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들어 보려고 했던 엘비스 코스텔로의 노래는 Alison 이었다.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 어느 부분의 가사가 생각나서였는데 들어보지 못한 곡이 있길래 틀어 들으며 옮겼다. 고흐의 별밤은 오늘 읽어 본 어떤 글에서 연상했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80967

 

 

--

 

 

 

책은 어려울 것 같다. 노래라면 어쩌면 가능할 지도 모른다그날그날 달라지기는 하지만 하루도 노래 듣는 일을 거른 적은 없으니까, 이대로 이십년 삼십년이 지나면, 내게 음악은 어쩌면 친숙함을 너머 나만의 폭과 깊이를 허락해줄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책은 그렇지 못할 것 같다.

 

 

즐긴다고는 결코 말할 수는 없고, 다독했다고도 전혀 할 수 없고, 그래서 특정하게 밝은 눈도 없는, 나와 책읽기 혹은 나의 책읽기라서, 아까는 문득 얕고 부족한 내 독서의 기록에 이 책이 있다는 것이, 그리고 그 기록이 이번 해 가기 전 마지막을 함께 하고 있다는 사실이 좋고도 고마워졌다. 내가 그런 마음이었던 것은 아마도, 요즈음 내 눈과 머리를 많이 차지했던 일련의 일들과 그것을 둘러싼 의견과 감정들을 구닥다리 물건을 안심되게 놓고서 지켜보고 있다는 생각에서였던 것 같다. 좋은 노래가 여러 조건들을 초월한듯 들려오듯이 이 책이 말하고 있는 내용들도 그렇게 다가왔었다. 오래된 원형처럼..   

 

 

 

후기를 전보다 간단히 적을까 한다.

 

 

1.       오늘 내용은 부분부분 막히는 곳이 없지 않았었지만 대체로 이해가 갔고 어렵지 않았다. 그래서 오히려 초벌 해 놓고 다시 읽으며 고친 것이 많았다. 전보다 의역이 많았고 편하게 한다고 원문에 없는 말을 넣거나 있던 말을 빼고 했거나 말의 중의적 의미를 확인하지 않거나 한 것들이 있었기 때문이겠다.

 

 

2.       The Plan of the book 난 사실 이 첫 줄부터 좀 애매했다. 마음같아선 책의 구성, 혹은 책의 진행, 책 전반에 관하여 등으로 하고 싶지만 그럴 수는 없었고 해서, 말 그대로 책의 구상이라고 했다. 그런데 구상이란 실제로 집필 전에 하는 일이 아닌가 싶어서 좀 막혔는데 어쩌면 저자는 의도적으로 이 말을 골랐는지도 모르겠다. , 책은 다 썼지만 마치 지금부터 써 가겠다는 진행성 (혹은 독자와의 동반성) 의 의미를 살리려고 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넘어갔다.  

 

3.       My hope is that this book will be used as a textbook, helping to familiarize up-and-coming students with virtue ethics’ distinctive approach to a variety of problems and issues in moral philosophy.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want to stress different things in their courses, I have divided it into three relatively independent parts, whose constituent chapters are much more closely related, and the parts increase in difficulty as the book progresses. 분사구문, 동명사 절등이 나올 때 자칫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꼼꼼하게 옮겨야 맞다는 생각을 확인한다 치고 옮겼고 그래서 고쳐 옮겼다.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원문의 순서를 따르고 어조도 그렇게 맞추도록 했다. Chapter 의 경우는 이번 뿐 아니라도 왔다갔다하는데 어느 땐 章이라 하지만 대부분은 챕터로 한다. 한자 장이나 영어 챕터나 큰 차이 없다고 치면, 후자가 더 분명하게 다가온다는 근거로. Bearing in mind 가 두 번 나오는데, 모두 하면서의 with 의 의미로 봤다. 하지만 때문에로 봐도 뜻은 통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혹시 내가 잘못 옮겼으려나 하는 생각을 했었다.

 

4.       Also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have their own views about what they want to cover in the way of associated material, I have mostly aimed to keep extended discussion of other authors’ some writings to a minimum; though the topic of Part II does necessitate some detailed attention to Aristotle and Kant, and Part III presupposes knowledge of some of the literature relevant to the issue of objectivity in ethics. 여기서는 밑줄친 extended 에 우선은 폭넓은/광범위한 과 집중적인/심화된 의 두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뒤라도, 맥락상 어느 것이 더 맞는지가 조금 헛갈렸다. 후자로 정하기는 했다.

