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우리나라는 책을 잘만든다는 생각이 든다.외양 말이다.그래서 가끔 가벼운 책을 들면 마음까지 가벼워진다.<녹색평론>책들도 그렇지만...개인적으로는 <녹색평론>책보다 표지는 조금 낫고  종이질은 그정도의 책이 마음에 든다.<보리>나 <도솔>에서 나왔던 몇권의 책들 정도 예를 들면 <야생초편지><잡초는없다>정도의...

'너무 무거운' 우리 책, 알고보니 이유있네!

[SBS TV 2007-01-15 22:27]    
<8뉴스>

<앵커>

요즘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책 읽는 모습 찾아보기가 쉽지 않은데 혹시 책이 너무 거창하고 무거워서 그런 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우리 책들은 왜 이렇게 무거울까요?

장세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외국책들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외국 서적 매장에 나와 있습니다.

같은 책을 기준으로 원서와 번역본의 무게 차가 얼마나 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320페이지 분량의 미국판 원서의 무게는 260g

일본에서는 글자 크기 등을 줄여 2백80페이지에 150g짜리 문고판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원서보다 크기가 10%정도 커지고 80쪽이 더 늘어나 무게가 미국 원서의 2배를 훨씬 넘었습니다. 

또 다른 양장본도 달아본 결과 우리책이 40% 이상 무거웠습니다.

[하형주/독자 : 왜 한국에서는 책이 이렇게 무거울까...차라리 우리나라 이렇게 미국처럼 가볍게 하면 가방에 가볍게 하면 넣고 다니면서 지하철에서 읽을 수 있는데...]

유독 우리책이 무거운 이유는 커진 책 크기도 이유지만 무거운 종이의 질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대 산림과학부 비교 분석 결과 영어판은 인쇄품질을 높이는 충전재 돌가루의 비중이 8%에 불과한 반면 우리책의 경우 3배가 넘는 27%나 됐습니다.

종이를 매끄럽게 해주는 돌가루는 펄프에 비해 무게가 2배 가량 더 나갑니다.

[이학래/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 : 탄산칼슘이나 활석 등 충전재는 인쇄품질을 높여주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우리출판업계에서는 이런 충전재를 많이 함유한 용지를 많이 선호하는 편입니다.]   

책의 겉모양을 중시하는 독자들의 성향때문이라고 출판사들은 항변하지만 문제는 소장을 위한 양장본뿐 아니라 거의 모든 책들이 무겁게 만들어진다는데 있습니다.

[백원근/한국출판연구소소장 : 책의 무게도 굉장치 무겁고요, 그리고 컬러풀하거나 어떤 가시적인 측면에만 주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독서 생활화에 일정한 방해 요인이 되고있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

한달 평균 독서량이 1권 꼴로 OECD 최저수준인 우리나라 독서 문화, 그 이면에는 책의 내용보다는 겉 모습에 집착하는 허위 의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장세만 jang@sbs.co.kr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막신 2007-01-16 0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정말 공감. 물론 무게때문만은 아니지만, 무거운 것도 들고다니며 책읽기 힘들게하는 이유중 하나예요. 학교갈때 가방에 생수한병, 책한권, 거기다 수업할 원서들고 가면 거의 등산가는 기분이예요.

딸기 2007-01-16 0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맞아요 저는 전철안에서 주로 책을 보는데, 정말 넘 무거워요!

드팀전 2007-01-16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막신>전 학교다닐때 책은 사물함에 놔두고 다녔는데...^^ 너무 빈몸만 갈 때가 있어 왠지 학생같아보이지 않을까봐..고무줄로 잠금하는 학교파일을 들고 다녔다는.
딸기>젤 쪽팔릴때가 사당역에서 책을 폈는데 동작역쯤 가서 졸기시작할때죠...(앞에 있던 사람들이 뭐라할까 ^^)

게으름뱅이_톰 2007-01-16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요. 하드커버로 안 만들어도 될 책까지 하드커버. 도서관에 뚜벅이로, 버스로 다니는 제게 무거운 책은 진짜....=.= 팔이 빠질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