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 살림지식총서 25
양운덕 지음 / 살림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셀 푸코의 <광기의 역사>,<감시와 처벌> 내가 읽은 미셀 푸코의 저작 목록은 달랑 이것 뿐이다.언젠가 이런 저런 글을 읽다가 밴덤의 '판옵티콘'을 재해석한 푸코의 감시 개념이 인상적이었다.도대체 '판옵티콘'이 어떤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감시와 처벌>을 읽었다.당시(지금도)그 책이 의미한 바를 꼼꼼히 이해하진 못했겠지만 읽는 내내 재미있었다.나름대로 알려진 책이다보니 들고다니면 가끔 아는 척 하는 소리를 듣곤 했다.

'어..미셀 푸코..어려운 책 읽네'

사실 그렇게 이야기하는 사람 중에 푸코의 저서 중 가장 대중적인고 널리 읽혔다는 <감시와 처벌>을 읽은 사람은 거의 없다. 그들에게나 나에게나 푸코는 이름으로만 친한 사람이었다.조금 더 아는 척 하는 사람이 꺼낸 말은  '아..그 동성연애자'.모 대학 사회계열 대학원생의 푸코에 대한 첫 멘트였다.그게 전부 인것 같다.

<감시와 처벌>을 읽은지도 몇 년 되었고 최근에 읽었던 네그리의 <제국>에서 푸코의 생체권력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고 해서 이 얇은 책을 펼쳐 들었다.책이 가벼우니 마음도 가벼워졌다.저자는 이 책 <미셀 푸코>에서 푸코의 중기 철학에 해당하는 권력이론에 대해서만 언급하겠다고 밝힌다.즉 '근대적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는가?' 라는 주제에서 권력이 근대적 주체 형성과 관계 맺는 역학에 대해서만 정리하겠다는 것이다.주요 텍스트로 보면 <감시와 처벌>,<성의 역사>정도가 될 것이다.

내가 대학 다닐 때 우리 사회에 '신세대론'이 들끓었다.특히 광고는 발빠르게 새로운 소비층을 파악하고 그들의 마음을 잡는데 총력을 기울였다.영상 세대라는 신세대의 특징을 부각하며 현란한 영상과 감각적인 광고 문구로 그들을 구세대와 다른 새로운 인종으로 분류했다.그 당시 아이들을 가슴 설레이게 했던 문구 중에 이런게 있었다.

"세상의 중심은 나" ,"남들이 뭐라해도 나는 나다"

분명히 소아병적인 자기 환상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런 말들은 자아정체성에 목말라 하는 10-20대 청소년들에게 매력적이다.그리고 비성찰적인 자기정체성 탐구는 일종의 신화가 되어서 여전히 다수에게 작용한다.그래서 이런 이야기들이 여전히 유효하다.

"내가 나지..그럼 내가 누구란 말이야" (누가 아니라 그러던가)

푸코 말을 좀 세속적으로 적용하면 미안하지만 "너는 너가 아니다." 소설가 김중혁은 그의 책 후기에서 자신은 수많은 지적 편린들과 대중문화 상품들로 구성되었다고 예를 든다.그런 것들이 모자이크처럼 모인 것이 자신이란 것이다.소설가로서 좀 극화시킨 부분이 없지 않지만 오히려 유아적으로 '나는 나 이외 아무도 아니다.'라고 자신있게 외치는 것보다는 낫다.

푸코는 근대적 주체가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특정한 권력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산물이라고 본다.이런 주체는 규율에 따라 만들어진 유용하고 순종하는 몸을 갖는다.

그리고 몸은 자연스럽게 내 의식을 규정하고 또 모든 권력작용을 내면화하게 만든다.일명 '생체 권력'이다.

푸코의 권력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권력'의 개념이다.푸코는 권력을 어떤 개인,집단,기구가 소유하는 실체가 아니라 관계망으로 본다.

"권력,그것은 제도도 아니고 구조도 아니며,어떤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권한도 아니다.그것은 한 사회의 복합적인 전략적 상황에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푸코의 권력 개념을 이해하기 힘든 것은 그 실체성이 모호한 점도 있겠으나 독재권력이니 민중권력,국가권력 하는 '정치적 권력'에만 익숙해 있는 우리 투쟁의 역사도 독해를 방해하는 요인이된다.이러한 정치권력,경제권력등은 억압하는 권력이다.우리들은 대개 권력은 억압하고 금지하는 존재로 파악한다.푸코는 이런 억압가설을 부정한다.그는 권력이 단순히 금지하는 힘이 아니라 그것이 작용할 대상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그 대상이 스스로 권력을 수행하게 한다고 본다.즉 권력은 억압하고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생산적,긍정적인 힘이다(푸코 형님!! 아멘) 이러한 권력이 작용하기 위해서는 진리의 담론이 필요하다.