 

5.       Part I. Action

 

6.       Chapter 1. Right action. Virtue ethics has been characterized, interalia, (1) as an ethics which is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red’; (2) as addressing itself to the question ‘What sort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to the question ‘What sorts of action should I do?’; (3) as taking certain areteic concepts (good[well], virtue) as basic rather than deontic concepts (right, duty, obligation); and as (4) rejecting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n rules or principles that can provide specific action guidance. Although there is some truth in all these, they tend to foster a common misconception, namel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and cannot, provide action guidance, the way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개인적인 기억이지만, 이 부분을 옮기는데 허허 웃음이 났었다. 처음 이 책을 몇 장 펴 보고 좀 읽고, 그랬다고 티를 내고 할 때 덕 윤리학이란- 하면서 떠들었던 내용이 바로 이 네 가지 특징, 그런데 저자가 말씀하시길 그렇게 덕 윤리학을 설명하면 틀린 생각만 심어준다..라니 뭘 읽었었나 싶고, 정신을 어디 두고 있었을까 싶고

 

7.       위의 본문에서 codifiable 을 처음에는 성문화된으로 직역했다가 아무래도 어색해서 규범화되다, 그렇게 명시될 수 있다의 의미로 바꿨다. 웹문서 검색에서 그런 말이 있는 걸 확인하고 넘겼다.  Rather than 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처음에는 가 아니라 -, not A but B 로 했다가 (의미가 더 잘 통하는 것 같아서) rather than 은 둘 중 하나의 선호를(preferred 의 대상을) 강조하는 의미가 강하지 부정/기각의 의미는 아닌 듯해서 라기보다는 으로 고쳤다.

 

8.       But this is a misconception: virtue ethics can provide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as (1)‘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and such a specification can be regarded as generating a number of moral rules or principles (contrary to the usual claim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rules or principles). Each virtue generates an instruction-‘(2)Do what is honest’, ‘Do what is charitable’; and each vice a prohibition-‘Do not ac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1) 을 어떻게해야 될지가 좀 까다로웠다. Characteristically 란 말 때문이었는데 여러 번 사전을 찾고 으음..하고 생각도 해 보고 하다가 제일 낫다 싶은 문장으로 결정했다. 그 과정에서 저 말의 의미로 나오는 특징적으로’ ‘특유하게전형적으로사이에서 좀 골치아팠다. 최종적으로는 직역을 하되 그 앞에 한두 단어를 풀어 추가하는 걸로 했다.

 

 

9.       ,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밑줄친 부분을 좀 매끄럽게 옮기자/영문 그대로 옮기자 사이에서 왔다갔다 했고, 여러 개의 문장을 만들기도 했다. 결국엔 좀 더 부드럽게 읽히던(예를 들면-정직하게 행동해라) 문장들을 골라도 된다는 판단이 안 서서 완전 직역처럼 해 올렸다.

 

10.    Chapter 2. Resolvable Dilemmas. Such rules may seem to fall foul of the ‘conflict problem’, failing to give us action guidance when the requirements of different virtues conflict. But deontology, notoriously, is subject to the same problem when its rules conflict, and many regard the way act utilitarianism resolves hard cases by applying its single maximizing rule as a disadvantage rather than an advantage of its approach. 언젠가의 후기에서 적었는지 모르겠다. 가급적 번역어를 고를 때 호전적이거나 전쟁용어 같은 말은 비켜가려고 한다. 그래서 notoriously 도 악명높다 대신 그냥 쪽으로 유명하다 정도로 했다. 사전에도 있는 말이므로 괜찮다는 단서붙여서.

 

 

11.    Where hard cases or dilemmas are, ex hypothesi, resolvable, virtue ethics in fact employs a strategy similar to that of some forms of deontology; it argues that the putative conflicts are merely apparent. 오늘 옮긴 부분에서는 이 말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대강 어떤 뜻이라는 건 잡혔다 싶었는데 분명하지가 않았다.

 

12.    That recognizing a conflict as merely apparent may call for moral wisdom or discernment is explicitly acknowledged in virtue ethics, which takes seriously Aristotle’s point that moral knowledge, unlike mathematical knowledge, cannot be acquired merely by attending lectures and is not characteristically to be found in people too young to have much experience of life. 어쩌다 한번씩은 사전에 잘 나와 있는 어구의 설명이 오히려 어색한 것 같아서 내가 느낀 바대로 옮겨보고 싶은 기분일 때가 있다. 이 말이 그랬는데, 사전을 보면 을 진지하게 여기다의 뜻이 있고, 그런 줄도 알고 있었고, 웹문서로도 그렇다고 확인했는데 그렇게하면 전체적으로 사람주어화 되어야 하지 않나 싶기도 하고, 여기서의 ,seriously 의 의미는 진지함이나 엄숙함이라기 보다는 존중했다거나 따랐다거나 맞다는 숙고 끝에 받아들였다 쪽이 나은 듯해서 그 중간쯤에서 말을 골라서 올렸다. 여기서의 characteristically 는 전형적으로로 받았다.

