지 멀지 않다.그런데 그거 아냐?

 파시즘에 동의하는 것 또한 독없는 너희들이라는 거..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7-10-11 14: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11 20: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07-10-11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 하드코어 등장!!! 이 페이퍼 보고 누구 시비거는 사람없을까요? 뭐 무서워서 안걸수도.... ㅎㅎ
이런 글로라도 맘 상했던게 조금이라도 풀릴 수 있었다면 다행이고요.
근데 믹서기에 간다는건 생각못해본 방법이군요. 전 화가나 미치겠을때 조금 다른 방법의 비슷한 상상을.... 뭔지는 다음에 제가 제대로 열받으면 보여드릴 지도 모르겠네요.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뜰겁니다.(그게 같은 해라고 열받지 마세요.)

글샘 2007-10-12 0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 가슴에 독(毒)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害)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흩어 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칠지 모른다 위협하고
독(毒) 안 차고 살아도 머지 않아 너 나 마주 가 버리면
억만 세대(億萬世代)가 그 뒤로 잠자코 흘러가고
나중에 땅덩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 것임을
“허무(虛無)한듸!” 독은 차서 무엇하느냐고?
아! 내 세상에 태어났음을 원망 않고 보낸
어느 하루가 있었던가 “허무한듸!”, 허나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
나는 독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막음 날 내 외로운 혼(魂) 건지기 위하여.

시문학파이며, 언어의 조탁에 심혈을 기울였다는 김영랑의 보기 드물게 위악적인 시입니다.

바밤바 2007-10-12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영화 감독 하고 싶어라 하고 있는데. 아마 저랑 비슷한 시기에 팀전님도 그런 꿈을 지니셨을 듯~ 왜 꿈만 꾸고 마셨데요? 궁금하네요~ 그리고 정상경이 아니고 김상경인데요.. 정상경은 제가 서예 학원 다닐 때 맨날 패악 부리던 애 이름이라서 기억에 남네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