푸코는 말한다.

'권력 안에서, 권력으로부터 ,권력을 가로질러 작용하는 진리의 담론을 구성하지 않고는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

적절한 비유일지 모르겠으나 속담이나 격언이 가진 경험적으로 구성된 담론이 이런 경우 예로 쓰일 수도 있을 것 같다.필요할 때 한 방씩 촌철살인 먹일 수 있는 속담이나 격언.그 속담의 텍스트를 분석해보면 권력이 그 말 안에서 어떻게 사람들을 규율하는지 읽을 수 있다.

저자가 정리한 권력의 특성은 이렇다.

권력은 하나의 중심을 갖지 않는다.즉 권력은 모든 순간에 모든 지점으로부터 나온다/.개인의 주체성은 권력의 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권력의 전략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다./권력 관계는 다른 관계들 '안'에 들었다./권력은 저항을 수반한다 그러나 권력의 핵심이 없듯이 저항의 핵심도 없다.그러므로 권력 관계는 변화시키고 수정할 수 있는 관계이다.

푸코는 근대적 신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형벌제도의 계보학을 통해 읽어냈다.그 노작이 <감시와 처벌>이다.핵심은 훈육사회로부터 전면감시 사회로의 이행이다.근대적인 규율은 신체를 조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삼는다.그리고 미시적 기술을 이용하여 근대적 인간을 창조한다.그러니까 현재 '내가 나'라고 떠벌이고 다니는 것도 사실은 이러한 거대한 메커니즘에 의해 생산된 것이라는 점이다.푸코는 이성의 합리성에 바탕을 두고 스스로를 창조한 근대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회의적이다.

규율은 신체를 공간 안에 배치한다.이렇게 되면 세분화된 공간 안에서 개인들은 쉽게 통제되고 조작된다.규율은 시간도 효율적으로 배치한다.그래서 인간은 이런 권력의 배치에 의해 녹색불 바뀌면 곧바로 반응하는 신호체계형 인간으로 탈바꿈한다.그리고 권력은 '바라보고 기록' 한다.모든 것을 감시하는 권력,모든 것을 기록하는 권력이 탄생한다.이런 규율과 감시를 이성적으로 받아들이는 신체는 자연스럽게 이 권력을 내면화해서 알아서 잘 한다.내 몸 안에 감시하는 눈이 생기는 것이다.그래서 상황을 어색하게 받아들이지도 않는다.푸코 식으로 말하자면 권력이 자동적인것으로 비인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그럼 이렇게 되어서 좋은 것이 뭐냐고? 권력은 최적의 효율을 탄생시킨다.즉 창조하는 권력이되는 셈이다.

"푸코는 사회적 효용성을 증대시키려는 요구가 규율장치의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하는 점에 주목한다.이런 양상은 권력이 사회 토대의 가장 세밀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행사될 수 있는 경우에 권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생산을 증대시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폭력을 행사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니라 "부드럽게 작용하면서 생산과 이익을 늘이는 원칙에 따른다"

푸코의 권력이론은 감옥을 넘어서 이제 개인의 성 문제까지이어진다.이책에서 이부분은 훨씬 간략하게 정리되어있다.푸코는 프로이트의 성억압 가설에 반대한다.푸코는 성이라는 것 역시 억압되었다기보다는 매우복잡한 성장치에 의해 생산,조절된다 라고본다.우리가 갖는 성에 대한소극적 담론또는 과잉담론등도 결국은개체문제로 성을 환원시키는 권력의작용이다.푸코는 '성'을 관리하는 권력이 '생명'을 관리하는 권력으로 이어지는 것을 지적한다.성의 생식력이 국가적으로 관리되는 형태가 '출산제한' 그리고 요즘은 '한 자녀더 갖기 운동' 같은것들이다.

우리는 근대인이다.합리적 이성을 신봉하고 근대적 자본주의 생산양식하에 있다.푸코는 계몽의 시간과 계몽된 인간을 회의적으로 성찰한다.그것은 우리에게 주는 대머리 아저씨의 축복이다... 시간 있으신 분 법회인지부흥회인지 참가해서 대머리 아저씨의 축복에 감화받으시고 성불하시던 천년왕국에 가시던가 하자...이 책 100페이지도 안되고 크기도 작다.회사원도 읽을만 하다.

세 명의 대머리 아저씨와 같은 시대에 살았다는것은 정말 뿌듯한 일이다.마이클 조던,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그리고 미셀 푸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ng 2007-06-22 17:11   좋아요 0 | URL
끄덕끄덕 하고 읽어내려오다가
마지막 문장에서 풉...합니다
저도 대머리 아저씨의 축복에 몸을 맞겨 성불해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