 

13.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any reasonably clever adolescent could apply. (This is one aspect of the rejection of the claim that ethics is a codifiable.) 딴에는 잘되었다 싶어 좋아했던 부분이 밑줄친 부분인데, 처음엔 꽤 똑똑한 /영리한 청소년으로 했다가 그게 문장과 어울려 들어가지 않는 것 같아서 각각의 말을 사전에서 찾다가 결국 clever 의 의미에 답이 있다고 생각했다. Clever intelligent smart 와 달리 조롱이나 비아냥의 부정적인 의미가 있고 reasonably 는 아주 그렇지는 않지만 그런대로, 꽤 의 의미가 있으니 두 말을 각기 직역하지 말고, clever 의 부정적인 느낌을 순화한 것으로 치고 옮길 때는 부정적인 의미가 없는 총명한/영리한정도로 하자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Plan of the book

 

My hope is that this book will be used as a textbook, helping to familiarize up-and-coming students with virtue ethics’ distinctive approach to a variety of problems and issues in moral philosophy.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want to stress different things in their courses, I have divided it into three relatively independent parts, whose constituent chapters are much more closely related, and the parts increase in difficulty as the book progresses. Also bearing in mind that different teachers have their own views about what they want to cover in the way of associated material, I have mostly aimed to keep extended discussion of other authors’ some writings to a minimum; though the topic of Part II does necessitate some detailed attention to Aristotle and Kant, and Part III presupposes knowledge of some of the literature relevant to the issue of objectivity in ethics.

 

책의 구상

 

내 희망사항은 이 책이 교재로 사용되어서, 전도유망한 학생들이 도덕철학의 제반 문제를 다루는 덕 윤리학적 접근방식에 친숙해지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가르치는 사람에 따라 수업의 강조점이 달라진다는 점을 유념하면서 나는 이 책을 비교적 독립적인 3 부로 나누었고, 각각의 부분과 밀접히 관련된 내용들로 하위 챕터들을 구성했다. 책이 뒤로 넘어갈수록 내용의 난이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강의자마다 관련소재 차원에서 무엇을 다룰지에 대한 각자의 견해가 있으리라는 점 또한 유의하면서, 다른 필자들의 일부 저작에 대한 심화된 논의는 대체로 최소한의 수준에서 유지하려고 했다. 그렇기는 하지만, 2 부에서는 그 주제상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를 상세히 다루는 것이 불가피했고, 3부에는 윤리에 있어서의 객관성이라는 주제와 관련있는 일부 문헌들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Part I. Action

 

Chapter 1. Right action. Virtue ethics has been characterized, interalia, (1) as an ethics which is ‘agent-centered’ rather than ‘act-centerred’; (2) as addressing itself to the question ‘What sort of person should I be?’ rather than to the question ‘What sorts of action should I do?’; (3) as taking certain areteic concepts (good[well], virtue) as basic rather than deontic concepts (right, duty, obligation); and as (4) rejecting the idea that ethics is codifiable in rules or principles that can provide specific action guidance. Although there is some truth in all these, they tend to foster a common misconception, namely, that virtue ethics does not, and cannot, provide action guidance, the way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1   행동

 

1 . 올바른 행동. 덕 윤리학은 여러 가능한 설명 중에서도 특히, (1) 행위 중심 보다는 행위자 중심의 윤리학이고, (2)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만 하는가?’ 보다는 나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다루며, (3) 의무론적 개념들 (옳음, 책임, 의무) 보다는 아레테적 개념들 (좋음[훌륭함], ) 을 기본개념으로 하고, (4) 윤리가 구체적인 행동지침이 될 수 있는 규칙이나 원리로 규범화될 수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특징들이 계속 설명되어 왔다. 일부 맞는 바가 있기는 하나, 이들 특징들은 덕 윤리학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 즉, 덕 윤리학은 공리주의나 의무론이 제시하는 행동규범을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그럴 수도 없다는 생각을 키우게 하는 경향이 있다.

 

But this is a misconception: virtue ethics can provide a specification of ‘right action’—a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and such a specification can be regarded as generating a number of moral rules or principles (contrary to the usual claim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rules or principles). Each virtue generates an instruction-‘Do what is honest’, ‘Do what is charitable’; and each vice a prohibition-‘Do not ac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그러나 이는 틀린 생각이다: 덕 윤리학은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지를 명시할 수 있다. 그것은 그 상황에서 덕있는 행위자가 유덕함의 특징답게 행하게 될 것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으며, 그것이 도덕적 규범이나 원칙 (덕 윤리학은 규범과 준칙을 줄 수 없다는 통상적인 주장과는 반대로) 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다. 각각의 덕은 정직한 일를 행하라’ ‘자비로운 일을 행하라는 명령을, 악덕은 정직하지 못한 일, 무자비한 일을 하지 말라.’ 는 금지를 내린다.   

 

Chapter 2. Resolvable Dilemmas. Such rules may seem to fall foul of the ‘conflict problem’ , failing to give us action guidance when the requirements of different virtues conflict. But deontology, notoriously, is subject to the same problem when its rules conflict, and many regard the way act utilitarianism resolves hard cases by applying its single maximizing rule as a disadvantage rather than an advantage of its approach. Where hard cases or dilemmas are, ex hypothesi, resolvable, virtue ethics in fact employs a strategy similar to that of some forms of deontology; it argues that the putative conflicts are merely apparent. That recognizing a conflict as merely apparent may call for moral wisdom or discernment is explicitly acknowledged in virtue ethics, which takes seriously Aristotle’s point that moral knowledge, unlike mathematical knowledge, cannot be acquired merely by attending lectures and is not characteristically to be found in people too young to have much experience of life.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any reasonably clever adolescent could apply. (This is one aspect of the rejection of the claim that ethics is a codifiable.)

 

 

2 . 해결될 수 있는 딜레마. 어쩌면 그런 규칙들은 서로 다른 덕의 요건들이 충돌하는 경우,  필요한 행동규범을 마련해 주는데 실패함으로써 갈등 문제와 뒤엉켜있는 듯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의무론은 자기이론의 규칙들이 충돌할 때 위와 똑같은 문제에 빠지기 쉬운 것으로 유명하며, 효용극대화 규칙을 단독으로 적용해서 다루기 힘든 사건을 해결하는 공리주의의 행동 방식은 접근상의 장점 보다는 단점으로 더 많이 간주된다. 다루기 어려운 경우들이 가설상으로 해결이 가능한 경우, 덕 윤리학은 사실상 의무론의 일부 방식과 유사한 전략을 쓴다. 그것은 갈등이라고 추정되는 일은 다만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하나의 갈등을 외견상의 일로써 인식한다 함은 아마도 덕 윤리학에서 명시적으로 승인되는 도덕적 지혜나 분별을 필요로 할 것이고, 그것은 도덕적 진리란 수학적 진리와 달리 강의를 듣는다고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삶의 경험이 많지 않은 어린 사람들에게는 그 특징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지를 중요시한 주장이라 하겠다. 규범 윤리학은 영리한 청년이라면 다 할 줄 아는 의사결정과정의 제시를 목표로 삼아서는 안된다. (이것이 윤리학이 규범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한 관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reen Wheat Field with Cypress 1889



Cypress Trees 1850-1990

  

 

누구나 한 주에서 특히 어떤 일이 잘 되는 날이 있을테고, 그것이 비단 자신의 힘으로만 되는 것이 않을 때도 없지 않겠다. 그런 점에서 오늘 작업은 우선은 평소보다 한참 늦게 시작하게 되었고, 내 상태도 썩 좋지 못해서 아무래도 건너뛰는 것이 낫겠다는 결심을 옮기다말고 했었다. 과장하지 않은 이유가 있으니 그리 하자 싶었는데, 그렇게 맘 먹고 난 뒤에 찾아온 여유에 '그런데 실은 괜한 내 선입견만 아니었다면 오늘 작업은 모든 것이 수월했고, 어쩌면 평소 바란대로 간소하게 마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을 하게 됐다. 그런 반전이 나에게는 퍽 의미있어서 적어 본다. 

 

노래는 로이 뷰헤넌의 곡이고 그냥 생각났었다. 그의 the Messiah will come again 은 생각은 났어도 들어 본 곡이라 들어보지 않은 노래를 찾아서 하면서 듣고 올렸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79969

 

그림은 본문에 나온 cloud 에서 떠올렸는데, 그가 파이프 담배를 피운 것이야 알고 있었는데, 그 별밤 그림이 이런 일상의 모습에서 나온 줄은 몰랐다. Vincent van Gogh said "The best paintings are the ones you think about before bedtime, while smoking your pipe". He said this about his painting of the "Starry Night".

 

--

 

 

주위의 몇몇과 논란이 되고 있는 황우석 연구팀의 연구진위 문제를 이야기 해 볼 시간이 있었다. 그러면서 아주 깊이 논조와 어감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았다. 우리에게 비언어적인 소통이 있듯이, 언어적 소통에서도 또한 어감과 어조가 있다는 생각이었다. 나와 의견이 다른 것에 대해 아무렇지도 않았으나, 그 다른 의견을 풀어가는 논조, 골라쓰는 말과 동원되는 은유들이 훨씬 더 듣고 있기 거북하고 반감을 일으켰었다. 그때 지금 내가 해 보는 이 일 생각이 났다. 직역이건 의역이건, 정답이 없는 맞는 번역의 문제에서 겸손함과 신중함이 나에겐 이유고 미덕이겠다는 생각과 함께.  

 

 

지난 번 번역문은 (까다로워서) 시간도 정말 많이 들었고 세심하게 한다고 했는데 정작 번역문을 책의 배열에 따라 합쳐서 올렸더니 후기 쓰면서 다시 읽고 대조하는 데 불편했다. 나중에 묶거나 하게 되면 책을 그대로 따르도록 하고, 지금 과정에서는 나 편하게 문단 나누고 기록을 남기고 할 생각이다.

 

 

역시 지난 번 일 관련해서, 우연히 웹의 글 하나를 읽다가 책임귀속의 문제라는 설명을 봤다. 논의하는 사람들이 모두 어색함 없이 이 말을 쓰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는 나도 그렇다면 본문에서 푼 말을 (ascription of moral responsibility) 를 도덕적 책임귀속의 문제로 해도 되겠다 싶었다.

 

 

 

 

1.       (1)This brings me to a fourth thing I do not so much import from Aristotle as find him hospitable to, namely a (2) philosophical psychology which runs counter to the prevailing contemporary view. 밑줄친 부분은 영 어색해서 결국엔 좀 기술적으로 이것이 네 번째로, 로 끊어서 썼다. 몇 번째냐 보다는 그 이하의 내용이 중요할 것이고 그쪽으로 시선이 가게 하면 맞으리라는 생각에서 괜찮겠다 하긴 했지만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Namely 의 경우 소위라고 했다가 즉, 다시말해로 옮겼는데 이 두 말은 자주 혼동한다. (2) 에 대해서는 이 말을 심리철학이라고 옮겼다가 혹시나 해서 웹문서 검색을 한 뒤 철학적 심리학이라고 바꾼 말인데, 그 개념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보니 두 말이 서로 교환가능한지 알 수 없다. 다음의 용례를 보면, (현대심리철학 세미나(Seminar in Modern Philosophical Psychology). 철학적 심리학(Philosophical Psychology) 3학점 ::  의식의 이론들, 심신관계의 문제, 지향성의 분석, 행위의 본질, 인격 동일성의 증명, 타인의 심리상태의 존재 심리의 문제를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관점에서 다룬다. 특히 심리상태와 행위의 경험 논리적 관계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며, 이러한 설명과정에서 합리성과 인과성의 개념이 분석된다. 신념과 욕구와 의도의 관계가 규명된다.) 대학의 교과목에서도 용어통일을 하지 않고 있는 듯 보이는데

 

 

3.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action, there is a fervid debate about whether any intentional action must be prompted in part by a desire,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moved to action by a belief-such as the belief that doing so-and so is morally required-alone. 이번 작업에서는 ‘so’ 였다. 아래에서 많이 헤맸고, 여기서의 so 도 처음 생각대로 그도 그렇다  로 하기는 했지만 사전의 so 를 여러 번 펴 읽었어야 했다. 철학과의 심리철학 혹은 철학적 심리학 교과목 소개에서 action 을 대개 행동이라고 해 둔 것을 보고 앞으로는 행동으로 통일할까 싶다.

 

4.       The debate all takes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ssumption that belief and desires are as different (1) as gold and oxygen, and usually also the assumptio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ational and the non-rational is equally hard and fast. But Aristotle is happy to describe ‘choice’ (prohairesis) as either desiderative(2) intellect or intellectual desire; it belongs to both the (3)cognitive and the conative faculties and is not to be broken down into two bits, a belief and a desire. 좀 우스운 기록이 될 지 모르지만, 나는 처음 저 문장의 금과 산소가 왜 한 쌍이 되었어야 했을지 알 수 없었다. 뭔가 숨어 있는가 싶어서 검색도 해 봤지만 발견하지 못해서 옮기고 말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의 경우, 웹에서는 대체로rational choice prohairesis 를 받고 있었는데, 이 책의 저자는 그렇지 않고 이렇게, 달리 해석하고 설명하는 듯해서 번역하게 된 덕분에 특별한 기분이다 싶었다.

 

5.       밑줄 친 cognitive 의 경우 인지적인의 의미가 가장 앞서 있는 줄 알았지만 여기서는 의욕적인의 conative 과 쌍을 이루는 편이 좋을 것 같았고, 그러나 여기서 이성적인 이라는 말을 쓰기엔 cognitive 의 의미는 조금 다른 것 같길래 정신적인으로 옮겼다. 그렇지만 조금 전 영영 사전을 확인했더니the act or process of knowing including both awareness and judgment; also : a product of this act 로 되어 있어서, 대구도 좋지만 그냥 인지활동의로 제 말로 옮길 것을 그랬나 싶다. (2) 의 경우, 나는 지적인 지성적인 이라는 말 대신 이성적인 이라는 말을 썼는데 아래의 글을 보았더니 그대로 지적인이라고 해도 괜찮았는가 싶다. 하지만 그 용어에 익숙치 않은 나로서는 rational 의 의미는 지적인 보다는 정신적인 혹은 이성적인 쪽이 더 가까이 다가오는 것 같다.

 

6.       6 ) 덕론(德論): 리는 이미 아리스토텔레스가 덕을 인간에게 고유한 기능의 수행으로서 또한 극단간의 중용으로서 대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을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개념을 인식할 있는 다른 방법은, 각각의 덕목을 여러 감정들에 대한 이성적 통제의 산물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우리는 인간 행동의 모든 측면들을 결합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인간의 본성은 이성적인 측면만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식물적인 면과 감각적인 면도 포함된다. 덕은 이러한 본성상의 여러 능력들에 대한 거부나 부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덕적인 인간은 자신의 모든 능력들, 육체적인 면과 정신적인 모두를 사용한다. 하나는지적(知的)”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도덕적기능으로서 각각은 나름대로의 덕을 가진다. 따라서 지적인 덕과 도덕적인 덕들이 있게 되는 것이다.

 

7.       Moreover, when he describes the soul as ‘part rational, part irrational’, he does not think it matters to which part we assign the desiderative. The ‘vegetative’ part (the cause of nutrition and growth in living things) is definitely irrational; and the theoretical is definitely rational. But the desiderative can be regarded as irrational, because it can run counter to reason, or as rational, because it is receptive to reason.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rational or irrational tout court?’; all there is to be said is that it is irrational in this way and rational in that. 여기서부터의 내용은 사실 영문 번역에 초점을 두면 슬슬 옮기면 되는 것이었는데, 그래도 난 공부중이기도 하지..하는 생각에 노트도 좀 펴 보고, 웹으로 그림도 찾아 보고 했다. 그 점에서 밑줄 친 부분은 옮기는 문제는 없었으나 그 의미에 대해 의문이, 이 말이 무슨 뜻일까를 잘 알고 싶다는 아쉬움이 좀 남았다.

 

 

Calculative -- Intellectual Virtue

Rational

 

 

Appetitive -- Moral Virtue

Irrational

 

 

Vegetative -- Nutritional Virtue

 

 

 

8.       To anyone sympathetic to the writings of the later Wittgenstein, such rejections of clear-cut distinctions in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as natural and necessary as breathing. Such philosophers are in a minority at the moment, and it is no part of my brief in this book to try to convert the philosophical world to the minority view, much as I would like to do so. 어제 타이핑을 하다 여기,비트겐슈타인이 나오는 것을 보고서 그리고 아래의 한 문단이 그 말로 은유되는 것을 다시 보고서 그만 우뚝해 버렸다. 아마도 내겐 아리스토텔레스도 간신히 그게 어떤 사상인가보다..정도인데 전혀 아는 바 없는 비트겐슈타인-어디선가에서 주워 듣듯 아는 정도 뿐이므로- 이라니!’ 하는 심리가 있었던 것 같다. 일단 그렇게 눈에 무엇인가 씌워지고 났더니 사람 마음이 얄팍해져서, 오늘 밤늦게 조용한 시간이 마련되기까지 이리저리 핑계를 대듯 책을 안 펴게 됐었다. 보면 뭐하나 알지도 못할 걸..식으로. 그 자체가 문제는 아닌데, 그래가지고 뭘 알겠다고(공부란 알고 싶은 마음의 자연스러움이 기본이라고 생각하니까 다시 말하면 뭘 공부를 하겟다고 그러나..) 식의 마음이 들어 안 좋았다.  

 

9.       But it is still worth coming clean about it at the outset, to remove one further stumbling block. I have found when teaching virtue ethics to graduate students, or discussing papers by, in particular, Anscombe, Foot, and McDowell with fellow philosophers, that what often blocks understanding is the unconscious assumption that everyone shares the view that, for example, beliefs and desires are natural kinds, or that a reason is a belief/desire pair that causes an action, or that all mental states are brain states-or, more generally, that philosophy is supposed to uncover or construct the foundations of our thought. Natural kind 를 나는 그저 자연적인 것이라고 옮겼는데 그 전에 얼핏, 이 말을 타고난의 의미인 천부적인 것으로 봐야 하는가 싶은 생각이 들었고 하지만 확인을 거치지 못했다.

 

10.    Struggling to square these assumptions with what is said, the audience finds what is said deliberately obscure or willfully incomplete, or inconsistent, or open to such blindingly obvious objections that they think they cannot have understood. Sometimes-not always, of course-(2) the cloud lifts if one says, ‘But you don’t believe that so-and-so if you’re Wittgensteinian.’ What follows then is not necessarily agreement, but at least an understanding of just where the disagreement lies. (1) 에 대한 내 의문은 문장 내의 what is said 의 주체가 누구인가? 였다. 위에서 이어지는 문장이므로 구조상 미루어 짐작해서 당연할 거라고 전제한 것들과 달리 실제 철학자들은 등등등의 주장을 하고 있고 따라서 독자들이 헤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로 봤고 그렇게 옮겼다. , 나는 그 소수에 해당하는 철학자들이 이성/욕구 사이를 구분하지 않는다던가 등을 말하는 것당연하게 생각하는 독자들의 가정으로 봤다. (2) 는 완전히 다른 번역을 냈다가 고쳤다. 처음 ‘cloud lifts’ 를 내가 당연시 여기고 있는 lift 란 말 뜻에 매여 ‘(그렇게하면) 더더욱 뜬구름이 된다로 봤고, 그 이하의 문장은 나름대로는 so if 를 동사가 생략된 so do I 로 봤고, à 고로, 넌 다른 생각이로구나, 비트겐슈타인주의자들이라도 그랬을거야. 이런 식으로 자기들만 알게 말해주고 말면 뜬구름만 더 높이 떠올라간다 (이제는 쓰자니 좀 우습다) 로 했다. 거의 마지막까지 자연스러운 번역은 아니지만 틀리지는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가, 어쩐지 서문의 말미로 가는 이 대목에서 저자가 누군가의 눈에는 감정적으로 읽힐 수 있는 저런 말을 과연 했을까? 싶어서 다시 들여다 보다가 lift 의 말에3 <구름 안개 > 개다, 걷히다 The darkness ~ed. 밝아졌다 가 있는 걸을 보고선 고쳤다;;;

 

11.    at least 도 다른 몇몇 말들처럼 어느 하나의 의미에 고착되어 있는데, 이번에 저 문장에서는 최소한의 뜻이 아닌 것 같아서 사전을 펴서 아래를 읽고, ‘여하튼, 그렇게 아니라의 의미를 확실히 하고서 옮겼다. at (the) least; at the very least 적어도, 최소한. ¶ You might at ~ apologize. 적어도 사과 정도는 만하지. 여하튼, 아무튼; 아마도. 그런게 아니라; 정확히 말하면. 그래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is brings me to a fourth thing I do not so much import from Aristotle as find him hospitable to, namely a philosophical psychology which runs counter to the prevailing contemporary view.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action, there is a fervid debate about whether any intentional action must be prompted in part by a desire,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moved to action by a belief-such as the belief that doing so-and so is morally required-alone.

 

이것이 번째로, 나는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도입했다기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주를 이루는 현대의 견해와 반대되는, 다시말해 철학적 심리학을 받아들였음을 알게 되었다. 행동에 관한  현대철학의 뜨거운 논쟁 하나는, 의도적 행동은 반드시 부분적으로는 욕망에 의해 촉발되어야 하는가, 또는 그렇게 해야겠다는 믿음과 같은 어떤 믿음에 의해 행동으로 옮겨질 있다는 것이 가능한가- 다만 도덕적인 요구만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겠는가에 관한 것이다.   

 

The debate all takes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ssumption that belief and desires are as different as gold and oxygen, and usually also the assumptio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ational and the non-rational is equally hard and fast. But Aristotle is happy to describe ‘choice’ (prohairesis) as either desiderative intellect or intellectual desire; it belongs to both the cognitive and the conative faculties and is not to be broken down into two bits, a belief and a desire.

 

논쟁은 모두가 신념과 욕망이 금과 산소만큼이나 다르며 일반적으로 이성과 비이성 사이의 구분이 그만큼 엄격하다는 기본가정에 맞서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기꺼이 욕구하는 이성 혹은 이성적인 욕망의 하나로서의 선택’ (prohairesis) 말하고 있다. 선택은 정신적이고도 의욕적인 능력이고 신념과 욕망이라는 부분으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Moreover, when he describes the soul as ‘part rational, part irrational’, he does not think it matters to which part we assign the desiderative. The ‘vegetative’ part (the cause of nutrition and growth in living things) is definitely irrational; and the theoretical is definitely rational. But the desiderative can be regarded as irrational, because it can run counter to reason, or as rational, because it is receptive to reason.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rational or irrational tout court?’; all there is to be said is that it is irrational in this way and rational in that.

 

더욱이, 영혼은 부분적으로 이성적, 부분적으로 비이성적이라 ,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어느 부분을 욕망이라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보지 않았다. ‘식물성 부분 (생물의 영양과 발육의 원인) 명확히 비이성적이고 이론적인 부분은 것은 명백히 이성적이다. 그러나 욕구는 이성에 반할 있기 때문에 비이성적일 있고, 혹은 이성에 수용적이기 때문에 이성적일 있다. ‘간단히, 이것은 이성적인가 비이성적인가?’ 라는 질문에는 답이 없다. 우리가 말할 있는 것은 이럴 경우 비이성적이며 저런 경우 이성적이라는 것이 전부다.   

 

To anyone sympathetic to the writings of the later Wittgenstein, such rejections of clear-cut distinctions in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as natural and necessary as breathing. Such philosophers are in a minority at the moment, and it is no part of my brief in this book to try to convert the philosophical world to the minority view, much as I would like to do so. But it is still worth coming clean about it at the outset, to remove one further stumbling block. I have found when teaching virtue ethics to graduate students, or discussing papers by, in particular, Anscombe, Foot, and McDowell with fellow philosophers, that what often blocks understanding is the unconscious assumption that everyone shares the view that, for example, beliefs and desires are natural kinds, or that a reason is a belief/desire pair that causes an action, or that all mental states are brain states-or, more generally, that philosophy is supposed to uncover or construct the foundations of our thought.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에 동의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철학적 심리학에서 그런 선명한 구별짓기를 거부하는 것이 숨쉬는 일만큼이나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여겨질 것이다. 현재 철학자들은 소수이고, 그러고 싶었던 마음이 큼에도 불구하고, 나는 책의 개요를 철학계를 그런 소수의 관점으로 전환시켜보려는 내용에 할애하지 못했다. 그렇기는 해도 차후의 걸림돌을 없엔다는 차원에서 처음부터 그랬음을 밝히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라고 본다. 대학원생들에게 윤리학을 가르치거나 앤스콤Anscombe이나 foot, 맥도웰 McDowell 논문을 동료 철학자들과 논의할 때면, 나는 누구나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무의식적인 가정, 예를 들면 믿음과 욕구가 자연적인 것이라거나, 이성은 행위를 유발하게 하는 믿음/욕구로 이루어진 쌍이라거나, 혹은 모든 정신상태는 뇌의 상태라거나, 아니면 보다 일반적으로 철학은 우리의 사고의 토대를 드러나게 하거나 세워 의무가 있다는 등의 가정들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는 것을 깨닫곤 한다.  

 

Struggling to square these assumptions with what is said, the audience finds what is said deliberately obscure or willfully incomplete, or inconsistent, or open to such blindingly obvious objections that they think they cannot have understood. Sometimes-not always, of course-the cloud lifts if one says, ‘But you don’t believe that so-and-so if you’re Wittgensteinian.’ What follows then is not necessarily agreement, but at least an understanding of just where the disagreement lies.

 

이런 가정들을 주장되는 것들에 부합시켜보려고 씨름하면서, 독자들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것들,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또는 고의로 불완전하게, 또는 일관성없게 설명되는 내용들, 아니면 무턱대고 이의를 제기하려는 자세 같은 것을 발견하게 된다. 물론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때로는, 만일 누군가그러나 그것을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는군. 그렇다면 생각은 비트켄슈타인적이야.’ 라고 말하면 구름이 걷힌다. 그렇게되면, 뒤를 따르는 것은 필연적인 동의가 아니라, 정확히 말해 그저 어디에서 의견차이가 나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is brings me to a fourth thing I do not so much import from Aristotle as find him hospitable to, namely a philosophical psychology which runs counter to the prevailing contemporary view.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action, there is a fervid debate about whether any intentional action must be prompted in part by a desire,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moved to action by a belief-such as the belief that doing so-and so is morally required-alone. The debate all takes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ssumption that belief and desires are as different as gold and oxygen, and usually also the assumptio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ational and the non-rational is equally hard and fast. But Aristotle is happy to describe ‘choice’ (prohairesis) as either desiderative intellect or intellectual desire; it belongs to both the cognitive and the conative faculties and is not to be broken down into two bits, a belief and a desire.

 

Moreover, when he describes the soul as ‘part rational, part irrational’, he does not think it matters to which part we assign the desiderative. The ‘vegetative’ part (the cause of nutrition and growth in living things) is definitely irrational; and the theoretical is definitely rational. But the desiderative can be regarded as irrational, because it can run counter to reason, or as rational, because it is receptive to reason. There is no answer to the question ‘Is it rational or irrational tout court?’; all there is to be said is that it is irrational in this way and rational in that. To anyone sympathetic to the writings of the later Wittgenstein, such rejections of clear-cut distinctions in philosophical psychology are as natural and necessary as breathing. Such philosophers are in a minority at the moment, and it is no part of my brief in this book to try to convert the philosophical world to the minority view, much as I would like to do so. But it is still worth coming clean about it at the outset, to remove one further stumbling block. I have found when teaching virtue ethics to graduate students, or discussing papers by, in particular, Anscombe, Foot, and McDowell with fellow philosophers, that what often blocks understanding is the unconscious assumption that everyone shares the view that, for example, beliefs and desires are natural kinds, or that a reason is a belief/desire pair that causes an action, or that all mental states are brain states-or, more generally, that philosophy is supposed to uncover or construct the foundations of our thought. Struggling to square these assumptions with what is said, the audience finds what is said deliberately obscure or willfully incomplete, or inconsistent, or open to such blindingly obvious objections that they think they cannot have understood. Sometimes-not always, of course-the cloud lifts if one says, ‘But you don’t believe that so-and-so if you’re Wittgensteinian.’ What follows then is not necessarily agreement, but at least an understanding of just where the disagreement li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